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7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건우-
dc.contributor.author이서연-
dc.date.accessioned2022-02-22T01:42:11Z-
dc.date.available2022-02-22T01:42:11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353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18-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정원 문화의 확산과 각종 연구에서의 정원의 기능과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개인 정원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15년 1월 20일 ‘수목원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수목원  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로 개정됨에 따라 산림청에서 정원을 제도적으로 주도하게 되었고 순천만정원이 제 1호 국가 정원으로 지정됨을 시작으로 시, 도 단위 주최 정원박람회가 매년 활발히 열리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정원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2023년 개최 예정인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의 지원 및 사후 활용에 관한 특별법이 2021년 7월에 제정되어 정원 문화 대중화의 기폭제 작용을 하는 정원박람회의 효과가 확인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산림청은 제 2차 정원 진흥 기본계획(‘21~’25)에 따라 ‘언제 어디서든 접할 수 있는 정원’이라는 비전을 목표로 2025년까지 2,400개소의 공공, 민간, 생활밀착형 정원인프라를 확충, 정원 산업 시장 규모를 2조원까지 확대, 정원 인재 육성 및 생활 속 정원 문화 확산 등의 전략지원과제를 추진한다. 그러나, 지속적인 도시개발과 국가정원, 지방정원과 같은 공공정원은 지방과 도시 외과에 편중되어 있어 도시 생활권 내 녹지 공간의 비약적인 증가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민간정원과 같은 개인정원의 조성을 장려하고 정원을 발굴하여 도시의 점, 선, 면적인 녹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녹지 면적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정원 문화 활동을 대중화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개인이 정원을 설계하고 계획하는 것에도 비용과 전문 지식의 부족이라는 현실적인 난관이 있다. 또한 주택정원과 같은 개인정원은 개인의 심미적인 취향을 바탕으로 조성되는 것이지만 정원 조성의 기준이나 방법과 같은 전문 지식의 부족으로 변화하는 시대에 따른 정원의 유형과 정원에서 추구되는 가치를 반영한 정원 조성의 기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원의 설계와 조성의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기초 자료의 제시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개인정원을 크게 전통적인 양식으로 조성된 민가정원과 20세기 이후에 조성된 현대의 주택정원으로 분류하여 두 유형의 정원에서의 선호 요인을 파악하여 선호 요인간의 중요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개인이 주택정원을 비롯한 개인정원을 조성 시에 실제 적용이 가능한 정원의 구성 요소를 각 선호 요인의 하위 요인으로 포함시켜 연구를 진행하였고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정원의 설계와 계획에 도움이되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정원 관련 법, 제도,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한국 민가정원과 현대 주택정원의 실제 사례를 방문하고 조사한 뒤 한국 민가정원과 현대 주택정원의 선호 요인들을 추출하여 정원 관련 분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선호 요인의 계층구조도를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의사결정기법(AHP)의 설문조사를 통해 선호 요인간 상대적 중요도에 대한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미성, 조화성, 역사성, 실용성, 물리적 특성, 생물학적 특성의 6가지 한국 민가정원과 현대 주택정원의 선호 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경관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 환경 생태적 측면으로 대분류 할 수 있었으며, 6가지의 선호 요인에 속하는 하위 요인들을 포함하여 의사결정기법(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 민가정원에서는 사회문화적 측면이 가장 우선적으로 선호되고 있으나 차순위의 경관적 측면과 환경생태적 측면과 큰 폭의 가중치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사회문화적 측면의 역사성과 경관적 측면의 심미성이 계층2에서는 동일하게 최우선적으로 선호되고 있었는데 이는 정원은 과거에나 현재나 미적, 예술적 영역의 작품으로 인식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판단된다. 한국 민가정원에서 물리적 특성의 요인은 중요하게 선호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전통 가옥의 형태와 구조의 특성 상, 정원의 규모나 대칭성, 개방감과 같은 요인은 단순히 정원의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구성하거나 조성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주택정원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선호되는 요인은 경관적 측면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문화적 측면, 환경생태적 측면과 큰 폭의 차이로 선호되고 있었다. 반면 사회문화적 측면과 환경생태적 측면에서의 선호도 차이는 미미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근래 정원이 지니는 다면적 가치과 효과가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입증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사회문화적 측면의 실용성이 중요하게 선호되어지는 것은 현대인의 정원에서 추구하는 활동과 정원 가꾸기의 목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생태적 측면의 물리적 특성이 한국 민가정원에서와는 비교적으로 높게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과거와 달리 정원이 단순히 주택의 외부에 딸린 부수적인 공간이 아니라 주택 외관의 미를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주택지의 전체적인 경관을 조성하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어 정원의 전체적인 형태나 규모, 지형이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주택정원과 같은 개인 정원을 설계, 조성 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국 민가정원과 현대 주택정원의 선호 요인을 추출하여 중요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설문의 표본이 정원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시대적으로 차이가 있는 개인정원의 두가지 유형의 선호 요인에 대한 전문가 중심의 자료를 구축하였다는 것에 실천적인 의의가 있다. 그러나 그 표본을 확대하여 지속적인 지표의 수집과 지표를 활용한 실제 정원 설계 및 조성을 통해 연구를 지속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제언하고자 하는 점은 첫째, 개인정원의 조성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개인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실제 정원 설계와 계획 단계에서부터 적용이 가능한 설계지침이 수립되어야한다. 둘째, 기존의 국가정원과 같은 공공정원의 선호도와 만족도에 관련한 연구와 더불어 주택정원과 같은 개인정원이지만 일반에 공개가 가능한 사유 정원의 선호도와 만족도에 관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공공정원과 마찬가지로 주택정원을 포함한 개인정원이 조경분야에서 다뤄지는 녹지 유형으로서 제도적인 개선을 토대로 양적, 질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국 민가정원과 현대 주택정원의 선호 요인 중요도 비교 분석-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ortance of Preference Factors between Korean Traditional and Modern Domestic Garde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서연-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oyeon Le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도시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