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3 0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가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uthor
이하은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에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들의 원활한 자기표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회에 적응하고 성인으로서의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앞서 서울시 S 구에 위치한 D 장애인 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초기성인기 남성 중증지적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07일부터 11월 18일까지 주 1회 90분씩 총 7회의 예비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본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D 구에 위치한 P 사회적 기업 내 치료실을 이용하는 초기성인기 여성 중증지적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2021년 07월 26일부터 9월 17일까지 주 2회 90분씩 사전 ·사후 검사를 제외하고 총 16회기 동안 창의적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의 도출을 위해 대상자들에게는 HTP 그림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자기표현평정척도와 인터뷰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매회기 관찰일지를 작성하여 단계별 대상자들의 내용적, 음성적, 비언어적 자기표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을 위한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자기표현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인과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여 1차 치료요인을 도출한 다음 연구대상의 공통 특성을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최종 치료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기, 중기1, 중기2, 후기 4단계로 나누어 단계별 목표, 회기별 기대효과와 프로그램을 세부적으로 구성하여 적용함으로써 연구대상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둘째,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는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사전·사후에 실시한 자기표현평정척도 검사결과 연구 대상자들은 모두 사전에 비해 사후 점수가 상승되었다. 셋째, HTP 그림검사에서도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에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연구대상은 집, 그림, 사람 그림에서 자기표현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가 연구대상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은 단계별로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프로그램 단계별 분석을 살펴보면, 초기 단계에서 연구대상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탐색하고 집단내의 친밀감을 형성하여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으며 중기1 단계에서는 다양한 감정의 종류를 인식하고 억압되었던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함으로써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중기 2단계에서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보이고 사회적 상황에 제한이 있던 대상자들이 협동, 공감, 지지를 경험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고 사회적 행동이 활성화되었다. 후기단계에서는 잦은 실패 경험으로 인해 수동적이고 위축된 공통특성을 보였던 대상자들이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자신을 표현해보는 과정을 통해 능동성이 향상되고 긍정적인 자기인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다섯째,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대상자별 어려움을 보였던 자기표현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어머니와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 인터뷰에서는 감정의 억압, 부정적 상황에 대한 회피, 의존 및 수동적인 공통특성을 보였으나 사후에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다양한 언어적·비언어적 방법을 사용하여 표현하기 시작하였고, 사회적인 관계에 있어 자발적인 모습을 보이는 자기표현의 변화가 생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적 움직임 중심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활용되어 초기성인기 중증지적장애인의 자기표현과 관련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적이고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centered on creative movement on the self-expression of severely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in early adulthood.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help people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ir early stages adapt to society and live a satisfactory life as adults by enabling smooth self-expression. Prior to this study, a total of seven preliminary studies were conducted on three m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once a week from October 07 to November 18, 2020, using the D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located in Seoul.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btained from the preliminary study. This study conducted a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centered on creative movement for a total of 16 sessions, excluding 90 minutes of pre- and post-tests twice a week from July 26 to September 17, 2021, targeting three wom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P social enterprises located in Daegu. In order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the subje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onducting HTP picture tests in advance and after, and the self-expression evaluation scal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in advance and afterwards for their mothers and teachers. In addition, an observation journal was prepared for each session to analyze changes in content, speech, and non-verbal self-expression of subjects at each s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centered on creative movement for self-expression of severely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in early adulthood, the first treatment factor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of the study subjects by dividing them into four stages: early, mid-, mid-, and late, and organizing and applying the step-by-step goals, expected effects, and programs for each session in detail. Second, it was found that integrated art therapy centered on creative mov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xpression of severely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in early adulthood. As a result of the pre- and post-expression evaluation test conducted on the mother and teacher of the study subjects, all of the study subjects' post-score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ly. Third, the HTP painting test also found that creative movement-oriented integrated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of severely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in early adulthood. All subjec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elf-expression in house, tree, and people paintings, and through these changes, it can be seen that integrated art therapy centered on creative mov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s self-expression. Fourth, early adults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a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centered on creative movement showed positive changes in self-expression step by step. Looking at the analysis of the study subjects by program stage, in the early stages, the study subjects were able to positively explore themselves and form intimacy within the group to gain confidence, and in the first stage of mid-term, their ability to express emotions was improved by recognizing various types of negative emotions. In the second stage of the mid-term, communication skills were improved and social behavior was activated by experiencing cooperation, empathy, and support among subjects who had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limited social situations. In the latter stage, subjects who showed passive and shrinking common characteristics due to frequent failure experiences were able to improve their activity and have positive self-awareness through the process of voluntarily and autonomously expressing themselves. Fifth,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area of self-expression, which showed difficulties for each subject while participating in an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centered on creative movement. Pre-interviews with mothers and teachers showed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emotional suppression, avoidance, dependence, and passive characteristics, but afterwards, they began to express their emotions and thoughts using various linguistic and non-verbal methods, and showed voluntary changes in social relationships. Tak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together, it can be said that th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centered on creative mov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of the severely intellectually disabled in early adulthoo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ore in-depth research related to self-expression of severely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in early adulthood will be continued and activated by utilizing various creative movement-oriented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74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57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