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봉-
dc.contributor.author송민수-
dc.date.accessioned2022-02-22T01:42:22Z-
dc.date.available2022-02-22T01:42:22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896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22-
dc.description.abstractSince the protection of victims' rights and active compensation for economic, psychological, and physical damages caused by crime damage began to be discussed in the criminal law system centered on criminal punishment, the protection and support system of crime victims has been under active discussion. In Korea, preparing for legislation related to crime victims, support and protection services for crime victims are being provided through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It is a bounden duty and responsibility for the nation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 to crime victims. Based on this recognition, Article 30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right to claim rescue crime damage. Although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and the Fund Act were enacted in accordance with the same law, it is true tha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se institutions are not enough to protect and support victims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stablish an integrated new institution centered on the Crime Victim Support Center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sence of a network that can implement the victim assistance pivotally. To this end, the study will first examine the legalization process of the crime victim support system and the changes in the legal system. And then, it will analyze theses focusing on discussions on the crime victim protection system. In addition, comparing with the current status of crime victims support system in foreign countries, it can be derived from the comparative legal study, that Korea’s crime victim support systems currently have a few proble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ualized system of the victim’s economic support required for crime victims caused problems of its ambiguity, complexity, and redundancy of the system. Moreover, the result suggested providing the related information to crime victims at the investigation agency where the victims are treated for the first time. Also, it shows the importance of promoting victim support services in public. Furthermore, by expanding the concept of Criminal Damage, it is derived that supports for victims’ families and their long-term damages need to be considered, and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its measures is urgent to protect the victims’ personal life. In order to devise practical measures to protect and strengthen support for crime victims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Justice carefully reviewed the results of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crime victim support services commissioned by Truis Co., Ltd. in 2020.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most reasonable alternative to strengthening the practica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 system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Victim Support Public Corporation" as a new integrated institution in charge of crime victim support. In order to implement this, it should be settled first to solve the problem of overlapping support work and the absence of an individual inter-ministerial linkage system, which has emerged as an issue of the current crime victim support system. As methodologies for rapid stabilization of integrated new institutions, the study suggested 3 specific measures for securing independence, expanding manpower, and integrating the support system between ministries. In a way to increase integration between ministries, a plan can be represented to establish an integrated new institution centered on the organization providing the highest service rate. This measure is intended to unify the existing distributed channels and provide full-time administrative services. In particular, a survey found that the Korean Crime Victims Support Association (the KCVA corporation) is more professional in support tasks than national agencies, suggests that the KCVA should play a key role in establishing a new integrated institution in the future. In role alloca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Crime Victim Support Center can be centered on a comprehensive victim support organization, and other institutions such as Smile Center can accept the role of allocated specific tasks for victims’ support by forming a network in connection with specialized institutions. In this light, the new integrated institution should be an independent decision-making institution than a part of central government. As part of this, based on the ca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egal Aid Corporation, the study draw up measures to legalize the establishment process, operation, and supervision regulations of the 'Crime Victim Support Public Corporation’ (tentatively named) as a legislative task. Specifically, substantial support for crime victims should be provided through an integrated new agency ('Crime Victim Support Public Corporation’-tentatively named), where the corporation should deliberate on all other cases except those clearly not eligible for crime damage support, so that all supports can be followed by the legal basis.