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재우-
dc.contributor.author최윤석-
dc.date.accessioned2022-02-22T02:09:36Z-
dc.date.available2022-02-22T02:09:36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885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24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Studying Student-Athletes’policy from a perspective of policy beneficiaries. The study looks at the how the policy is accepted in the school sports field, and the realistic difficulties and grievances experienced by student athlet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nd eight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interviews from October 9 to October 15, 2021, and literature data on the‘Studying Student-Athletes’policy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were used for research,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o derive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Studying StudentAthletes' policy by dividing it into the lowest education standard application type and learning activity support type, the higher categories of 'raising positive perception' and 'different priorities of policy makers and beneficiaries' were identified. Subsequen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type of learning activity support, the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as 'effective in inducing motivation for study' and 'meaningless learning support'. In response, university student athlet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by participating in the Academic Management Support Program, but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current type of learning activity support policy. Second, in order to analyze how the 'Studying Student-Athletes' policy is accepted, the policy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e Type of application of the minimum academic standard and the learning activity support type.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or not to accept the policy type to which the minimum academic standard is applied, 'change from athletes to student' and 'purpose of policy lost along with coercion' were derived as higher categories. University student athletes are actively engaged in their studies and actively accepting policies by experiencing changes from ‘ Athletes ’ to ‘ Students ’ because of the disadvantage of restricting competition participation if they fail to reach the minimum academic standard. However, even if the minimum academic standard was not reached,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did not accept the policy as there were no disadvantages such as restrictions on competition participation through the learning activity support policy, and eventually, it became a nominal policy that did not have to accept. Subsequent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acceptance of the policy type of learning activity support, the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as 'new experiences and opportunities through learning activities' and 'change and abuse of policy intentions'. It was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 athletes are actively accepting the "Academic Management Support Program" as a new experience and opportunity through learning activities, but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are the role of indulgence of minimum academic standar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icy intention was deteriorated and abused, such as being used as a means to secure training time as it was operated to compensate for class deficits Thir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listic difficulties and grievance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the 'Studying Student-Athletes' policy,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it into the lowest education standard application type and learning activity support typ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alistic difficulties and grievance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minimum academic standard application type policy, the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as 'easy difficulty based on the minimum academic standard' and 'difficulty creating a learning atmosphere'. It was foun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did not experience difficulties or grievances because they could easily reach the minimum academic standard, but some participants were having difficulty creating a learning atmosphere due to lack of learning space and time due to accommodation in the school sports department. Subsequen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alistic difficulties and grievances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the policy to support learning activities, the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as 'their own privileges' and 'the gap between policies and the field'. Participants in research on university student athletes are benefiting from the learning support policy through KUSF's Academic Management Support