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S. 엘리엇의 『네 사중주』에 그려진 시간과 구원

Title
T. S. 엘리엇의 『네 사중주』에 그려진 시간과 구원
Other Titles
Time and Salvation in T. S. Eliot’s Four Quartets
Author
지혜
Advisor(s)
윤일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how T. S. Eliot embodies a new concept of co-existence of time and timelessness in his work, Four Quartets and analyzes how the poet contemplates a human life. Eliot has put his deeper philosophical and spiritual view of life about the matter of time in the works. If his early poems focused on the time-trapped self and that despair, in Four Quartets, he has moved toward the goal of salvation to achieve the unity with God. Eliot tries to portray the true meaning of "eternal present" with the idea of ‘still point’ that manifests itself at the intersection of time and timelessness. In each quartet, the opposite motifs, such as light and darkness, motion and stillness are connected to a rotating wheel around the axis of the still point. Through this, the poet combines the four different elements, soil, air, water, and fire. In the first 10 lines of Burnt Norton, Eliot always looks at time as an eternal present, not a one-way time flowing from the past to the future. Based on Saint Augustine's Christian view of time, the poet believes tha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ll coexist at the same point and exist in the three forms of present. He intensively looks at the timelessness which transcends both time and place and reveals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at the intersection of time and timelessness. Chapter 2 of this paper first diagnoses the despair that modern people experience in order to examine deeply what the combination of time and timelessness can mean in human life. Modern people is simply repeating meaningless life, bound by the ticking mechanical time, neither in the dark nor in the light. Eliot shows that humans can also reach salvation for a while in a receptive attitude toward the saint, a symbol of the union of God's love. Specifically, he looks at the way of darkness, one of the ways to reach God through human conscious participation. This is evident in the third movement of each quartet. The poet claims that as a way of purifying the soul, all desires and obsession should be eliminated and that we should remove our fear of approaching God. In order to gain true knowledge, we must accept our ignorance and limitations and learn how to empty all the obsession from our mind. He emphasizes daily practice and discusses the attitude of humility. When we realize that life and death coexist and continue to practice the way of darkness, we can finally become seek unity with God. Chapter 3 examines the relationship with eternity by looking at the still point, expressed as the intersection between time and timelessness from various angles. According to Eliot, the moment of vision, represented by the way of illumination, can be experienced in an empty state for only a short period of time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the elimination of the desire and ego. These moments are revealed in various ways in Four Quartets. For example, East Corker examines the meaning of social change and history through the scenes of dancing at weddings, which mediation expands to the stage of family and cultural heritage. The poet emphasizes that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is always by our side by connecting timelessness and eternal present. Nevertheless, as Krishna recommended in Dry Salvages, humans cannot always stay in the eternal stage, so we must always restart