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3 0

모바일 폰 기반 패널자료를 활용한 COVID-19 긴급재난문자가 유동인구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실증

Title
모바일 폰 기반 패널자료를 활용한 COVID-19 긴급재난문자가 유동인구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실증
Other Titles
Empirical Evidence on Differentiating Impacts of COVID-19 Emergency Alert Text on Daily Floating Population
Author
김우람
Alternative Author(s)
KIM, WOO-RAM
Advisor(s)
성현곤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내에서 COVID-19 신규확진자 수는 지난 7월 7일 이후 네자릿수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긴급재난문자를 통한 확진자에 대한 공간적 정보 제공이 확산 감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침해와 같은 문제로 문자에서 제공되는 확진자에 대한 공간적 정보 범위가 법정동 단위에서 시군구 단위로 변화하였는데 이는 긴급재난문자의 가치를 손상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긴급재난문자의 확진자에 대한 공간적 범위가 법정동 단위로 제공될 때, 시군구 단위로 변화되었을 때보다 유동인구 감소에 효과적임을 실증하여 공간적 범위의 구체성이 중요함을 실증하고자 한다. 또한 COVID19 상황에서 성별 및 연령별로 행태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성·연령별 차별적 영향에 대해서도 실증해보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긴급재난문자는 “정보전달”을 통해서 위험 상황에 대해 사람들에게 인지하도록 하는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발행하는 것이 펜데믹 상황에서 사망률을 감소시키거나, 예방행동을 유발하는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정보 공개에 따른 이슈가 존재하여 이에 대한 해결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논문들이 다수였다. 그러나 확진자 정보의 공간적 범위 차이에 따른 직접적인 행태적 효과에 대해서 성별 차별적 영향을 실증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간적 범위 차이에 따른 유동인구 감소 효과와 성·연령별로 가지는 차별적인 효과에 대해 실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유동인구 자료는 SKT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폰 기반 데이터이며, 기존의 50mx50m로 제공되던 격자단위의 자료는 그 크기가 너무 미시적이기 때문에 지름이 400m인 핵사곤으로 재가공하였다. 또한 공공데이터포털의 API에서 제공하는 긴급재난문자정보를 이용하여 본 연구의 핵심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또한 고양시, 서울, 전국에서 발생하는 일별 신규확진자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제한조치(5인 이상 집합 금지, 원격수업, 재택근무, 대중교통 50% 예매 제한) 시행 여부 변수를 생성하여 이용하였고, 고양시의 법정동별 월별 인구밀도와 공휴일 및 방학에 대해서 통제해주었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는 패널데이터이다. 따라서 패널회귀분석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긴급재난문자의 시차 효과에 대해서 실증해보고자 하는데, 이 때 종속변수의 시차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그 효과를 관찰할 필요가 있어, 일반적인 패널회귀분석으로 추정할 경우 분석에 편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종속변수의 시차변수를 독립변수로 활용한 동적 패널 회귀 분석을 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이 때 발생할 수 있는 내생성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도구변수를 활용하는 장기 시계열 자료에 적합한 앤더슨-샤오 추정법을 활용하였다. 동적 패널 회귀 분석을 통해 실증한 결과, 긴급재난문자에서 확진자에 대한 공간적 범위를 법정동 단위로 제공할 때 즉각적으로 유동인구 감소가 나타났다. 성별 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성에게서 당일에 감소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문자를 받은 뒤 2일 후에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10대와 20대에서는 당일의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데에 반하여 3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는 당일부터 즉각적으로 유동인구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보다 긴급재난문자에 즉각적으로 반응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시군구 단위의 확진자 공간 정보 제공은 문자를 받은 초기에는 오히려 유동인구가 증가하였으며, 문자를 받은지 4일 뒤에 유동인구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시군구 단위 제공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별로도 모든 연령층에서 즉각적인 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서 공간적 범위가 확대되면 유동인구 감소를 일으키기까지 시차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실증한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는 결론은 긴급재난 문자에서 제공하는 확진자 정보의 공간적 범위는 구체적일 때, 유동인구 감소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즉각적 효과는 남성에게서, 연령층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또한 확진자에 대한 공간적 범위가 모호해지면 유동인구 감소라는 반응이 나타나기까지 시차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긴급재난문자에서 상세한 단위의 확진자 관련 공간적 정보 제공이 있을 때 펜데믹 상황에서의 감염병 확산감소에 효과적인 기여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The number of new COVID-19 cases in Korea has been in the four digits since July 7. In such a situation, providing spatial information about confirmed cases through emergency text messag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spread. However, due to problem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the scope of spatial information on confirmed cases provided through text messages has changed from the legal dong unit to the city, county, and gu units, which is feared to damage the value of emergency disaster messa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specificity of the spatial scope is important by demonstrating that the spatial scope for confirmed cases of emergency disaster letters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the floating population than when the spatial scope is provided in units of legal dong, compared to when it is changed in units of city, county, and gu.