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6 0

‘기억하기’의 수행성으로 본 한국 현대 공연 공간의 ‘관계 맺기’ 연구

Title
‘기억하기’의 수행성으로 본 한국 현대 공연 공간의 ‘관계 맺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building’ in contemporary performance space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tivity of ‘memory’
Author
홍은재
Alternative Author(s)
Hong Eun Jae
Advisor(s)
권용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연극계의 환경과 배경을 전제로 2010년 이후 한국연극 공간에서 발견되는 미학적 현상을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관점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연과 관객 사이의 소통은 공간 안에서의 관계를 어떻게 전제하고 구축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에 착안하여 공연 의미의 창조, 공연 공간의 상호매체, 소통 형식, 그 미학적 탐색에 주목하고, 더 나아가 일상과 현실의 문제를 반영하는 연극이 지향하는 공동체는 무엇이며, 공동체의 가치는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21세기의 연극 공간이 드러내는 현장성, 현존성, 동시성, 지각하기, 감각하기 등의 공간 수행성은 다양한 형식인 이머시브 공연(immersive performance), 인터랙티브 공연(interactive performance), 장소특정적 공연(site-specific performance) 등을 파생시켰다. 이는 관객이 단지 바라봤던 기존 관극 형식으로부터 적극적 체험으로의 관극 형식으로의 변화를 드러낸다. 공간성이 대두되면서 서사의 진행보다 직관적으로 사건을 이미지화하거나 재맥락화하는 시도가 주로 실험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은 관객을 관찰하는 자, 보는 자에 머물게 했던 사실주의 연극의 한계를 벗어나려는 실험들이다. 이 배경에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강조되는 현장성과 현존의 시각, 즉 ‘지금, 여기’에 관객과 공연이 함께 한다는 연극적 사유가 존재한다. 여기서 동시대 혹은 현대연극의 세 가지의 화두를 꺼낼 수 있다. 첫째, 공간의 수행성, 둘째, 거대서사가 아닌 세분화되고, 구체적이며 다양한 개인의 서사 및 현실의 문제, 셋째, 공연과의 관계를 맺어 가려는 능동적인 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공연 형식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공간, 서사, 관객 사이에 달라진 새로운 관계 맺음에 대한 탐구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극적 변화의 연장선상에서 한국연극을 주목할 때 두 가지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먼저 기억을 매개로 하는 미시사적, 개인적 삶의 문제를 무대 위에 올려 현실의 문제에 개입하려는 주제가 등장한다는 점이다. 또한 공간을 보다 활용하여 공연과 관객과의 관계를 도모하는 적극적인 연극적 형식과 방법이 등장했다는 점도 포착할 수 있다. 특히 공간을 통한 관계 맺기는 공연 전반에 걸쳐 공연 제반 요소들을 연결 짓고, 더불어 그 연결 속에서 새로운 의미, 질서, 맥락이 창출된다. 이것은 공연 공간 그 자체가 미치는 영향을 확대, 확장, 왜곡, 축소함으로써 공연 배우(행위자), 관객(참여자)의 관계를 재설정 시킨다. 이를 통해 공연은 개인과 개인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 더 나아가 정치, 이데올로기까지의 관계를 재인식할 수 있는 매체로 존재하게 하는 공간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이처럼 공연 공간은 예술적, 미학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사회적 의미 역시 주요하게 작용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다음의 세 방향으로 기억하기를 소재로 한 공연 공간에서의 관계맺기와 수행성, 그 미학적 가치와 사회적 의미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첫 번째 방향은 리좀적 특성이 드러나는 개인 기억을 주목하고 이를 연극적으로 반영할 때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탈중심적 양식과 겹쳐서 제시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개인에게 있어 회상하기의 연극적 수행성은 다큐멘터리 연극의 하위 장르인 버바팀 연극, 모크다큐멘터리 등의 형식을 주로 취한다. 이때 연극 공간에서 기억하기의 방법은 다큐멘트로 제공되는 실제와 연극적 허구를 무대 위에 동시에 가시화하면서 대조 효과를 만들어낸다. 기억은 개개인의 역사이며 스스로 자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한 삶의 기록이다. 회상하기, 자전적 이야기하기는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가 관계를 맺는 방법이자, 개인의 정체성, 주체성을 확인하고 발현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방향은 노마드적 사유가 드러나는 연극의 주제의식과 그 형식을 주목하고 집단의 정체성, 사회적 기억, 장소의 기억 등 문화적 기억으로 확장되는 연극적 수행성을 추출한다. 이 방향의 특징은 극장 안과 밖을 망라하여 적용된다. 극장 안에서는 디아스포라, 젠더 등의 사유, 관점의 확장을 꾀하며 탈경계적, 탈중심적 특성을 드러내고, 극장 밖의 공간에서는 탈영화 및 탈영역화를 시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정 장소에 내포된 역사, 관습, 문화, 인식, 제도, 사건, 현실 등을 포괄할 때 장소의 기억을 문화적 기억으로 확장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공동체의 기층 서사를 만들고 축적한 공연 공간은 정주해서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변주하고 이주하려는 유목적 사유를 통해 문화적 기억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장으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세 번째 방향은 헤테로토피아적 공간 특성이 드러나는 공연 공간을 고찰한다. 이에 해당하는 공연 공간은 공간적으로 구성된 권력 장치가 작동되는 호모토피아적 공간으로 유지되거나, 반대로 권력 장치가 작동을 멈추고 이질적인 것들이 모여 기존 질서를 전복시키는 일시적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이 된다. 특히 제도권 극장에서 벗어나 일상의 공간, 장소로 연극이 그 공간을 옮기는 것은 광장이나 거리를 예술의 공간으로 변화하게 한다. 거리로 나온 연극 공간은 소통의 장이나 사회적 공론의 장으로 기능한다. 헤테로토피아적 공연 공간은 일상의 공간이 한순간 환상의 공간으로 바뀐다는 점에서 찰나성을 동반한다. 