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7 0

박물관 소장품 감상을 통한 미적경험의 인지적 측면에 관한 사례연구

Title
박물관 소장품 감상을 통한 미적경험의 인지적 측면에 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Intellectual Dimension of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Appreciation of Museum Collections
Author
김경은
Alternative Author(s)
Kim, Gyeongeun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collection is the core and foundation of the museum a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identity and specificity. The collection conveys the specific theme and meaning of the museum's identity to the visitors through exhibitions. Therefo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llection and the visitors occurs in the exhibition hall. Museum education helps to create a smoo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ction and visitors. Thus, museum education plays a role in connecting the collection and visito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ction and visitor can drive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collec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finds out the role and meaning of collections as educational materials. To find out about this, the role and meaning of the collection in the visitor's appreciation activities were explored. The researcher examined the intellectual dimensions of aesthetic experience among various experiences, behaviors, and elements observed in the visitor's appreciation activity. This is because analyzing experiences related to knowledge acquisition is suitable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 to solve these research objectives i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intellectual dimension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bserved in appreciating the collection? Second, Regarding the intellectual dimension of aesthetic experience, what is the role of collections as educational materials? Third, Regarding the intellectual dimension of aesthetic experience, what does the collection mean in museum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set research ques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analysis of prior research, selection of research cases,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In the analysis process of previous studies, literature on aesthetic experience, intellectual dimensions of aesthetic experience, and collections, which are the main words of this study, were examined. Next,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case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single case study. Experiences related to appreciation of collections of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rough this process, the role of the collection is a tool for using knowledge, and the meaning is derived as a knowledge production medium. The roles and meaning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depending on how knowledge is applied and achieved. The first role collections play educational materials is as a knowledge-checking tool. The collection acted as a tool to confirm related knowledge. The second role was a knowledge acquisition tool, allowing participants to acquire new knowledge through appreciation of the collection. The third role is a tool to induce the desire to acquire knowledge, and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the collection, the participants' desire to know new knowledge was observed. The fourth role is a tool for using knowledge. The collection functioned as a tool for the participants to utilize their knowledge. The meaning of the collection that can be inferred through the role of the collection as an educational material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The first meaning of the collection is a medium to be overlaid with memories. The collection helped the participants with related memories as they piled up, and through this, the participants' memories and knowledge of the collection became clearer. The second meaning is a medium that broadens the field of view. The four roles of collections as educational materials broadened the insights of the participants. The third meaning is a knowledge mining medium. The collection was meaningful as a means and medium for participants to explore and consider knowledge. The fourth meaning as an educational material is the knowledge creation medium. The collection created new knowledge to have new interpretations and meanings only for the participa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ction and the visitor, and considered the role and meaning of the collection through visitor appreciation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educational materials are materials that promote learning.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collection in terms of the use of knowledge. Through this, the role and meaning of the collection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erms of knowledge utilization were identified. This study looked at the various roles, functions, and importance of the collection in learning tools. Viewing the collections from multiple perspectives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using various collections in museums and museum education and producing quality results through them.|소장품은 박물관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결정짓는 요소로 박물관의 핵심이자 근간이다. 소장품은 전시를 통해 박물관의 정체성이 담긴 특정 주제와 의미를 관람객에게 전달한다. 그러므로 소장품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은 전시실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장품과 관람객의 관계가 원활하게 생성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박물관교육이다. 따라서 박물관교육은 소장품과 관람객을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소장품의 가치와 의미는 소장품과 관람객의 특수한 관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장품과 관람객의 관계에 주목하여 소장품이 교육자료로써 가지는 역할과 의미를 관람객의 감상 활동에서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관람객의 감상 활동에서 관찰되는 여러 경험과 행동, 요소 중에서 미적경험의 인지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교육자료로써 소장품의 역할과 의미를 알아보는 것으로, 지식 습득과 관련된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장품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관찰되는 미적경험의 인지적 측면은 무엇인가? 둘째, 미적경험의 인지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교육자료로써 소장품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미적경험의 인지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박물관교육에서의 소장품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설정한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는 선행 연구 분석, 연구 사례 선정, 자료 수집, 자료 분석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 분석 과정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어인 미적경험, 미적경험의 인지적 측면, 소장품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의 상설전시실에서 이루어진 감상 활동을 연구 사례로 선정하여 단일 사례연구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소장품 감상과 관련된 경험을 참여관찰과 인터뷰 등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교육자료로써 소장품의 역할은 지식 이용 도구이며, 의미는 지식 산출 매체로 도출되었다. 귀납된 역할과 의미는 각각 어떻게 지식이 적용되고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4개의 역할로 구분되었다. 소장품이 교육자료로써 수행하는 첫 번째 역할은 지식 확인 도구이다. 소장품은 관련 지식을 확인할 수 있는 도구로써 작용하였다. 두 번째 역할은 지식 습득 도구로 소장품 감상을 통해 연구 참여자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역할은 지식 습득 욕구 유발 도구로 소장품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을 알고 싶은 연구 참여자의 욕구가 관찰되었다. 네 번째 역할은 지식 활용 도구이다. 소장품은 연구 참여자가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서 기능하였다. 앞에서 서술한 교육자료로써 소장품의 역할에 대하여 귀납된 소장품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소장품의 첫 번째 의미는 기억 덧칠 매체이다. 소장품은 연구 참여자의 관련 기억에 대한 층을 쌓게 함으로써 연구 참여자의 소장품에 관한 기억 및 지식이 선명해질 수 있었다. 소장품의 두 번째 의미는 시야 확장 매체로 교육자료로서 소장품이 가지는 4개의 역할은 연구 참여자의 식견을 확장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세 번째 의미는 지식 채굴 매체이다. 소장품은 연구 참여자에게 지식을 탐구하고, 고찰하게 하는 수단이자 매체로서의 의미를 지녔다. 네 번째 소장품의 교육자료로써 의미는 지식 창조 매체이다. 소장품은 연구 참여자에게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고 생성하게 하여 연구 참여자만의 해석과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소장품과 관람객의 관계에 주목하여 소장품의 역할과 의미를 관람객 감상 활동을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교육자료가 학습을 증진하게 하는 자료라는 것에 주목하여 지식 활용 측면에서 소장품을 바라보았다. 이를 통해 소장품이 지식 활용 측면에서 수행하는 교육자료로서 역할과 그것에 의해 가지는 의미를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장품의 여러 가지 역할과 기능 및 중요성을 학습 도구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렇게 소장품을 여러 가지 관점으로 보는 것은 박물관과 박물관교육에서 다양한 소장품의 활용과 그것을 통해 양질의 결과를 낳을 수 있는 밑거름으로 작용할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90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16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MUSEUM EDUCATION(박물관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