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여진-
dc.contributor.author전영준-
dc.date.accessioned2022-02-22T01:47:06Z-
dc.date.available2022-02-22T01:47:06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439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72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인공슬관절전치환술 후 감염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자인 비만과 당뇨병을 중심으로 염증반응의 지표로 사용되는 검사인 C-반응성 단백질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을 조기발견하고, 수술 후 간호계획을 세우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소재 1개 대학병원에서 일측성 인공슬관절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216명의 의무기록을 검토 하였다. 당뇨병 기준은 당화혈색소 6.5% 이상이거나, 당뇨를 진단받고 약을 복용하는 환자, 비만은 세계보건기구(WHO)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기준에 따라 , 25-29.9kg/m2, 30kg/m2 이상 속하는 대상자로 선정하여 정상군, 비비만형 당뇨군, 비만군, 비만형 당뇨군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도구로 입원 기간별 C-반응성 단백질, 수술 전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ANOVA, Scheffe'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은 성별은 남자 28명(15%), 여자 159명(85%), 평균 연령은 71.3세었다. 정상군 49명(26.2%), 비비만형 당뇨군 41명(21.9%), 비만군 57명(30.5%), 비만형 당뇨군 40명(21.4%)이었다.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평균 26.29 kg/m2로 나타났다. 재원기간은 평균 16.6일로 정상군 18.5±5.68일, 비만형 당뇨군에서 15.6±3.23 재원일수를 보였다. 기저질환은 없음 24명(12.8%), 1개 55명(29.4%), 2개 73명(39.1%), 3개 이상 35명(18.76%)로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정상군에서 없음이 12명(24.5%)으로 가장 많았고, 1개에서는 비만군이 24명(42.1%)이었고, 2개에서는 비만형 당뇨군이 23명(57.5%)이었으며, 3개 이상에서는 당뇨군이 14명(34.1%)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χ2=48.14, p<.001). 당화혈색소(HbA1c)는 평균 6.74±0.90%으로 나타났으나, 당뇨군과 비만형 당뇨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본 연구의 집단 구분에 따른 C-반응성 단백질 수치의 기간별 차이는 수술 후 3일째의 C-반응성 단백질은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8.35, p<.001), 정상군과 비만군보다 비만형 당뇨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술 후 2주째 C-반응성 단백질은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4.08, p=.010), 정상군보다 비만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 본 연구에서 비비만형 당뇨군의 당화혈색소(HbA1c) 구분에 따른 C-반응성 단백질 값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술 후 기간별로 6.5% 미만보다 6.5% 이상에서 C-반응성 단백질의 평균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4) 본 연구에서 비만형 당뇨군의 당화혈색소(HbA1c) 구분에 따른 C-반응성 단백질의 차이는 수술 후 1주에서 6.5% 미만이 4.79±3.10, 6.5% 이상이 2.54±1.3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49, p=.020) 본 연구 결과, 정상군에서 수술 후 3일째 C-반응성 단백질은 최고에 도달하였고, 수술 후 1주째 급격하게 감소를 보인 뒤, 3주째 정상범위로 회복되었다. 정상군은 수술 후 감염 징후를 관찰하며 빠른 일상 복귀를 위한 퇴원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비만군은 정상군보다 평균 C-반응성 단백질이 모든 기간 상승되었으며, 수술 후 3주 이후에도 정상범위로 회복되지 않아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며, 비만을 관리하기 위해 운동 및 식이요법을 통해 체중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비비만형 당뇨군은 혈당조절 양상에 따라 C-반응성 단백질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혈당 조절이 불량할 경우 수술 후 감염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유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특히, 비만형 당뇨군에서 수술 후 3주 이전에 빠른 퇴원을 감안할 때 퇴원 후 창상관리 및 수술 부위 감염징후에 대해 적극적인 관리 및 교육이 필요하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인공슬관절전치환술 환자의 수술 후 염증반응 지표의 변화 : 당뇨병과 비만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Inflammatory Response of Patients undergoing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Focused on the Diabetes Mellitus and Obesit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전영준-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ung Jun, Jeo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임상간호정보대학원-
dc.sector.department임상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임상간호학과 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