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8 0

지역의 주택가격 격차에 따른 사회적 자본및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관한 연구

Title
지역의 주택가격 격차에 따른 사회적 자본및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ocial capital and daily stress based on the housing price inequality
Author
강성익
Alternative Author(s)
Sungik Kang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불평등한 환경에서 사회적 자본 및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을 실증하였다. 우리나라의 불평등은 자산 불평등, 특히 거주 주택에 의한 자산 격차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에 불평등 정도를 주택가격 격차를 통해 산출하였다. 주택가격 격차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주택 실거래가를 활용하여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지니계수를 통해 산출하였다. 사회적 자본, 일상적 스트레스, 개인변수는 서울서베이 설문항목을 통해 구성하였다. 방법론으로는 개인수준 변수와 지역수준 변수가 결합된 형태로 순서형 다수준 로지스틱 모형을 활용하였다. 사회적 자본 요소는 인지적 요소로 공공·지역사회 신뢰와 약자에 대한 이타심으로 구성하였고, 구조적 요소로 지역모임·단체 참여와 이웃간 협력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의 인지적 요소와 관련하여 공공·지역사회 신뢰와 약자에 대한 이타심은 주택가격 격차와 음의 영향관계를 나타냈고, 구조적 요소와 관련하여 지역모임·단체 참여 또한 주택가격 격차와 음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주택가격 격차가 큰 지역에서는 공공·지역사회 신뢰, 약자에 대한 이타심, 지역모임·단체 참여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둘째, 주택가격 격차 지수와 일상적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주택가격 격차 지수가 높은 지역일수록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주택가격 격차 지수와 일상적 스트레스의 양의 관계는 높은 공공·지역사회에 대한 신뢰에 의해 완화되고, 높은 약자에 대한 이타심과 이웃간 협력에 의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냈다. 주요 시사점으로 첫째, 주택가격 격차와 같이 불평등한 도시환경에 의해 야기되는 사회적 자본 후퇴와 일상적 스트레스 증가는 개인들의 노력으로 바꿀 수 없는 부분이기에 주거 및 도시정책을 통해 관련 문제에 대한 개선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둘째, 공공과 가족, 이웃에 대한 믿음이 높을수록 불평등한 환경에서도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평등이 쉽게 해소되지 않고 더욱 심해질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공공과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감 형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본 연구와 선행연구를 종합하여보면, 주택가격 격차 증가와 같은 불평등한 환경은 우리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사회적 자본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고 사회적 자본 회복 및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공공과 시민들의 장기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This study demonstrated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nd daily stress in an unequal environment for Seoul. As inequality of South Korea is characterized by a large wealth gap in housing, this study reflects the housing price gap as an inequality index. From 2015 to 2019, the degree of housing price disparity in 25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was measured and analyzed using an ordinal multilevel model by combining it with social capital, daily stress, and individual variables through Seoul Survey. The social capital element was composed of public/community trust and altruism for the weak as a cognitive element, and meetings/group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neighbors as a structural element. The primary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blic/community trust, altruism for the weak, and cooperation between neighbor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housing price gap.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public/community trust, altruism for the weak, and meetings/groups participation were low in areas with a large housing price gap. Second, the housing price gap and daily st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housing price gap index, the higher the daily stress level.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price gap and daily stress was alleviated by high public/community trust and strengthened by altruism for the weak and cooperation between neighbors. As a primary implication, first, social capital retreat and daily stress increase caused by unequal urban environments such as the housing price gap cannot be replaced by individual effo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solutions to related problems through housing and urban policies.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when trust in the public, family, and neighbors is high, the stress level can be kept low even in an unequal environment. This finding suggests that building trust in the public and local communities is more significant, as inequality is not simply resolved and is expected to intensify. Third, comb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it is judged that the unequal environment such as an increase in the housing price gap is invisible to us, but harms social capital and daily stress. Therefore, long-term interest and efforts from the public and citizens are required to alleviate socioeconomic inequality, restore social capital, and promote mental health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13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2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도시설계·조경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