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6 0

서울시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

Title
서울시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ocial Diversity that Affects the Survival Rate of Neighborhood Facilities in Seoul : Focusing on income diversity
Author
최슬기
Alternative Author(s)
Choi Seul Gi
Advisor(s)
박진아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in Seoul, the decrease in the business period of neighborhood facilities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due to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has become a problem. The decrease in the operating period of neighborhood facilities is an indicator of instability in society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neighborhood, and the need for policy preparation for the protection of neighborhood facilities is increasing. These neighborhood facilities provide goods and services necessary for daily life to residents, and sometimes serve as a venue for social activities, acting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particular, area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low-income groups with poor living conditions lack infrastructure compared to other areas due to unequal distribution of resources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imitations in services. If regional disparities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se specific classes persist, regional inequality may become fixed. Therefore, focusing on the income that represents the social class of the region, we will examine how the regional income diversity affects the survival rate of neighborhood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survival rate of neighborhood facilities in Seoul through survival analysis and to check how the survival rate of neighborhood facilities appears according to regional income diversit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 factors affecting diversity affect the survival rate of neighborhood facilities. As the business period of neighborhood facilities decreased from 4.7 years in 2010 to 4 years in 2019, it was confirmed that the sustainability of neighborhood facilities was decreasing. Also, when examining Seoul by administrative dong,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operating period of neighborhood facilities differed depending on the region. Through this,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the survival rate and survival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of neighborhood facilities depending on the region. First, we looked at how the characteristics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physical and location factors differ by type of income diversity through basic stat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s with high and low-income diversity are as follows. In regions with low-income diversity, income, number of residential population,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 the ratio of old buildings, old-age dependency ratio, child support ratio, number of houses, and apartment ratio were lower than those with high-income diversity. The ratio was found to be higher than in regions with high-income diversity. Therefore, Hypothesis 1 was verified according to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physical and location factors appeared differently for each type of income diversity. Accordingly, regions with low-income diversity, centered on 425 administrative dongs, were defined as type 1, regions with medium income diversity as type 2, and regions with high-income diversity as type 3. The Kaplan-Meier analysis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survival rate trend of neighborhood facilit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ival rate decreased sharply by 48 months. The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 of neighborhoo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come diversity was examined using the log-rank test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 of neighborhoo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income diversity. Areas with high income diversity had the highest survival rate at neighborhood facilities, and areas with low income diversity showed the lowest survival rate at neighborhood facilities. As a result, the survival rate of neighborhood facilitie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income diversity, so Hypothesis 2 was verified. The Cox proportional risk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come diversity and diversity factors on the risk of closure of neighborhood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n area where the ratio of old buildings increased, an area where the old-age dependency ratio increased, and an area where the number of houses increased decreased the risk of closure of neighborhood facilities. Population number, floating population, childhood dependency ratio, single-family housing ratio, proximity to large-scale stores, and proximity to public transportation were found to increase the risk of closure of neighborhood facilitie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derive factors affecting the risk of closure of neighborhood facilities and demonstrate that regional income diversity affects the survival rate of neighborhood facilities. Therefore, Hypothesis 3 was verified by demonstrating that socio-economic factors and physical and location factors affect the risk of closure of neighborhoo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rvival rate and survival factors of neighborhood facilities, which are the most essential commercial facilities for residents, are derived. have.|최근 서울에서는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한 주거지역에 위치한 근린생활시설의 영업기간 감소가 문제가 되고 있다. 근린생활시설의 영업기간 감소는 사회 및 근린의 지속가능성에 불안정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근린생활시설의 보호에 대한 정책 마련의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근린생활시설은 지역주민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며, 때때로 사회활동의 장 역할을 하며 주민들의 삶의 질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주거환경이 좋지 않은 저소득 계층이 밀집된 지역은 자원의 불균등 배분 및 서비스의 양적․질적 한계로 인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기반시설이 부족하다. 이러한 특정계층의 밀집으로 인한 지역격차가 지속된다면 지역의 불평등이 고착화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사회계층을 나타내는 소득을 중심으로 지역의 소득 다양성이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존분석을 통해 서울시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을 도출하고, 지역의 소득 다양성에 따라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에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근린생활시설의 영업기간은 2010년 4.7년에서 2019년 4년으로 감소함에 따라 근린생활시설의 지속성이 감소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울시를 행정동별로 살펴보았을 때, 지역에 따라 근린생활시설의 평균 영업기간이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에 따라서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 및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생존요인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먼저, 사회⋅경제적 요인과 물리⋅입지적 요인의 특성이 소득 다양성의 유형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기초통계량을 통해 살펴보았다. 소득 다양성이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득 다양성이 낮은 지역은 소득 다양성이 높은 지역보다 소득, 주거인구 수, 유동인구 수, 노후 건축물 비율, 노년부양비, 유년부양비, 주택 수, 아파트 비율 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세대 가구 비율, 단독 가구 비율은 소득 다양성이 높은 지역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회⋅경제적 요인과 물리⋅입지적 요인의 특성이 소득 다양성의 유형별 다르게 나타나는 것에 따라서 가설1을 실증하였다. 이에 따라 행정동 425개를 중심으로 소득 다양성이 낮은 지역을 유형1로 정의하였고, 소득 다양성이 중간인 지역을 유형2, 소득 다양성이 높은 지역을 유형3으로 정의하였다. 카플란-마이어 분석방법을 통해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 추이를 살펴보았으며, 48개월까지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득 다양성의 유형에 따른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 차이를 로그-순위검정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는 소득 다양성의 유형에 따라서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에 차이가 나타났다. 소득 다양성이 높은 지역이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이 가장 높았으며, 소득 다양성이 낮은 지역이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소득 다양성의 유형에 따라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가설2를 실증하였다. 근린생활시설의 폐업위험률에 소득 다양성과 다양성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콕스비례위험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로는 노후 건축물의 비율이 증가하는 지역, 노년부양비가 증가하는 지역, 주택의 수가 증가하는 지역은 근린생활시설의 폐업위험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수, 유동인구 수, 유년부양비, 단독주택 비율, 대규모 상점 인접성, 대중교통 인접성 등은 근린생활시설의 폐업위험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근린생활시설의 폐업위험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지역의 소득 다양성이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침을 실증하였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요인과 물리⋅입지적 요인이 근린생활시설의 폐업위험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함에 따라 가설3을 실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 따라 지역주민들에게 가장 필수적인 상업시설인 근린생활시설의 생존율 및 생존요인을 도출함으로써 지자체와 정부의 근린생활시설 폐업 방지 대책 마련의 기초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65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0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