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5 0

시니어의 SNS 활용에 관한 연구: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SNS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Title
시니어의 SNS 활용에 관한 연구: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SNS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SNS usage of seniors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SNS usage
Author
박지은
Advisor(s)
이창준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시니어 SNS 스타’들이 등장하는 등 SNS 상에서 자신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활발히 소통하는 시니어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제는 SNS의 주 이용자 범주를 젊은 세대를 뛰어넘어 시니어 세대로 확대하여 살펴봐야 할 때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니어 SNS 이용자의 SNS 이용패턴을 발견하고, 시니어의 SNS 활용과 관련있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직업, 학력수준)과 심리적 변인(인지욕구, 자아존중감) 그리고 환경적 변인(독거가구, 부부가구, 이삼세대 가구)이 SNS 활용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2019년, 2020년 미디어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50대 이상 시니어의 SNS 이용행태에 따른 군집화를 시도 한 결과, ‘적극적 활용 집단’, ‘눈팅 집단’, ‘소극적 활용 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또, 2019년과 2020년의 군집 간 이동을 확인하여 SNS 활용이 적극적인 수준으로 이동한 집단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무엇인지 탐색한 결과, 최종학력이 고졸이고, 이삼세대 가구에 속할수록 SNS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될 확률이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65세를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재분석한 결과, 65세 미만 집단에는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65세 이상 집단에서는 인지욕구가 높을수록, 이삼세대 가구 일수록 SNS 활용이 적극적인 수준으로 이동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Recently, seniors who actively reveal themselves and actively communicate on SNS have increased, with the emergence of "senior SNS stars." This reshapes the landscape of SNS, expanding the main user category of SNS toward the senior generation. This thesis aims to find SNS usage patterns of senior users and the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occupation, educational leve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need for cognition, self-esteem), and environmental variables (living alone, married, and second or third generation households) on active SNS use. As a result of attempting to cluster according to the SNS usage behavior of seniors in their 50s or older using media panel data in 2019 and 2020, i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tive use group', 'checking group', and 'passive use group'. For jumping up to the active SNS use groups, the educational attainment and cohabitation with their adult children were the important factors. When classifying the groups based on the age of 65, the high cognitive desire was an important factors for moving into the active SNS use, and the cohabitation effect was still vali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78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25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신문방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