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6 0

일 가정 양립제도의 활용도가 조직의 업무효율에 미치는 영향분석: 공기업을 중심으로

Title
일 가정 양립제도의 활용도가 조직의 업무효율에 미치는 영향분석: 공기업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impacts of work-family balance system on the organization's operational efficiency
Author
김정원
Alternative Author(s)
Kim, jeong-won
Advisor(s)
유재원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hanged the name of "Equal Employment Act" to "Act on Equal Employment and Support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established in 1987 to strengthen policies to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for workers. Therefore, the government introduced “work-family balance system” to public organizations in 2017 and mandated management evaluation through public announcements every year to actively utilize the system. However, unlike public organizations that make public announcements, there are concerns that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The first negative reason for operational efficiency is traditional visual problems. Employees who place more importance on their work than on their families show loyalty to the organization, and the opposite form of work will hurt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he burden of excessive workload on existing employees can reduce operational efficiency and negative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ird, if you use it to supplement alternative human resources, On the contrary, it is highly likely to impede the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organization, and even damage exist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mwork.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research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work-family balance system had a negative effect on business efficiency. This is because the research subjects are set as public enterprises with public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and are used as leading materials that have influence on both public and corporate organizations. The model of this study sets the most useful childcare leave system and maternity leave system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ROA, which is an indicator of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control variable is an organization size factor. In this research analysis, pooled OLS (POLS) and pane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5-year panel data from Ario System from 2015 to 2019. First, the basic assumption of panel data was ignored, pooled OLS was implemented, and then Hausman Test was performed, and then the probability effect model (REM) and the fixed effect model (FEM) were analyzed. This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each study through three models to find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first is that the rate of parental leave and maternity leave is not significant when all the variables of institution size are controlled. However, the duration of existence and bureau-type were 1% level of significance, indicating a negative (-) effect. The employees' salary was 1% level of significant, indicating a positive (+) effect. Second, the random effect model reflects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enterpris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maternity leave rate is significant at 5% significant level, which shows the positive effect. The duration of exist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a 5% significant level, indicating a negative (-) effect. The employees' salar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t a 1% significant level, showing a positive effect. The bureau-type is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at 5% significant level, indicating negative (-) effect. Third, the fixed effect model reflects the premise that the nature of state-owned enterprises is fixed in the year, and the parental leave rate and maternity leave rate are not significant when all the variables are controlled. It was found that the employees' salary was significant at 5% significance level, and that the bureau-type was significant at 5% significance level, which was negative (-) effec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 that the utilization of the maternity leave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 The analysis results of public enterprise, which include both public organizations and private companies, will be used as research materials to provide practical value to civil servants and managers. In addition, After the institutional settlement period, the maternity leave system and childcare leave system are likely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operational efficiency.|법제처는 1987 년 제정된 「남녀고용평등법」을 「남녀고용평등과 일ᆞ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근로자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정책 강화의 일환으로 정부는 2017 년 공공기관에 일 가정 양립제도를 도입하여 매년 공시를 통해 의무적으로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반면 공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공공기관과는 달리 기업에서는 제도가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일 가정 양립제도가 조직의 업무효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우려가 존재하고 있다. 업무효율이 부정적인 이유는 첫째, 전통적 시각 문제로, 가정보다 직장 일을 더 우선시하는 직원이 더 조직에 충성하고 이에 벗어난 업무형태는 업무효율과 조직효과에 타격을 준다는 것이다. 둘째, 근로자의 공백은 기존 직원들에게 업무량 과중이라는 부담을 안겨주어 업무효율이 떨어지고, 조직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근로자의 공백을 자리 충원의 차원에서 대체인력을 활용한다면, 오히려 조직 효율성이나 생산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으며 더 나아가 기존 조직문화나 팀워크를 손상시킬 가능성도 부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문제는 일 가정 양립제도가 업무효율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공공성과 기업성의 성격을 갖춘 공기업으로 설정하였으며 공공기관과 기업 모두에게 영향력 있는 선행자료로 쓰이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모형은 공공기관에서 공시하고 있는 일 가정 양립제도 중 가장 많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는 육아휴직제도와 출산휴가제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는 업무효율성의 지표인 ROA, 통제변수는 기관 규모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분석은 알리오 홈페이지의 2015 년부터 2019 년까지의 5 개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Pooled OLS(POLS)와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패널데이터라는 기본 가정을 무시하고 Pooled OLS 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하우즈먼 검정을 수행한 뒤, 확률효과모형(REM)과 고정효과모형(FEM)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분석모형을 통해 각 연구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연구의 당위성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번째, POLS 는 기관규모변수를 모두 통제하였을 시, 육아휴직율과 출산휴가율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존속기간, 기관 유형은 모두 1% 유의수준에서 음(-)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 인당 평균 보수액은 1% 유의수준에서 양(+)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두번째, 확률효과모형은 기업의 내재적 특성 자체를 반영하여 분석한 것으로, 독립변수인 출산휴가율에서는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의 효과를 보였다. 존속기간은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의 효과를 보였다. 1 인당 평균보수액은 1%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의 효과를 보였다. 기관 유형은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번째, 고정효과 모형은 공기업의 성질인 연도를 고정하였다는 전제를 반영하여 분석하여 기관규모변수를 모두 통제하였을 시, 육아휴직율과 출산휴가율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 인당 평균보수액이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의 효과를 보였고, 기관 유형에서는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를 보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출산휴가제도의 활용도가 업무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과 사기업의 성격을 동시에 지닌 공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므로 공무원, 경영자에게 실무적 가치를 제공하는 연구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도적 정착기를 거치면 출산휴가제도는 물론 육아휴직제도 또한 업무효율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16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54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