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6 0

20세기 음악의 새로운 시간성을 만들어가는 형식들

Title
20세기 음악의 새로운 시간성을 만들어가는 형식들
Other Titles
The Forms of Creating New Temporality in Twentieth-Century Music: Based on Discontinuous and Static Form
Author
박수인
Alternative Author(s)
Park, Suin
Advisor(s)
정경영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paper reveals that the fundamental novelty of 20th-century musical works lies in the ‘form’ of creating new temporality beyond the dimension of ‘materials.’ I systematically compile formal discourse of Western-Europe music that appeared throughout the early and mid-20th century and analyzes its musical examples closely. In Chapter 1, I deal with Debussy who goes beyond the traditional teleological musical form absorbing popular culture quickly, and maintains a critical distance from German music traditions, working in Paris during the Belle Époque era at the same time. And then I examine, in Chapter 2, the new musical formal trends of in the 20th century based on music theorist Jonathan Kramer’s of theory on musical temporality. After that, the main topics of this paper are dealt with, focusing on the formal experiments of composers that took place in earnest after World War II. In short, the new forms are the discontinuous form and the static form. The discontinuous form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s constituting the whole work, and the static form indicates the musical direction within the part. In the last Chapter 3, I analyze specific works, which are Stravinsky’s Symphonies of Wind Instruments and Messiaen’s Chronochromie. I will investigate how the discontinuous and static temporality make form closely. the ultimate significance of this paper reveals that fundamental novelty of 20th-century music make us experience of time spatially through inscribing in music to time which is physically distorted.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fundamental ideological transformation of 20th century music, which was not clearly revealed on the surface, by revealing that the speciality of 20th century music lies in engraving physically distorted time into music and experiencing time spatially.|이 논문의 목적은 20세기 음악 작품의 근본적 새로움이 ‘재료’의 차원을 넘어 새로 운 시간성을 만들어가는 ‘형식’에 있다는 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세기 초와 중반에 걸쳐 나타난 서유럽 음악의 형식적 담론을 체계적으로 집성하고, 그 음 악적 예를 치밀하게 분석한다. 제1장에서 다루는 드뷔시는 벨 에포크 시대 프랑스 파리에서 활동하면서 독일 음악 전통에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는 한편, 대중문화를 빠르게 흡수하면서 전통적인 목적론적 음악 형식을 넘어선다. 제2장에서는 음악이론 가 조나단 크레이머의 음악적 시간성 이론을 토대로, 20세기 음악의 새로운 형식적 경향을 알아본다. 그 후에는 제2차세계대전 후 본격적으로 일어난 작곡가들의 형식 실험을 중심으로 이 논문의 주요 논제를 다룬다. 요컨대 그 새로운 형식이란 불연속 적 형식과 정지적 형식이다. 불연속적 형식은 음악작품을 구성하는 부분들 간의 관 계를 규정하며 정지적 형식은 부분 내에서 음악적 방향성을 지시한다. 마지막 제3장 에서는 스트라빈스키의 《관악교향곡》과 메시앙의 《크로노크로미》를 분석해 실제 작 품에서 이러한 불연속적 시간성과 정지적 시간성이 어떻게 형식화되는지 면밀하게 살핀다. 이 논문은 20세기 음악의 각별함이 물리적으로 왜곡된 시간을 음악 안에 새 겨 시간을 공간적으로 경험하게 하는 것에 있다는 점을 드러냄으로써, 표면적으로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던 20세기 음악의 근본적인 관념적 전환을 밝혔다는 데 그 의 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046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86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USIC(음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