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4 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사회 호칭어 교육 연구

Title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사회 호칭어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ocial Appellation Education For Chinese Korean Learners :Focused On Female Social Appellation
Author
나령령
Alternative Author(s)
LUO LINGLING
Advisor(s)
김정선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사회 호칭어는 사람들의 교제(交際) 언어에서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며 의사소통에서 상대방에게 가장 먼저 전달되는 정보이기도 한다. 한국과 중국의 지역 문화, 문어와 구어의 차이, 고대 호칭어와 현대 호칭어의 공존 등 요소로 인해 한국과 중국의 호칭어는 풍부하고 다양해졌다. 즉, 한국과 중국의 호칭어 체계도 매우 복잡하다고 할 수도 있다. 그 중에 여성의 사회적 지위의 큰 변화와 여성의 민감한 심리로 인해 외국인 학습자들은 여성 호칭어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가 더 복잡해졌다. 본 연구는 한·중 여성 사회 호칭어를 중심으로 비교 연구와 여성 사회 호칭어의 사용 및 교육 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사화 호칭어 체계를 정확하게 학습하고 한국 문화도 정확하게 인식하고 여성 사회 호칭어를 쉽게 구별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는 중국어와 한국어의 호칭어를 비교한 연구의 성과는 있는데 중국어와 한국어의 여성 호칭어에 대한 비교 연구는 많지 않다. 주로 단순하게 여성 호칭어를 분류하여 분석하기와 여성 호칭어의 의미 변화, 의미 변화에 반영된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데 머물렀다. 한·중 호칭어 대조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거의 두 나라의 호칭어 체계를 고찰하고 양국 호칭어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비교 분석과 시대 변화에 따른 호칭어 의미 변화에 관심을 두었다. 호칭어 교육에 관한 연구도 있지만 대부분 연구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주로 교재 분석과 양국의 호칭어 체계를 부석하는 것에 집중한다. 일상생활에서의 사회 호칭어 사용이 빠지게 되었고 사용 상황과 호칭어 선택 변인에 따른 외국인의 호칭어 상용 양상을 자세하게 알아보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보완하면서 우선 한·중 여성 사회 호칭어를 유형별로 대조하여 한·중 여성 사회 호칭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하게 한다. 다음으로 초급, 중급, 고급의 중국인 학습자를 조사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자주 접하는 학교생활, 직장 생활, 일상생활의 의식주 외에 여성 사회 호칭어의 선택 변인과 같이 고려하여 설문조사의 방식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여성 사회 호칭어 사용 양상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기로 한다. 이 두 가지 연구 방법을 통해 어휘 교수, 그리고 문화적 교육의 측면에서 한국어 여성 사회 호칭어 교육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도록 하겠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그리고 연구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중 양국의 호칭어 비교, 여성 호칭어, 그리고 호칭어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도 같이 살펴보겠다. 제 2 장에서는 한·중 호칭어의 정의 및 분류 그리고 사회 호칭어의 선택 변인을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 3 장에서는 한·중 여성 호칭어를 유형별로 비교하여 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 것이다. 제 4 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각 상황에서 사용하는 여성 사회 호칭어의 사용 및 교육 실태를 조사하기로 하겠다. 그리고 앞에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은 호칭어를 구별할 수 있고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여성 사회 호칭어 교육에 대한 제안을 제출하겠다. 제 5 장에서 본 연구 앞에 제시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고 부족한 점을 지적하여 마무리하겠다.| Social terminology is an indispensable part of people's social language, and it is also the firs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other person in communication. Due to factors such as the regional culture of Korea and China, the difference between written and spoken language, and the coexistence of ancient and modern appellation the appellation of Korea and China have become rich and divers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system of appellation in Korea and China is also very complex. Among them, the factors that foreign learners must consider when using female appellation have become more complicated due to the large change in female social status and the sensitive psychology of women. In this study, through comparative studies focusing on Korean-Chinese female social appellation and a survey on the use and educational status of female social appellation, Chinese learners accurately learn the social and social appellation system of Korean language, recognize Korean culture accurately, and develop female social appellation. The purpose is to make it easy to distinguish and use correctly. So far, there have been results of studies comparing Chinese and Korean appellation, but there are not many comparative studies on female appellation in Chinese and Korean. It mainly focused on simply classifying and analyzing female appellation and analyzing social phenomena reflected in the change in meaning of female appellation and changes in meaning. Looking a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appellation in Korea and China, the system of appellation of almost two countries was consider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attention was paid to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titl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lthough there are studies on linguistic education, most of these studies are intended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It mainly focuses on analyzing textbooks and analyzing the system of appellation in both countries. The use of social appellation in daily life has been omitted, and it is not possible to find out in detail the pattern of foreign use of nicknam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use and the variables of choice of appellation . Therefore, while complementing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larifie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emale social appellation by first comparing them by type. Next, Chinese learners of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were surveyed, and in addition to school life, work life, and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daily life, which they frequently encounter, the survey was conducted by considering the selection variables of female social appellation. I would like to analyze the usage pattern. Through these two research methods, I would like to present a proposal for the education of Korean female social appellation in terms of vocabulary teaching and cultural education. Chapter 1 explains in detail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s well a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study. We will also look at previous studies on comparison of titles between Korea and China, female appellations, and education on appellations. In Chapter2 will explain in detail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Chinese appellations and the selection variables of social appellations. In Chapter3 compares Korean and Chinese female appellations by type and examines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hapter4, we will investigate the use of female social appellations and the educational status of Chinese learners in each situation. And, based on the content presented above, I will submit a proposal for educating female social appellation so that Chinese learners can distinguish and use titles effectively. In Chapter5, I will conclude by briefly summarizing the content presented before this study and pointing out the shortcoming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56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07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LEARNING SCIENCE(러닝사이언스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