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영-
dc.contributor.author김영희-
dc.date.accessioned2022-02-22T01:46:38Z-
dc.date.available2022-02-22T01:46:38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160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715-
dc.description.abstract환자안전은 의료기관에 입원한 환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치료를 받는 기본적인 권리이며 중요한 요소이다. 간호사는 24시간 환자를 돌보며 밀접하게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안전간호활동은 간호사에게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의료서비스 과정에서 의료오류는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의료오류보고 인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4개의 의료기관에서 6개월 이상 근무경력이 있는 간호사를 편의표집 하였으며, 2021년 8월 13일부터 8월 28일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료오류보고 인식은 김기경 등(200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환자안전문화 인식은 미국 보건질관리기구(2004)에서 개발한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를 김정은 등(2007)이 수정‧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안전간호활동은 의료기관인증원에서 개발하고 권선혜(2019)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의 의료오류보고 인식 정도를 분석한 결과 문항평균 5점 만점으로 3.35±0.37이었고 하위영역으로 살펴보면 사건보고가 발생했을 때 보고하고자 하는 의도가 3.98±0.64로 가장 높았고, 사건보고 후 개선효과에 대한 신념 3.83±0.63, 사건보고에 대한 지식 3.56±0.77, 평가활용에 대한 우려 2.58±0.66 순으로 나타났다. 2. 환자안전문화 인식 정도를 분석한 결과 문항평균 5점 만점으로 3.38±0.37이었고, 하위영역으로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 3.77±0.49로 가장 높았고, 의료사고 보고체계에 관한 인식 3.54±0.53, 근무 부서에서 환자안전도 평가 3.38±0.68, 부서 내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 인식 3.31±0.40, 병원의 환자안전문화에 관한 인식 3.28±0.54, 사고 시 보고 빈도 3.28±0.70 순으로 나타났다. 3. 안전간호활동은 문항평균 5점 만점으로 4.07±0.52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으로 보면 손위생 4.31±0.57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고위험 약물관리 4.14±0.65, 정확한 환자확인 4.12±0.54, 수술/시술부위 확인 4.12±0.59, 낙상예방 활동 4.12±0.59, 화재안전 관리 4.09±0.66, 의료기기안전 및 예방점검 3.97±0.70. 의사소통 3.91±0.57, 시설/환경이 3.81±0.84 순으로 나타났다. 4. 의료오류보고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은 여자가(t=2.450, p=.027), 직위는 책임간호사인 경우(t=-2.320, p=.022)에 따라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환자안전문화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직위는 책임간호사인 경우(t=-2.443, p=.017), 무교인 경우(t=-2.738, p=.007), 담당환자 수는 6-10명인 경우(F=3.937, p=.005), 일주일 평균 근무시간은 40시간 미만인 경우(F=10.421, p<.001), 의료오류경험 없는 경우(t=-2.316, p=.022)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안전간호활동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안전간호활동은 의료오류보고 인식(r=.22, p=.005), 환자안전문화 인식과(r=.24, p=.002)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료오류보고 인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r=.35, p<.001)이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8.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경력(6년이상)(β=.312, p=.027)과, 환자안전문화 인식(β=.300, p=.030), 의료오류보고 인식(β=.295, p=.035)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안전간호활동을 설명하는 이들의 총 설명력은 25.1%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간호할동을 증진하기 위하여 임상경력 낮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안전간호활동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며, 의료오류보고 시 처벌 및 비난적 조직 문화의 인식 개선 및 환자안전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안전간호활동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간호사의 의료오류보고 인식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Influence of Safe Nursing Practice of Awareness of Reporting Nurse's Medical Errors and Patient Safety Cultur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영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YOUNG HE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임상간호대학원-
dc.sector.department노인건강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노인및 치매간호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