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7 0

리모델링 건축 제도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건축 정책 제언에 관한 연구

Title
리모델링 건축 제도 분석을 통한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건축 정책 제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ustainable Remodeling Building Policy Suggestion through Remodeling Building System Analysis
Author
조강희
Alternative Author(s)
Kang hee. Jo
Advisor(s)
태성호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탄소배출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탄소중립 2050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BAU대비 37%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목표를 수립하였다. 건물부문의 경우 2018년 대비 2030년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32.8% 감축하겠다는 추가 목표를 수립하였으나 국내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은 노후화 건축물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건축물 리모델링을 통한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방안이 이슈가 되며, 국내에서도 다양한 제도 및 정책을 통해 건축물 리모델링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리모델링 관련 연구가 운영단계 에너지 소비량 감축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리모델링 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의 경우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정책에 집중되어 있어 국내 현 수준의 리모델링 건축 정책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통한 탄소중립을 실현하고자 하는 국가 정책에 부합하다 말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국내 리모델링 건축 정책 제언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지속가능성 관련 문헌을 조사 및 분석하여 지속가능성을 리모델링 건축 개념에서 지속가능성을 환경성, 사회성, 경제성으로 구분하여 세부 항목을 정의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한국을 포함하여 7개국의 리모델링 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을 국내외 리모델링 건축 정책을 수립 시 높게 고려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측면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국내 리모델링 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의 미흡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환경성 측면에서 리모델링 건축물 전과정평가 정책 및 방법론을 제안하고, 사회성, 경제성 측면에서 리모델링 지원사업을 제안함으로써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미흡한 국내 리모델링 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장 : 서 론 제 2장 : 기존문헌 고찰 제 3장 :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건축 개념 제안 제 4장 : 리모델링 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 분석 제 5장 : 지속가능한 건축물 리모델링을 위한 정책 제안 제 6장 : 결 론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건축물 리모델링 실현을 위한 지속가능한 국내 리모델링 건축 정책 제언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건축 개념을 정의하고,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국내외 리모델링 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지속가능한 리모델링 건축 개념을 1. 환경성, 2. 사회성, 3. 경제성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1. 환경성 은 (1)탄소중립, (2)자원순환, (3)오염관리로 구분하여 정의 하였다. (1)탄소중립은 ‘에너지 설비 고효율화’, ‘신재생 에너지 설비 설치’, ‘탄소배출량 제한’ 항목으로, (2)자원순환은 ‘폐기물 처리’, ‘재사용 자재 사용’, ‘용수 재활용’으로, (3)오염관리는 ‘수질 오염물질 관리’, ‘대기 오염물질 관리’, ‘토양 오염물질 관리’로 구성하였다. 2. 사회성은 (1)거주성, (2)내구성ㆍ안전성, (3)지역영향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1)거주성은 ‘사회적 형평성’, ‘기본환경’, ‘쾌적환경’으로, (2)내구성ㆍ안전성은 ‘내진성능, 내구성능’, ‘근로자 산업안전’으로, (3) 지역영향은 ‘지역사회 영향’, ‘지역생태계 영향’으로 구성하였다. 3. 경제성은 (1)직접지원과 (2)규제완화로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1)직접지원은 ‘지원금, 보조금 지원’, ‘세금공제’로, (2)규제완화는 ‘건설기준완화’로 구성하였다. 2. 한국,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캐나다를 포함한 7개국의 리모델링 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을 분석하였으며, 일본을 제외한 조사대상국의 리모델링 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 분석 결과 1. 환경성 중에서는 (1)탄소중립, 2. 사회성 중에서는 (1)거주성, 3. 경제성 중에서는 (1)직접지원이 높게 분석되었다. 3. 국내 리모델링 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 분석 결과 1. 환경성 측면에서 (2)자원순환, (3)오염관리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에너지 설비 교체 중심의 (1)탄소중립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사회성 측면에서는 (2)내구성ㆍ안전성의 경우 법적인 제한을 통해 강하게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3)지역영향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경제성 측면에서는 (2)규제완화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본 연구에서는 리모델링 건축물 전과정평가 수행 정책 및 방법을 제안하고, 리모델링 지원 사업을 제안함으로써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국내 리모델링 건축 관련 제도 및 정책을 보완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 제안 정책과 국내 현 수준의 리모델링 건축 정책 시행 시 지속가능한 건축물 리모델링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Globally, interest in carbon emissions is increased, and carbon emission reduction targets were set, and in Korea, the carbon neutral 2050 strategy has established a target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37% BAU to 2030. In the case of the building sector, we have established additional goals that will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2030 for 2018, but most of the domestic building sector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caused by aging building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a plan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building