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2 0

인구감소지역에서 도시재생사업 앵커시설 계획의 선호도와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 및 지속거주의향의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인구감소지역에서 도시재생사업 앵커시설 계획의 선호도와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 및 지속거주의향의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Anchor Facility Plan and anticipation for improvement of local community, intension of continuous residence in depopulating area
Author
송병철
Alternative Author(s)
Song, byong chul
Advisor(s)
구자훈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eference of residents for the anchor facility plan in the planning stag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examined whether the anchor facility plan had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In addition, by deriving facilities and program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sidents' preferences,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chor facility plan were presented.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preference for anchor facility plans by region, Non-physical programs for supporting start-up/youth/senior/living and cultural facility plan, and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women and multi-cultural support facility plan, Physical and non-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infant and child support facility plan are appeared to be preferred by local residents. In terms of regional preference differences, the Non-physical program for supporting start-up facility plan was preferred higher in Yeongyang-gun than in Seongju-gun, and the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 for infant and child support facility plan was higher in Seongju-gun than in Yeongyang-gun. Uiseong-gun and Seongju-gun preferred Non-physical programs for infant and child/youth support facility plans and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women and multi-cultural support facility plans than Yeongyang-gun. And in the non-physical programs for senior support facility plan, Yeongyang-gun was higher than the Uiseong-gun. Also, Uiseong-gun preferred non-physical program for living and cultural support facility plan than Yeongyang-gun's. Among the preference items of the anchor facility plan, Non-physical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youth, and senior support facilities and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for the living and cultural facilities were analyzed as factors tha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b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the Non-physical programs for youth support facilities among the preferred items of the anchor facility plan, the Degree of reflection of resident opinions amo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item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between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facility and program plan of the anchor facility plan affected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o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In this study, the preference for the anchor facility plan was evaluated and analyzed in the stage of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plan when resi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and reflect opinions, so It is meaningful in tha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cipation for improvement of local community and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anchor facilities to be planned in the fu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anchor facility plan needs to be carried ou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collecting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reflection of residents' opinions in the resident participation item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residence by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Second, the anchor facility plan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facilities and programs should be suitable for the region. Third, future anchor facility plans need to focus on Non-physical programs and supporting the younger age group. It was found that local residents preferred non-physical programs to physical regeneration projects, and preferred support for younger age groups such as infants, children, and youth. Therefore, in the anchor facility planning process, encourag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selecting regionally-tailored support facilities and programs can be seen as contributing to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 of anchor facilities for local community revitalization.|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활성화 계획 단계에서 주민들의 앵커시설 계획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고, 앵커시설 계획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 및 지속거주의향에 대하여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주민들의 선호도 분석에 따른 시설 및 프로그램을 도출하여 도시재생사업 앵커시설계획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지역에 따른 앵커시설 계획에 대한 선호도 분석 결과, 비물리적 프로그램사업으로 창업지원 시설계획, 청소년 지원시설 계획, 노인지원시설계획, 생활・문화 지원시설 계획, 물리적 재생사업으로 여성・다문화 지원 시설계획, 물리적・비물리적 재생사업에서 유아・어린이 지원시설계획 항목이 지역주민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차이로는, 창업지원 시설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사업은 영양군이 성주군에 비해 높았고, 유아・어린이 지원시설계획 물리적 재생사업은 영양군에 비해 성주군이 높았다. 유아・어린이 지원시설계획 및 청소년 지원시설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과 여성・다문화 지원시설계획을 위한 물리적 재생사업은 영양군에 비해 의성군, 성주군이 높았고, 노인지원시설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은 의성군에 비해 영양군이 높았다. 또한 생활・문화 지원시설 계획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은 영양군에 비해 의성군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앵커시설 계획의 선호도 항목 중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아・어린이, 청소년, 노인 지원시설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과 생활・문화시설을 위한 물리적 재생사업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여성·다문화 지원 시설 및 창업 지원시설을 위한 물리적 재생사업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그리고, 주민참여 항목 중 앵커시설계획에 대한 주민의견의 반영 정도, 응답자 특성 항목 중 직업 여부, 월평균 소득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재생사업에 의한 지속거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앵커시설 계획의 선호도 항목 중 청소년 지원시설을 위한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 주민참여 항목 중 주민의견 반영정도, 응답자 특성 중 동네환경 만족도로 나타났다. 요인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 앵커시설계획의 시설 및 프로그램 계획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속거주의향의 영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들이 도시재생 사업의 진행 과정 중 적극적인 참여와 의견 반영이 가능한 시점에서의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단계의 앵커시설 계획에 대해서 선호도 평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앵커시설계획의 선호도와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 및 지속거주의향의 영향관계를 파악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계획될 앵커시설 계획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앵커시설 계획은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며 진행 할 필요가 있다. 주민참여 항목의 주민의견 반영이 지역공동체 향상 기대감과 도시재생 사업에 의한 지속거주의향의 영향과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준다. 둘째, 앵커시설 계획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고 지역에 적합한 시설 및 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향후 진행되는 앵커시설 계획은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과 낮은 연령층의 지원사업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지역 주민들은 물리적 재생사업 보다 비물리적 프로그램 사업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 어린이, 청소년 등 낮은 연령층에 대한 지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앵커시설 계획과정에서 지역의 특성과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지역맞춤의 중점지원시설 및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것이 지역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앵커 시설로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03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1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