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demonstrate the discriminatory effects of gender and age because behaviors differ by gender and age in the COVID-19 situation. Looking at the existing research trends, emergency disaster messages have the value of making people aware of dangerous situations through “information transfer”, and issuing them has the potential to reduce mortality or induce preventive actions in a pandemic situation. said to have positive effects. However, there were issues related to information disclosure, and there were many papers arguing the need to solve them. However, there was no study demonstrating the gender-discriminatory effect on the direct behavioral effect of the difference in the spatial extent of the confirmed patient information. This study intends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reducing th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differential effect by gender and a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spatial extent.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mobile phone-based data provided by SKT, and the grid unit data, which was provided in the existing 50mx50m format, was reprocessed into a 400m-diameter Hexagon because its size was too microscopic. In addition, the emergency alert text mess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PI of the public data portal was used as a key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n addition, data on the number of new confirmed cases per day in Goyang, Seoul, and nationwide were used, and a variable was created and used to determine whether restrictions (prohibition of gatherings of more than 5 people, online classes, telecommuting, 50% reservation limit for public transportation) were implemented. The monthly population density and holidays and vacations were controlled for each dong of the cit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panel data. Therefore,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was reviewed. However,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monstrate the lag effect of emergency alert text meassage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effect while controlling the lag variable of the dependent variable. Because it can occur, a dynamic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lag variable of the dependent variable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adopted as a methodology. In order to control the endogeneity that may occur at this time, the Anderson Hsiao estimation method suitable for long-term time series data using instrumental variables was used. As a result of the dynamic panel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spatial scope of the confirmed case was provided in the unit of legal dong in the emergency disaster message, the floating population decreased immediately, and when 6 days have passed after receiving the message, the reduction effect is even more pronounced. got bigg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der effect, the reduction effect was immediately seen in men on the same day, and the reduction effect was seen in women 2 days after receiving the text message. In addition, while the effect of the day was not significant in teens and 20s, the floating population decreased immediately from the day of the 30s and older.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men, rather than women, respond more immediately to emergency text messages as the age increases. On the other hand, in the provision of spatial information of confirmed cases by city, county, and district, the floating population increased in the early stage of receiving the text message, and the floating population decreased 4 days after receiving the text mess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in the provision of city, county, and gu units. By age, there was no immediate reduction effect in any age group.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spatial range is expanded, a time lag is necessary until the floating population decreases. The conclusion that can be known based on the results demonstrated in this study is that when the spatial range of the information on confirmed cases provided by the emergency text message is specific, the effect of reducing the floating population appears immediately, and this immediate effect is more pronounced in men and as the age group increases. appear to be significant. In addition, when the spatial scope of the confirmed case becomes ambiguous, a time lag is required until the response of a decrease in floating population appears. Therefor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expected to effectively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in a pandemic situation when spatial information related to confirmed cases in detailed units is provided in the emergency disaster letter, as long as personal information is not excessively infringe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65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