and reconstruct ourselves in new forms and patterns. Starting with the despair of modern people trapped in time, the poet recognizes the human existence and limitations in time, and explores the true meaning of time and timelessness. At the intersection of time and timelessness, he ultimately seeks to move toward with the possibility of religious salvation. When we practice and move forward with the spiritual search of choosing death at every moment, we can overcome the life bound by time and finally reach the still point. As Eliot emphasizes in the conclusion of Little Gidding, we may not be able to continue to stay at the moment of vision. But, since end reconstructs the self with new ways and new patterns, we must always keep on going for another beginning. |본 논문은 엘리엇의 『네 사중주』(Four Quartets)에서 시간과 무시간의 교차라는 새로운 시간관이 구현되는 방식을 살펴보며, 인간 삶을 시인이 어떻게 회고하고 고찰하는지 분석한다. 엘리엇은 시간 문제에 대해 누구보다 깊이 고뇌하며 자신의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인생관을 작품 속에 담아냈다. 그의 초기시들이 시간에 갇혀 자유롭지 못한 자아와 그로 인한 절망을 주제로 했다면, 『네 사중주』에서는 그 좌절에서 벗어나, 신과의 합일을 이루기 위해 종교적 탐색의 과정을 거쳐 구원의 목표로 나아가게 된다. 『번트 노튼』(Burnt Norton)의 첫 10행에서 엘리엇은 과거에서 미래로 흐르는 일방향적 시간이 아닌, 늘 현존하는 순간의 연속으로서 시간을 바라본다.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기독교적 시간관을 바탕으로 시인은 과거, 현재, 미래가 모두 같은 현재적 시점에서 공존한다고 본다. 엘리엇은 과거, 현재, 미래가 서로 유동성을 지닌 채 교차한다고 보며, 그 교차점인 정점(still point)에서 하나님과의 합일의 가능성을 찾는다. 정점의 차축을 중심으로 각 시편에서 등장하는 빛과 어둠, 운동과 정지 같은 상반된 모티프들은 서로 회전하는 바퀴를 통해 하나로 연결된다. 또한 실제적 장소를 배경으로 하는 네 개의 시편들은 흙, 공기, 물, 불의 서로 다른 요소들로 조화롭게 융합된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시간과 무시간의 결합이 삶에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깊이 들여다보기 위해 먼저 현대인이 처해있는 절망을 진단한다. 현대인은 암흑도 빛도 아닌 상태에서 그저 째깍째깍 돌아가는 기계적 시간에 얽매여 무의미한 삶을 반복할 뿐이다. 엘리엇은 하나님 사랑의 결합으로 상징되는 성자에 대한 수용적 자세로 인간 역시 잠시나마 구원에 이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그는 인간의 의식적 참여를 통해 신에게 다가갈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부정의 길을 살펴본다. 이는 각 시편의 3장에서 잘 드러난다. 시인은 영혼의 정화방법으로 자신 안의 모든 욕망과 집착, 자아를 버리고 부정하며 신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두려움을 없애야 한다고 말한다. 진실된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의 무지와 한계를 받아들여야 하며 마음으로부터 집착을 모두 비우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그는 구원의 가능성을 위해 일상생활에서의 실천을 강조하며 겸양의 자세에 대해 논의한다. 이와 같이 삶과 죽음이 공존함을 깨닫고 부정의 길을 꾸준히 실천해 나갈 때, 우리는 비로소 몸과 마음이 하나되어 신과의 합일을 모색할 수 있다. 3장에서는 시간과 무시간의 교차점으로 표현되는 정점을 여러 각도에서 바라보며 영원과의 관계를 고찰한다. 엘리엇에 의하면 긍정의 길로 대변되는 환희의 순간은 욕망과 에고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어느 특별한 순간 혹은 비어 있는 상태에 신의 은총이 있을 때 잠시나마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비전의 순간은 네 편의 시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난다. 예컨대 『이스트 코커』(East Corker)에서는 건축물이 지어지고 허물어지는 모습에서 나아가 그 명상이 가족과 문화적 유산의 단계로 확장된다. 결혼식에서 자신의 춤추는 모습을 통해 시인은 역사의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시인은 끝이 없는 무시간과 영원한 현재를 연결함으로써 구원의 가능성은 항상 우리 곁에 있음을 강조한다. 인간은 『드라이 셀베이지스』(Dry Salvages)에서 크리쉬나가 권고한 것처럼, 언제나 영원의 단계에 머무를 수 없기에 항상 새로운 형식과 새로운 패턴으로 우리의 자아를 다시 시작하고 재구성해야 한다. 엘리엇은 시간 속에 갇혀버린 현대인의 절망에서 출발하여 시간 속의 인간 존재와 한계를 인식하고 시간과 무시간에 대한 진정한 의미에 대해 탐색한다. 시간과 무시간의 교차점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종교적 구원의 가능성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우리가 매 순간 죽음을 선택하는 영적 탐색과 이를 행동으로 실천하고 나아갈 때, 우리는 시간에 구속된 삶을 극복하고 마침내 정점에 이를 수 있다. 『리틀 기딩』(Little Gidding)의 결론에서 엘리엇이 강조한 것처럼, 우리는 환희의 순간에 계속해서 머무를 수는 없지만, 끝은 새로운 방식과 새로운 패턴으로 자아를 재구성하기에 또 다른 시작을 위해 계속해서 나아가야만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45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74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NGLISH LANGUAGE & LITERATURE(영어영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