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4 0

바로크, 고전, 낭만시대 오페라의 테너 아리아 비교연구: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구노의 《로미오와 줄리엣》 속 테너 아리아를 중심으로

Title
바로크, 고전, 낭만시대 오페라의 테너 아리아 비교연구: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구노의 《로미오와 줄리엣》 속 테너 아리아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enor Arias in Operas of the Baroque, Classical, and Romantic Periods: Monteverdi's Orfeo, Mozart's Magic Flute, and Gounod's Romeo and Juliet
Author
이가환
Alternative Author(s)
LI JIAHUAN
Advisor(s)
김우경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바로크, 고전, 낭만시대 오페라의 테너 아리아에 관한 비교연구로,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 속 오르페오의 아리아 ‘Vi ricorda, o bosch'ombrosi’(그대는 기억하는가, 오 그늘진 숲이여),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속 타미노의 아리아 ‘Dies Bildnis ist bezaubernd schön’(이 얼마나 매혹적이고 아름다운 초상화인가), 그리고 구노의 《로미오와 줄리엣》 속 로미오의 아리아 ‘L'amour, l'amour! Oui, son ardeur a troublé’(사랑, 사랑! 내 모든 존재를 뒤흔들었어)를 연구대상으로 채택하여, 이 작품들을 중심으로 각 시대의 사회상과 오페라의 관련성을 논하고, 이들 아리아에 내재한 시대적 양상 및 작곡가들의 음악적 어법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는 오페라 탄생 이후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작품 중 하나로, 당시 문학 장르의 잠재력을 나타낸 오페라 작품이다. 《오르페오》 속 오르페오의 아리아 ‘Vi ricorda, o bosch'ombrosi’는 리토르넬로 형식, ‘가사 그리기’ 기법, 통주저음의 사용 및 오페라 장면에 따른 악기 음색 변화 등 바로크의 특징적인 음악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모차르트의 《마술피리》는 독일에서 발전된 징슈필의 정점을 이룬 작품이다. 《마술피리》 속 타미노의 아리아 ‘Dies Bildnis ist bezaubernd schön’은 A-B-C-Coda의 통절형식으로 구성되었고, 선율의 대칭성과 균형미, 5도 관계로의 전조, 관현악 음색을 통한 인물의 성격과 신분 암시 등 모차르트의 작곡기법을 나타낸다. 구노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19세기 후반 프랑스 서정 오페라 작품이다. 《로미오와 줄리엣》 속 로미오의 아리아 ‘L'amour, l'amour! Oui, son ardeur a troublé’은 레치타티보와 아리아로 구성된 카바티나이며, 서정적 선율과 반음계주의, 3도 관계의 전조 및 인물의 신분과 내면을 묘사하는 풍부한 관현악 기법 등 구노의 특징적인 음악적 특징을 나타낸다. 이렇듯, 본 논문은 각각 다른 세 개의 시대와 나라의 대표적 오페라 작품의 테너 아리아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들 작품을 연주하는 연주자들의 작품 해석에 도움이 되는 연구자료를 제시하였으며, 특히 현재까지 연구가 비교적 미비한 바로크 시대 오페라에 대한 연구자료를 보완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This dissertation represents a comparative study of tenor arias in the Baroque, Classical and Romantic periods, where C Monteverdi’s Orfeo aria ‘Vi ricorda, o bosch'ombrosi’ from L'Orfeo, W A Mozart’s Tamino aria ‘Dies Bildnis ist bezaubernd schön’ from Die Zauberflöte, and C Gounod’s Romeo aria ‘L'amour, l'amour! Oui, son ardeur a troublé’ from Romeo et Juliette are selected as the designated subjects of the study. In identifying specific elements of these pieces, the study aims to elaborate on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ituations and operas, as well as understanding social aspects reflected in arias and musical expressions of the composers. Monteverdi’s L'Orfeo is considered by many to be the most significant piece since the birth of opera, showing the potential of the pervading literature genre of the time. The Orfeo aria ‘Vi ricorda, o bosch'ombrosi’ from L'Orfeo uses the ritornello form, the word-painting technique, and thorough bass; it also includes a change in instrumental tone according to relevant operatic scenes, reflecting a characteristic of the musical forms of the Baroque period. Mozart’s Die Zauberflöte is a masterpiece of Singspiel, first developed in Germany. Tamino’s aria ‘Dies Bildnis ist bezaubernd schön’ from Die Zauberflöte is a through-composed form of A-B-C-Coda. The piece showcases his composing skills and the musical form of the Classical period, including a symmetry and balance of melody, a modulation to a dominant relationship, and implications about characters and their social statuses through the tone of orchestral music. Gounod’s Romeo et Juliette is a piece that was a popular Opéra lyrique in late 19th century France. The Romeo’s aria ‘L'amour, l'amour! Oui, son ardeur a troublé’ from Romeo et Juliette is a cavatina that consists of recitativo and arias and demonstrates the musical feature of the Romantic period combining Gounod’s composing skills, including lyrical melodies, chromaticism, a modulation of mediant relationship, and colourful orchestral techniques that describe the characters’ social statuses and thoughts. The study of representative Italian, German and French operas from the Baroque, Classical and Romantic periods, and respective major tenor arias, are meaningful for tenors who study these arias, serving as relevant literature for interpretation and leading to more efficient performanc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84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8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