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민체력 인증센터의 건강체력 자료를 이용한 노인 고혈압 발생 예측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국민체력 인증센터의 건강체력 자료를 이용한 노인 고혈압 발생 예측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Prediction of Hypertension Using Physical Fitness Data of Korea National Fitness Award in Korean Elderly -Based on the Raw Data from 2018 to June 2021-
Author
이효신
Alternative Author(s)
LI XIAOCHEN
Advisor(s)
권태원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건상체력 요인들을 토대로 노인의 고혈압 유병률과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고혈압 발생을 예측하는 준거(Criterion)를 확인하여 노인의 건강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민체육진흥공단 산하의 국민체력100 체력인증센터에서 2018년 01월부터 2021년 06월까지 측정 완료된 65세 이상 노인(남성: 20,035명; 여성: 27,412명; 총 47,447명)의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자료처리는 Windows 용 SPSS ver. 2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 성별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평균 차이 검증은 독립 t-검증을 통해 평균과 표준편차(M±SD)를 산출하였으며, 고혈압 유병률 현황과 건강체력 등급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대와 성별에 따른 건강체력요인의 차이 검증은 Two-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상호작용 효과 검증은 본페로니의 다중비교(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를 실시하였다. 연령대에 따른 고혈압 발생 여부의 차이 검증 및 건강체력 수준에 따른 고혈압 발생 여부의 차이 검증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령대에 따른 고혈압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노인의 연령을 65-69세, 70-74세, 75-79세 그리고 80세 이상으로 나누어 이분형로지스틱회귀모형을 제시하였으며 건강체력 수준이 고혈압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각 건강체력요인을 4사분위를 나누어 이분형로지스틱회귀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건강체력요인은 고혈압 발생을 예측하는 준거점의 추출은 수신자조작특성곡선(ROC 곡선)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수집된 지표 값의 현황 한국 65세 이상 노인들 가운데 모든 변수는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제2기 고혈압을 앓고 있는 노인분들을 제외한 남성 노인 고혈압 유병률은 48.2%로 나타났으며 여성 노인 고혈압 유병률은 28.7%로 보였다. 그리고, 남녀 모두 이완기 고혈압 유병률은 각 고혈압 유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수축기 고혈압 유병률은 각 고혈압 유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각 연령대에서 남성의 이완기혈압과 수축기혈압이 모두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건강체력 등급을 확인함으로써 남녀 노인의 건강체력 현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연령대와 성별에 따른 건강체력요인 차이 검정 이원배치 분산분석 결과를 통해 하지근기능(의자에앉았다일어서기)은 연령대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건강체력 요인들은 연령대에 따른, 성별에 따른, 연령대와 성별의 상호작용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3)연령대에 따른 고혈압 발생의 차이 남녀 모두 연령대에 따른 고혈압 발생 여부는 유의한 치이를 나타냈다. 4)건강체력 수준에 따른 고혈압 발생의 차이 건강체력 요인들 가운데 절대악력, 상대악력, 하지근기능(의자에앉았다일어서기), 심폐지구력(2분제자리걷기) 그리고 유연성(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의 4분위 수준이 높아지면서 고혈압 유병률이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으며 WHtR, 체지방률, WC 그리고 BMI의 4분위 수준이 높아지면서 고혈압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5)연령대가 고혈압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 65-69세 연령대에 비해 남녀 모두 75-79세 연령대에서 고혈압 발생위험이 제일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보면 연령의 증가함에 따라 고혈압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6)건강체력 수준이 고혈압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 건강체력 요인들 가운데 절대악력, 하지근기능(의자에앉았다일어서기), 심폐지구력(2분제자리걷기) 그리고 유연성(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의 4분위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혈압 발생위험이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으며 WHtR, 체지방률, WC 그리고 BMI의 4분위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고혈압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7)건강체력요인은 고혈압 발생을 예측하는 준거점 건강체력요인은 고혈압 발생위험을 예측하는 준거점이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ROC 곡선을 실시한 결과를 통합해보면 65-69세 연령대 남녀 노인에게 비만요인이 고혈압 발생위험을 예측하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남녀 노인 고혈압 발생위험을 예측하는 준거점은 WHtR(남성:0.507; 여성:0.532), WC(남성:86.800cm; 여성:84.600cm), 체지방률(남성:24.100%; 여성:36.600%), BMI(남성:24.400kg/m2; 여성:25.400kg/m2)이었다. 70-74세 연령대 남녀 노인에게 비만요인과 하지근기능이 고혈압 발생위험을 예측하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남녀 노인 고혈압 발생위험을 예측하는 준거점은 체지방률(남성:27.000%; 여성:36.900%), WHtR(남성:0.519; 여성:0.575), 하지근기능(의자에앉았다일어서기)(남성:18.000회; 여성:18.000회), BMI(남성:24.700kg/m2; 여성:24.900kg/m2)이었다. 75-79세 연령대 남녀 노인에게 하지근기능과 비만요인이 고혈압 발생위험을 예측하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남녀 노인 고혈압 발생위험을 예측하는 준거점은 하지근기능(의자에앉았다일어서기)(남성:18.000회; 여성:17.000회), 체지방률(남성:24.900%; 여성:33.300%), WC(남성:86.800cm; 여성:86.000cm), WHtR(남성:0.506; 여성:0.575), BMI(남성:24.700kg/m2; 여성:24.900kg/m2)이었다. 80세 이상 연령대 남녀 노인에게 근기능과 비만요인이 고혈압 발생위험을 예측하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남녀 노인 고혈압 발생위험을 예측하는 준거점은 절대악력(남성:27.500; 여성:17.100), 하지근기능(의자에앉았다일어서기)(남성:20.000회; 여성:13.000회), WC(남성:90.900cm; 여성:80.200cm), BMI(남성:26.100kg/m2; 여성:24.600kg/m2)이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한국 노인 고혈압 유병률과 건강체력 등급 현황이 좋지 않은데, 이런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고혈압 발생위험과 준거점을 본다면 향후 노인 혈압 관리교육에 도입하게 되면 노인 혈압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노인들이 실생활에서 연령대별 건강체력요인 고혈압 발생위험과 준거점을 경계선으로 삼아, 고혈압에 대한 사상적 측면에서 더욱 중시하게 함으로써, 적절한 건강체력 수준을 유지하여 고혈압 예방 및 발생위험에 큰 도움이 될 것이고 편안한 노후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국민체력100 체력인증센터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체력 측정 후 피험자에게 운동처방을 작성할 때 연령별 체력 등급 기준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된 건강체력요인들이 고혈압을 예방하는 준거점과 결합하여 노인들의 고혈압 예방에 있어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운동처방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7759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24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PORT SCIENCE(스포츠과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