466 0

Relationship between self reported sleep duration and risk of anemia in Korea

Title
Relationship between self reported sleep duration and risk of anemia in Korea
Other Titles
한국인의 자기보고 수면시간과 빈혈 위험성의 연관성 분석
Author
전민영
Alternative Author(s)
전민영
Advisor(s)
강주섭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Objectives Extremely long and short sleep duration have both shown associations with increased risk of various disorders.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self-reported sleep duration with risk of anemia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set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Methods Data of 11,131 Korean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were recruited from the 2016–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analyz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Anemia’ was defined in this study by hemoglobin level of < 13g/dl in men and < 12g/dl in women. Selected data were sorted into five groups by sleep duration: < 5h, 5h ~ < 6h, 6h ~ < 8h, 8h ~ < 9h, and ≥ 9h per day. We perform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risk of anemia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including age, gender, family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physical activity,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usage. Other factors were assessed in the analysis, such as depression, hypertension, diabetes, dyslipidemia, stroke, coronary artery disease, malignancy, stress level, and body mass index. Results We found that sleep duration of < 5 hours was related to high risk of anemia (odds ratio = 1.87; 95% confidence interval = 1.01–3.49, sleep duration of 6h ~ < 8h as the reference group). Also, sleep duration of ≥ 9 hours was related to lower risk of anemia in most premenopausal women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odds ratio = 0.61; 95% confidence interval = 0.38–0.96, sleep duration of 6h ~ < 8h as the reference group). Male individuals with sleep durations of < 5 hours (odds ratio = 2.01; 95% confidence interval =1.05–3.84) and of ≥ 9 hours (odds ratio = 2.48; 95% confidence interval =1.63–3.81) ha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anemia without covariate adjustment. Postmenopausal women with sleep durations of ≥ 9 hou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risk of anemia (odds ratio =2.02; 95% confidence interval =1.33–3.08) without adjusting for covariate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found either short or long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risk of anemia in premenopausal Korean women. |배경 및 목적 : 빈혈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영구적인 장애나 심각한 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중재 가능한 위험 요소를 밝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많은 연구 결과에서 부적절한 수면시간이나 수면의 질 저하는 심혈관계 질환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발생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 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가 보고식 수면시간과 빈혈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16년부터 2017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9세 이상의 한국인 성인 11,1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에 기록된 하루 평균 수면시간을 5시간 미만, 5~6시간 미만, 6~8시간 미만, 8~9시간 미만, 9시간 이상의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빈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빈혈은 남자의 경우 헤모글로빈 13g/dl 미만, 여성의 경우 12g/dl 미만으로 정의하였다. 대상자들의 나이, 성별, 가계소득, 교육 수준, 흡연, 음주, 유산소 운동, 체질량지수, 스트레스 수준, 우울증,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뇌졸증, 관상동맥질환, 악성종양의 유무를 보정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기분석(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을 시행하여 수면시간과 빈혈의 유무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폐경 전 여성에서 6시간~8시간의 평균 수면을 취하는 사람과 비교하여 5시간 미만의 평균 수면을 취하는 사람에서 빈혈의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 하였고, 9시간 이상 평균 수면을 취하는 사람에서 빈혈 위험은 감소하였다. 남성 에서는 혼란변수의 보정을 하지 않았을 때, 5시간 미만의 평균 수면을 취하는 사람과 9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하는 사람에서 유의하게 빈혈의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폐경 후 여성에서는 혼란변수를 보정을 하지 않았을 때, 9시간 이상의 평균 수면 시간을 가진 사람에서 유의하게 빈혈의 위험성이 증가하였다. 결론: 한국인에서 9시간 이상의 과도하게 긴 수면시간과 5시간 이하의 짧은 수면 시간은 폐경 이전의 여성에서 빈혈의 위험성을 증가시켰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25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29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EW DRUG DEVELOPMENT(신약개발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