Program. In this process, as policy benefits centered on student athletes in group events were achieved, student athletes in individual events were excluded from the policy benefits, and the difficulties of limited beneficiaries of the learning activity support policy were recognized. It was then confirmed that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are struggling with the policy to support learning activities as inefficient operation continues due to the unilateral lecture-style class of "Student Athletes e-School" conducted through online classe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positive and negative part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Studying Student-Athletes' policy. Among them, as the minimum academic standard application policy and learning activity support policy applied to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have become nominal, we hope that various academic approaches will be attempted to expand and settle the 'Studying Student-Athletes' policy.|본 연구는 정책수혜자인 학생선수의 관점으로‘공부하는 학생선수’정책에 대한 인식과 학교스포츠 현장에서 정책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정책 이행과정에서 학생선수들이 경험하였던 현실적인 어려움과 고충 등의 실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으며 비확률적 표본추출 방법인 유목적 표집법을 활용하여 8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였다. 2021년 10월 9일부터 10월 15일까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문헌고찰을 통해 수집한‘공부하는 학생선수’정책에 대한 문헌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면담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아래와 같이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공부하는 학생선수’정책에 대한 인식을 최저학력 기준 적용 유형과 학습활동 지원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최저학력 기준 적용 유형에 대한 인식으로는‘학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와‘정책입안자와 수혜자의 상이한 우선순위’라는 상위범주가 도출되며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 모두 확인되었다. 이어 학습활동 지원 유형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학업에 대한 동기유발에 효과적’,‘무의미한 학습지원’으로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에 대해 대학 학생선수들의 경우‘학사관리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긍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경우‘학생선수 e-스쿨’이 관리·감독이 허술하여 맹목적으로 시간만 채우고 있어 현재 시행되는 학습활동 지원 정책 유형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공부하는 학생선수’정책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최저학력 기준 적용 유형과 학습활동 지원 유형으로 구분하여 정책의 수용여부를 분석하였다. 최저학력 기준 적용 정책 유형에 대한 수용여부를 분석한 결과,‘선수에서 학생으로의 변화’와‘강제성과 함께 상실된 정책의 목적성’이 상위범주로 도출되었다. 대학 학생선수들은 최저학력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시 대회출전 제한이라는 불이익이 따르기 때문에 학업에 적극적으로 임하며‘선수’에서 ‘학생’으로의 변화를 경험하며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은 최저학력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학습활동 지원 정책을 통해 대회출전 제한과 같은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고 있어 정책을 수용하지 않고 있었고 결국 최저학력 기준 적용 정책 유형은 수용하지 않아도 되는 유명무실한 정책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이어 학습활동 지원 유형의 수용여부에 대한 분석 결과,‘학습활동을 통한 새로운 경험과 기회’,‘정책의도의 변질과 악용’으로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는 대학 학생선수의 경우‘학사관리지원 프로그램’을 학습활동을 통한 새로운 경험과 기회로 받아들이며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경우‘학생선수 e-스쿨’이 최저학력 기준 적용 유형의 면죄부 역할과 수업결손을 보완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어 훈련시간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등 정책의도가 변질되어 악용되고 있는 현실을 확인하였다. 셋째,‘공부하는 학생선수’정책 이행과정에서 경험한 현실적인 어려움과 고충을 파악하기 위해 최저학력 기준 적용 유형과 학습활동 지원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저학력 기준 적용 유형 정책 이행과정에서 경험한 현실적인 어려움과 고충에 대한 분석 결과,‘최저학력 기준의 쉬운 난이도’,‘학습분위기 조성의 어려움’으로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최저학력 기준에 어렵지 않게 도달할 수 있어 어려움이나 고충을 경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부의 연구참여자들은 학교운동부 숙소생활로 인한 학습공간과 시간의 부재, 대회출전 및 훈련참가로 인한 수업결손 시 발생하는 수업진도의 차이로 인해 학습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 학습활동 지원 정책 이행과정에 경험한 현실적인 어려움과 고충에 대한 분석 결과,‘그들만의 특권’,‘정책과 현장의 괴리’로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대학 학생선수 연구참여자들은 KUSF의‘학사관리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지원 정책을 수혜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단체종목 학생선수 중심의 정책 수혜가 이루어지면서 개인종목 학생선수들은 정책 수혜 대상에서 제외되어 학습활동 지원 정책의 수혜자가 한정적인 것에 대한 고충이 학인되었다. 이어 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은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되는‘학생선수 e-스쿨’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으로 인해 비효율적 운영이 지속되면서 학습활동 지원 정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공부하는 학생선수’정책 이행과정에서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중 고등학교 학생선수에게 적용되는 최저학력 기준 적용 정책과 학습활동 지원 정책이 유명무실해진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결책이 필요한 시점으로 다양한 학술적 접근이 시도되어‘공부하는 학생선수’정책이 확대되고 정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공부하는 학생선수 정책 이행과정에 대한 현실탐구-
dc.title.alternativeExploring the Reality of Policy Implementation for Studying Student-Athlete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최윤석-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unSeok, CHOI-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스포츠과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PORT SCIENCE(스포츠과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