sector through building remodeling becomes an issue, and it was intended to support building remodeling through various systems and policies in Korea. However, most remodeling related studies are currently focused on reducing operating phase energy consumption, especially remodeling building systems and policies are concentrated on energy savings. It is difficult to speak to the national policy to realize carbon neutrality. In this study, we have conducted research on the purpose of sustainable domestic remodeling building policy suggestion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documents related to sustainability, detailed items were defined by dividing sustainability into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from the concept of remodeling buildings. Based on this, the systems and policies related to remodeling building in seven countries, including Korea, were analyzed for sustainability, which is highly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remodeling building policies at domestic and international, and insufficient factors of Korea remodeling building policies were derived. Since then, we propose a remodeling building policy in terms of environmental and methodology, and proposed remodeling support projects in terms of sociality and economy, we intended to complemented the system and policy of insufficient domestic remodeling building policie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6 chapters, and the main contents of each chapter are as follows. Chapter 1 : Introduction Chapter 2 : Theoretical Review Chapter 3 : Proposal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remodeling building Chapter 4 : Analysis of systems and policies related to remodeling building Chapter 5 : Policy Proposal for Sustainable Building Remodeling Chapter 6 :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suggesting a sustainable domestic remodeling building policy to realize sustainable building remodeling. In addition, the concept of sustainable remodeling building was defin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modeling building-related systems and policies in terms of sustainability. 1. The concept of sustainable remodeling building was defined by dividing it into 1. environmental, 2. social, and 3. economic, and 1. environmentality was defined by dividing it into (1) carbon neutrality, (2) resource circulation, and (3) pollution management. (1)Carbon neutrality consists of 'high efficiency of energy facilities', 'installation of renewable energy facilities', and 'restriction of carbon emissions', (2) resource circulation consisted of 'waste treatment', 'reuse materials', and (3) pollution management consisted of 'water pollutant management', and 'soil pollutant management'. 2. Sociality was defined by dividing it into (1) residential, (2) durability and safety, (3) regional impact, (1) residential was composed of 'social equity', 'basic environment', and 'comfortable environment', (2) durability and safety was composed of 'resistance, durability', and (3) regional impact was 'local ecosystem impact'. 3. Economic feasibility was defined by dividing (1) direct support and (2) deregulation, (1) direct support consisted of 'support, subsidy support' and 'tax deduction', and (2) deregulation consisted of 'construction standard relaxation'. 2. The systems and policies related to remodeling building in seven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France,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modeling building-related systems and policies of the survey target countries excluding Japan, direct support in economy, carbon neutrality in environmentalilty was highly analyzed among carbon neutrality, residential in sociality. 3. As a result of analyzing domestic remodeling building-related systems and policies, it was analyzed that considerations for resource circulation and pollution management were insufficient in terms of environment, and carbon neutrality centered on energy facility replacement was being conducted. In terms of sociality, it was analyzed that durability and safety were strongly satisfied through legal restrictions, but it was analyzed that consideration of regional impact was insufficient. In terms of economy, it was analyzed that consideration for deregulation was insufficient. 4. This study proposed policies and methods for life cycle assessment of remodeling building and proposed remodeling support projects to supplement the domestic remodeling building-related systems and policies in terms of sustainability, and it is believed that sustainable building remodeling will be possible.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056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23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SMART CITY ENGINEERING(스마트시티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