이 틈새에서 기존 장소 기억 떠올리거나, 장소의 서사를 허물거나 하는 공연 공간의 수행성은 사회적 집합 기억을 창출하는 계기로 기능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본 연구자는 기억하기의 수행성이 발현되는 공연 공간은 개인, 집단, 사회, 역사 등 다양한 관계 맺기를 생산한다는 점, 개인의 기억, 집단의 기억을 드러내는 공연 공간은 제도권 사회, 주류 언론 등으로부터 외면받는 소외된 사람들의 몫을 가시화시킨다는 점에서 연극의 사회적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공연 공간은 단지 물리적 공간만이 아닌 사회적 맥락과 공간에서 상호 영향을 받는 행위의 연쇄가 작용하는 ‘관계맺기’의 공간임을 도출할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가 주목하는 기억하기의 수행성이 개인의 존재를 확인하는 동시에 공동체의 문화적 기억을 되새기는 주체적 행위라는 점, 공연 공간의 사회적 의미는 개인과 공연, 문화적 기억과의 관계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연과 사회와의 관계를 숙고하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On the premise of the environment and background of Korean theatre, this study approaches the aesthetic phenomenon found in theatre space in Korea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f qualitative research. Therefore, by observing the fact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performance and audience differs depending on how the relationship is built and assumed in space, this study focuses on creating the meaning of the performance, the mutual media in the performance space, communication pattern, and its aesthetic exploration. Furthermore, it aims to understand what kind of community the theatre pursues, reflecting the problems of daily life and reality, and the community's value. The space performativity revealed by the theatre space of the 21st century, such as liveliness, presentness, simultaneity, perceiving, and sensing, has derived various forms, including immersive performance, interactive performance, site-specific performance. It has changed the audience merely looking at the performance to the audienc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As spatiality emerges, the attempts to intuitively imagine or recontextualize events are mainly experimented, instead of proceeding narratively. These attempts are the experiments to go beyond the limits of realism of theatre that made the audience remain as observers or viewers. In such background, the theatrical reasons exist in the perspective of liveliness and presentness, which are emphasized in postdramatic theatre' now' and 'here,' the audience and theatre exist together. Here, three topics of contemporary or modern theatre can be drawn. First, the performativity of space; second, the personal narrative and the issues of reality that are subdivided, specified, and diversified; and third, the performance method, which targets an active audience who tries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the performance. They can be considered a quest for a new type of relationship building that has been changed among space, narrative, and audience.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ppear in line with such changes, focusing on Korean theatre. First, in Korean theatre, there are topics to intervene in the issues of reality by staging micro-historical and personal issues of life, which use memory as a medium. Also, a fact can be captured that an active theatre form and method appeared to promo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and audience by using the space. In particular, relationship building through space connects all elements throughout the performances, and also, in its connection, it creates new meanings, orders, and contexts.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the performance space is expanded, extended, distorted, and redu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actor(performer) and audience(participant) is reset. Based on this, the performance can present the possibility of space that exists as a medium to rediscover the relationship of society, culture, politics, ideolog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s such, social meanings and artistic and aesthetic meanings mainly function in performance space. Therefore, in this study, relationship building and performativity in the performance space and memory as its subject, including its aesthetic value and social meaning, are simultaneously analyzed in three directions as follows: The first direction focuses on the