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9 0

습지보전계획에 따른 블루카본 흡수 잠재량 분석

Title
습지보전계획에 따른 블루카본 흡수 잠재량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Blue Carbon Storage Potential by Korean Wetland Conservation Plan
Author
서민아
Alternative Author(s)
Seo, Min Ah
Advisor(s)
김진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전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변화는 인간활동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산업 등 모든 면에서 문제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구온난화, 기후위기 등 세계적으로 이상기온이 발생함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전 국가적으로 관심있는 분야가 연안습지에서 발생하는 해양생태계에 따른 ‘블루카본(Blue carbon)’ 이다. 블루카본은 어패류, 잘피, 염생식물 등 바닷가에 서식하는 생물은 물론 맹그로브 숲 , 염습지와 잘피림 등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뜻한다. 블루카본의 탄소 흡수속도는 육상 생태계보다 최대 50배 이상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지구온난화가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현재 매우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블루카본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이며, 연구가 진행 중이므로 해당 내용에 대한 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전체 면적 2,482.0㎢에 달하는 세계 5대 갯벌 보유국으로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최근 해안 개발 및 환경오염 등으로 갯벌의 면적이나 해양생태계가 급속히 손실되고 있어 해안 서식지를 보호하고 복원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블루카본에 대한 정의에 대해 정립한다. 국가에서 수립한 관련 법 및 정책에 대해 분석 후 우리나라 습지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환경부와 해양수산부에서 지정한 우리나라 연안습지의 면적 및 현황을 분석한다. 그리고 제5차 습지보전기본계획 수립시기인 2028년까지 연안 습지면적 변화를 예측하고 탄소저장량 변화를 산정한 결과를 토대로 공공적 가치적용을 위해 연안습지를 활용한 블루카본 발생량을 분석하여 블루카본 흡수 잠재량을 분석 및 손해비용을 산정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습지보전계획이 수립 시 습지에 대한 조사 방법 및 정책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Currently, climate change occurring around the world is raising problems in all aspects, including natural environment and industry, as well as human activities. As abnormal temperatures occur worldwide, such as global warming and climate crisis, each country establishes various policies to reduce greenhouse gases and cope with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the field of world interest is "Blue carbon". according to the marine ecosystem occurring in coastal wetlands. Blue carbon refers to the carbon absorbed by marine ecosystems such as mangrove forests, salt wetlands, and seaweed, as well as creatures living on the beach such as fish, shellfish, and salt plants. When global warming ha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blue carbon absorption is known to be up to 50 times faster than the land ecosystem, drawing attention. However, research on blue carbon is currently in the early stages in Korea, and data on the contents are insufficient. Korea has high potential as one of the world's top five tidal flats with a total area of 2,482.0㎢, but it is necessary to protect and restore coastal habitats due to rapid loss of tidal flats due to coast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blue carbon is established. It also analyzes related laws and policies established by the stat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wetlands in Korea, the area and status of coastal wetland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re analyzed to predict changes in coastal wetland areas by 2028. In addition, for the application of public value, we intend to analyze the amount of blue carbon absorption potential and calculate the cost of damage by analyzing the amount of blue carbon generated using coastal wetlands. Finally, when establishing a wetland conservation plan in the future, I would like to suggest a method of investigating wetlands and policy direction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28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94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ARTH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자원환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