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0

마이클 메이어의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2006)에 나타난 연출기법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마이클 메이어의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2006)에 나타난 연출기법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ing Techniques in Michael Mayer's Musical (2006):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American avant-garde theater
Author
김삼일
Alternative Author(s)
Kim Sam Il
Advisor(s)
권용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연출가 마이클 메이어의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2006)에 나타난 연출기법을 탐구함으로써 뮤지컬이 다양한 예술적 요소들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균형적이면서 독립성을 지닌 장르임에 주목하고자 한다. 뮤지컬의 타 장르를 재매개하며 동시대적인 매체들을 혼합하고 재생산해낸 혼종적 성향을 살펴보고 새로운 연극 언어 표현의 확장과 새로운 미학적 형식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대중성을 바탕으로 발전해온 뮤지컬은 그 특유의 혼종적인 특성으로 전위적인 아방가르드의 연극 예술의 지향성을 담아내며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게 되었다. 그 중 뮤지컬의 혁신성을 대표하는 컨셉뮤지컬은 뮤지컬의 새로운 장을 열게 했으며 사회적 비판의식과 감상의 지향점을 변화하게 하여 뮤지컬을 통한 사회적 변혁의 가능성을 심어주었다. 컨셉 뮤지컬의 또 다른 특성은 소위 포스트 모더니즘 시대에 이르러 주변적이었던 반문화, 대중문화, 페미니즘 문학 등 기성세대에 반기를 드는 청년문화의 부상으로 탈 중심화, 탈 정전화 현상에서 비롯되는 차이, 절충, 조화, 융합, 다원성, 혼성화, 혼종화 등과 같은 포스트 모더니즘의 경향과 흐름을 같이하며 이를 양식적으로 포용하며 형식화하고 있다. 즉 뮤지컬은 새로운 극 공간의 발견과 관객의 관계를 새롭게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며 공연예술로써 비판적 사유와 동시대적인 사회적 의식을 담을 수 있는 예술적 장르임을 증명하게 된 것이다.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은 19세기 독일의 표현주의 희곡 작가 프랭크 베데킨트 작 <눈뜨는 봄> 동명 희곡 원작으로 청소년 성 문화와 정체성에 관련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연출자 메이어는 <스프링 어웨이크닝>을 작곡가 던컨 쉐이크와 작가 스티븐 세이터와 함께 사회적 의식을 일깨울 수 있는 뮤지컬로 만들고자 했다. 메이어는 미국 아방가르드 연극 경향과 정치적 성향을 바탕으로 연출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공간의 개념을 확장시키고 공연의 물리적 공간 구성에서 특정한 연출적 기호와 장치들로 극 속의 잠재적 공간과 상상적 공간의 층위를 만들어내며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의 뮤지컬 작품으로 재탄생 시켰다. 메이어의 연출기법의 특성은 뮤지컬 <스프링 어웨이크닝>을 통해 무대와 사회적 현실과의 관계를 보다 긴밀하게 바라보게 하고, 무대 예술을 통한 사회적 변혁을 추구하는 정치적 예술을 지향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메이어는 뮤지컬의 타 매체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단순한 재현을 넘어 독립적인 음악과 가사, 안무, 드라마 등의 매체의 자립적이며 경계적 특성에 따라 분리와 차이를 만들어냈다. 이는 음악을 중점으로 유기적인 통일성을 가진 기존의 뮤지컬에서 새로운 미학과 형식을 창조하게 했다. 메이어의 연출기법은 관객에게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드러내고 사회와 구성원이 지향해야 할 가치를 제시하였고 극 공간의 다양한 경계와 기호체계를 지각하게 하여 무대와 관객, 극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질적인 경험을 통해 체현 가능한 사회적 변혁을 실현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메이어의 <스프링 어웨이크닝>은 뮤지컬의 미학적 측면과 더불어 정치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기능과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뮤지컬의 혼종적 성향과 사회적 요구에 따른 매체의 새로운 결합과 특정 방식을 탐구하여 사회적 의식을 지닌 뮤지컬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뮤지컬의 새로운 형식의 미학을 창조하며 사회적 함의를 가지는 예술적 시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401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73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