individuals' memory showing rhizomic characteristics, and by reflecting it in the theatre, it is overlapped and presented with a decentralized pattern of postdramatic theatre. The performativity of theatre in recalling an individual takes the form of a subgenre of documentary theatre such as verbatim theatre, mock-documentary. Here, the method of memory in theatre space simultaneously visualizes the reality provided as documents and the theatrical fiction on the stage to create a contrasting effect. Memory is the history of each individual and record of life on how one perceives oneself. This study confirmed that recalling and autobiographical story can be the method to build a relationship between 'I of the past' and 'I of the present' and to assure and reveal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an individual. The second direction focuses on the main subject of a theatre and its form, which shows the nomadic reasons, and extracts the performativity of theatre that is expanded to cultural memory such as group identity, social and location memory. Its characteristic is applied by encompass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heater. In theatre, it tries to expand the reasons and perspectives such as diaspora and gender, showing a borderless and decentralized characteristic; outside the theatre, it shows the attempt of deterritorialization. The location memory is expanded to cultural memory when it encompasses history, customs, cultures, awareness, systems, events, and reality that exist in a specific place. Based on this, the performance space where it has made and accumulated basic narratives of a community can function as a place to medi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cultural memory through nomadic reasons to be varied and move ceaselessly instead of settling. The third direction considers a performance space where the heterotopia characteristic of space is manifested. Such performance space is kept as a homotopia space where apparatus of Power is placed. On the contrary, it becomes a temporary heterotopia space where apparatus of Power stops working and disparate things gather and overthrow the existing order. Particularly, when a theatre moves its space to a daily space and places out of the existing systematic theatre, it changes the plazas or streets into art space. And such space functions as the venue for communication or social discussion. The heterotopia performance space accompanies momentariness as the daily space changes into a space of fantasy. In this gap, the performativity of performance space, which reminds the existing memory or destroys the narratives of the place, functions as an opportunity to create the collective memory of social. Through the analysis, the study could extract the social meaning of theatre in the perspectives that the performance space where it reveals the performativity of memory produces various relationship building such as individuals, groups, societies, and histories and that the performance space which reveals the memory of individuals and groups visualizing the neglected people by the systematic society and mainstream media. In conclusion, it was able to derive that performance space is not only a physical space but also a space for 'relationship building' where the chains of actions that are mutually affected function in the social context and space.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performativity of memory, which this study focuses on, is a subjective action to confirm the existence of individual and recall the cultural memory of a community at the same time and that the social meaning of performance perspective can be acquired through the relationship of an individual, performance, and cultural memory. Therefore,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po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s and society.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47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7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