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a new integrated agency makes polices to support crime victims with police protection, and prosecutors to support crime victims in criminal procedures. In shor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losses caused by overlapping support task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hat the new integrated institutions to support crime victims can provide economic support (such as living, housing, treatment, nursing, and funeral expenses for crime victims), legal support (such as legal monitoring and legal companions), psychological support through counseling and treatment, and employment support. This will bring the expected effect to provide victims with substantial supports promptly. In this case, the Smile Center focuses on "stability" and provides a secondary victim-support to heal their wounds caused by crimes. Like this, it is possible to share each role and provide unified and systematic support for crime victims through an integrated institution that oversees support tasks for crime victims. Above all, the study arrives at a conclusion that a network should be needed to strengthen links with other private institutions while using the existing crime victim support center as a unified support channel.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rime victim support 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new institution. Hopefull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n new integrated institution to protect and support crime victims in the future. Keywords : Crime Victims Support , Korean Crime Victims Support Association, Victim assistance, Victims’ Right, A New Integrated institution for Crime Victims Support.|범죄자 처벌 중심의 형사법 시스템에 있어서 피해자의 권익 보호 및 범죄피해로 인한 경제적, 심리적, 신체적 손해에 대한 적극적인 보상이 논의되기 시작한 이래 세계적으로 범죄피해자의 권리 보호 및 지원체계의 활성화가 이루어졌다. 국내에서도 범죄피해자 관련 법제의 마련과 함께, 다양한 정부 기관과 민간기관을 통해 범죄피해자 지원 및 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가가 범죄피해자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은 당연한 책임이자 의무이며, 이러한 인식을 근거로 헌법 제30조는 범죄피해 구조청구권을 명시하고 있다. 동법에 따라 범죄피해자 보호법, 기금법이 제정되었으나, 이들 기관 사이의 소통과 협업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범죄피해자 지원 및 보호에 있어서 이를 중추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통합 중심기관의 부재로 인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통합 신설기관의 설치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범죄피해자보호제도의 법제화 과정과 법적으로 명문화된 이후 현재까지의 법제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범죄피해자보호제도에 대한 선행연구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 문헌들을 분석하는 한편, 해외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 제도 현황과의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현행법상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 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범죄피해자가 실질적으로 요구하는 경제적 지원체계의 이원화 구조로 인한 모호성과 복잡성, 중복성의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피해자들이 처음 대면하는 수사기관에서 범죄피해자지원센터 및 피해자 지원 제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지원 서비스의 홍보 중요성, 범죄피해의 개념을 보다 확장하여 피해자 가족에 대한 지원과 피해자의 장기적 피해에 대한 지원의 고려 필요성, 피해자의 신변 보호 방안의 실효성 확보의 시급성 등이 도출되었다.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 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법무부가 2020년 ㈜ 트루이스에 위탁하여 조사한 범죄피해자 지원 서비스의 만족도 및 개선방안의 결과를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 제도의 실질화와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대안은 범죄피해자 지원 업무를 총괄하는 통합 신설기관으로서의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공단(가칭)’의 설립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통합 신설기관의 설립에 있어서 선결되어야 할 과제는 현행 범죄피해자지원제도의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는 지원 업무의 중복, 개별적인 부처 간 연계 체계의 부재 문제의 해결이었다. 본 연구는 통합 신설기관의 빠른 안정화를 위한 방법론으로써 독립성 확보, 인력확충 방안, 통합업무 지원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언하였다. 부처 간의 통합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기존의 분산된 창구를 단일화하고 전일적인 행정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기존의 이용도가 높은 조직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 신설기관의 설립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범죄피해자지원법인인 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국가기관보다 업무 면에서 전문성이 뛰어나다는 조사 결과는, 향후 통합 신설기관의 설립에 있어서 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핵심축을 담당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역할 배분에 있어서 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종합적인 피해자 지원기관으로 중심이 되고 스마일센터와 같은 여타 기관이 각자 특정 전문 분야에서 연계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역할 배분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독립성 확보를 위해서는 중앙부처보다는 독립적 의결 기구로서의 기능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법률구조공단의 설립사례를 토대로 입법론적 과제로서 ‘범죄피해자 보호·지원 공단(가칭)’의 설립 과정 및 운영, 관리 감독규정 등에 대한 법제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범죄피해자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은 통합 신설기관(범죄피해자 보호·지원공단-가칭)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이때 공단은 경찰이 인지한 피해자 중 명백히 범죄피해 지원 대상이 아닌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경우를 모두 심의하여 지원을 결정하고, 지원 내용을 파악하여 실질적인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법률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통합기관의 설립을 통해 경찰은 보호 업무를 통해 범죄피해자를 지원하고, 검찰은 범죄피해자가 형사절차 및 법적 절차에서의 지원을 전담하게 된다. 중복되는 지원 업무로 인한 손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범죄피해자 지원을 위한 통합기관에서는 범죄피해자를 위한 생계비·주거비·치료비·간병비·장례비 등을 지급하는 경제적 지원, 법정 모니터링 및 법정 동행 등의 법률지원, 상담 및 치료 연계를 통한 심리지원, 취업 지원 등 피해자의 생활 전반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범죄피해자가 즉각적으로 피해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스마일센터의 경우 ‘안정’에 중점을 두어 범죄로 인한 상처를 치유하는 이차적 피해지원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각각의 역할을 분담하고, 범죄피해자에 대한 지원을 총괄하는 통합기관을 통해 일원화 및 체계화된 범죄피해자 지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종합해보면, 통합 신설기관의 설립을 통해 범죄피해자지원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용률이 높은 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단일화된 지원 창구로 활용하면서 다른 여타 민간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네트워크 방식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향후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을 위한 통합 신설기관 설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범죄피해자 지원 총괄 기관 신설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Establishing a New Integrated Institution for the Crime Victims Support-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송민수-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Min Soo, So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법학전문대학원-
dc.sector.department법학전문대학원-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형사법-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LAW[S](법학전문대학원) > Hanyang University Law School(법학전문대학원)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