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0

온라인 지역문화 프로그램의 체험요소 연구

Title
온라인 지역문화 프로그램의 체험요소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perience Elements of Online Local Culture Programs -Focused on the Chungnam Cultural Foundation Program
Author
최우수
Alternative Author(s)
WooSoo Choi
Advisor(s)
김영재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local cultural program has been continuously operated as a way to revitalize the unique identity of the region and the unique brand contents of the region. Currently, the Chungnam Cultural Foundation is conducting a regional cultural program to revitalize the unique culture of the region called 'Junggoje' Pansori, and a festival program to revitalize 'Chungnam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 traditional cultural art of Chungcheongnam-do. running the program. In addition, by composing a regional cultural program throug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Chungcheongnam-do and local cultural contents, the identity of Chungcheongnam-do's traditional art contents is established and the local residents are harmonized, thereby promoting regional cultural branding.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local cultural programs have been canceled or postponed indefinitely due to the spread of the COVID-19 virus, in order to solidify the local cultural uniqueness of Chungcheongnam-do and solidify its position as a cultural brand, cultural and artistic identity can be visually displayed not only offline but also onlin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be expressed and to analyze and develop online content in various direc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 experienced in the offline program based on the fact that the attributes of the Chungnam Cultural Foundation's online local culture program are formed and visualized, and that recognition through on-the-ground experience is the center.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local cultural program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rogram participant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online local cultural programs from the point of view of experiential marketing, and presented them as active, shared, and visual experiences as experiential factors to supplement the problems. and to suggest a specific development direction by suggesting a program that includes each experience element.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conducting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local cultural programs conducted by the Chungnam Cultural Foundation and the fact that it comes from the recognition of the visible value of online experiences in the post-corona era.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will help 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of not only Chungcheongnam-do, but also regional cultural programs, and will serve as effective reference materials for building local unique cultural brands online in the post-coronavirus era.|지역문화 프로그램은 그 지역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정체성과 지역의 고유브랜드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지속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현재 충남문화재단은 ‘중고제’ 판소리라는 지역의 고유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지역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충청남도의 전통문화예술인 ‘충남무형문화재’의 활성화를 위하여 축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다양한 지역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충청남도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 및 지역 고유문화콘텐츠를 통한 지역문화 프로그램을 구성함으로써, 충청남도의 전통예술 콘텐츠의 정체성 확립과 도민 화합을 도모하여 지역 고유문화 브랜딩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인해 지역문화 프로그램들이 취소 또는 무기한 연기가 된 상황에서 충청남도의 지역 문화적 고유성을 확고히 하여 하나의 문화 브랜드로 위치를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을 통하여 문화적 예술적 정체성을 가시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 및 다양한 방향의 온라인 콘텐츠를 분석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충남문화재단의 온라인 지역문화 프로그램의 속성 형성 및 가시화를 한다는 점, 그리고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한 인식이 중심이 된다는 점을 바탕으로 오프라인 프로그램에서 경험한 ‘체험’을 중심으로 온라인 지역문화 프로그램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체험마케팅 관점에서 온라인 지역문화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문제점을 보완하는 체험 요소로 활동적, 공유적, 시각적 체험으로 제시하고, 각 체험요소가 포함된 프로그램을 제언함으로써 구체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문화재단에서 진행되는 지역문화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을 통한 체험에 대한 가시적 가치 인식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를 하는 데에 의미를 두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가 충청남도뿐만 아니라 지역 문화 프로그램의 문화적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을 통한 지역의 고유문화브랜드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참고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11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8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E](융합산업대학원) > DEPARTMENT OF CULTURE CONTENTS(문화콘텐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