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5 0

근대불교 종단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구하천보의 변혁적 리더십 연구

Title
근대불교 종단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구하천보의 변혁적 리더십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Monk, Ven. Guha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Modern Buddhist Order
Author
윤균
Alternative Author(s)
Yun Gyun
Advisor(s)
유재원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leadership of the Buddhist monk Ven. Guha(hereinafter referred to as Guha) which was exercised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Korean Buddhist order,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Guha was a monk who lived in a period of rapid chang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60s and played major roles in the Order, including the abbot of Tongdosa Temple, and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Buddhism. He practiced strict Seon meditation, and he was a Buddhist Practitioners with the energy to protect and develop Tongdosa Temple and Korean Buddhism, and he discovered and educated many disciples. Guha was active in various positions as a member of the Tongdosa community, sometimes as the abbot, and sometimes as an executive of the Central Order. Depending on the period, when he served as the abbot of Tongdosa Tem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concentrated on missionary activities and the movement to establish the modern Order. He also actively took part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such as announcing the Buddhi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supplying funds to Korea independence army. In addition, he participated in various activities for the formation of the modern form of the Buddhist central Order. Efforts to make the modern Buddhist central Order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tinued into the 1960s. For this reason, the 1950s and 1960s were the formation period of modern Order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Headquarters-level temples scattered in each region were set up as a base for regional propagation and tried to make the modern Order. During the period of rapid change ti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Guha participated in the changes in the parish headquarters, branch temples, and the central order, and exerted leadership in that change. In Guha's leadership, it can be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t can induce organizational change in order to enhance the survival and competitiveness of the organiz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establish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analy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found in Guha’s leadership, this study summarized his life through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Buddhist order and how the religious administration of Tongdosa Temple changed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is paper analyses the source of his leadership based on his writing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elements such as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inspiration, and vision presentation,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Guha's leadership. First, Guha showed charismatic leadership through strict seon practice. He exercised leadership that nurtures disciples while not succumbing to various pressures appli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dignity of an elder. Second, Guha showed communicative leadership through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hile nurturing dozens of disciples, he guided them to practice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and he did not neglect to considerate and educate them so that they could demonstrate their individual abilities. Third, Guha exercised the leadership like Bodhisattva which practice the mercy through the power of influence on the public. Although he was strict with himself with dignified manner and good example, he led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through leadership that accepted and influenced the opinions of the community. He showed excellent ability to persuade and unite the public by actively taking part in education and relief work. Fourth, Guha gave intellectual stimulation to the public of Tongdosa Temple and encouraged them to change themselves. And in order to give such intellectual stimulation, he directly observed while traveling to various places including Japan and tried to find a solution to develop Buddhism at that time. Fifth, Guha showed innovative leadership through renewal and changes to the temple and Order. It could become that the reform ideology[革舊就新] suggested by him acted as the basis for the innovative changes of the old reform and the selection of a new method. He emphasized the transition from pessimistic Buddhism to participatory Buddhism that pursues comfort and hope. As described above, Guha's leadership can be defined a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ercised in a special situation. In the harsh environ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sought the Liberation of nation. After the Liberation, he worked hard for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the Order. As the abbot of Tongdosa Temple, he exerted leadership in actively seeking reformation of the temple and a new direction for missionary work. This leadership was shown in practical activities such as setting clear goals, communication and harmony that lead to public participation, and the ability to nurture and use talent in the right place. He was not satisfied with the traditional Buddhist leadership shown by the Seon-practiced Monks. Guha did not compromise the dignified manner of the Buddhist Practitioners by reason of his worldly interest and concern. He did not neglect his duties as a Buddhist Practitioners while constantly trying to find a solution of changes based on his Middle Path[中道] and Right View[正見]. Although he actively engaged in the Order-related activities, he did not pursue worldly desires and interests. Although he emphasized purity, he did not hide in the mountains|본 연구는 근대 한국불교 형성과정에서 발휘된 구하천보 대종사의 리더십을 변혁적 리더십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구하는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격변기를 살면서 통도사 주지를 비롯하여 종단의 주요 소임을 담당하면서 현대 한국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한 승려이다. 그는 철저한 수행력을 갖추었으며, 통도사 및 한국불교를 지키고 발전시키려는 원력을 가진 수행자였으며, 많은 제자를 발굴하고 교육하였다. 구하는 통도사 대중의 일원으로, 때로는 주지 소임자로서, 때로는 중앙종단의 소임자로서 다양한 위치에서 활동하였다. 시기에 따라서도 구하는 일제강점기에 통도사 주지를 역임하면서 포교활동과 근대적 종단 건립 운동에 집중하였다. 불교독립선언서를 발표하고 독립군에게 자금을 제공하는 등 독립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근대적 형태의 종단형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에도 참여하였다. 일제강점기 때부터 이어진 종단형성 노력은 대한민국 정부 건립 시기에도 이어졌다. 이러한 이유에서 1950-60년대는 불교적 관점에서 근대종단 형성기이다. 각 지역에 산재해 있던 본사급 사찰들이 지역포교의 거점으로 자리 잡고 종단의 형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였다. 구하는 일제강점기와 정부 수립 시기라는 격변기에 교구본사와 말사, 그리고 중앙종단 변화에 관여하였고, 그 변화의 과정에서 지도력을 발휘하였다. 이처럼 구하의 지도력에서 급변하는 조직 환경 속에서 조직의 생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조직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지도력, 즉 변혁적 리더십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을 이론적 배경으로 설정하고, 변혁적 리더십의 주요한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구하의 삶을 종단 형성과정, 그리고 그 과정 속에서 통도사의 종무행정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변화과정을 대중들과 함께 이끈 구하의 리더십 원천을 그의 저술을 근거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구하의 리더십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특성인 카리스마, 지적 자극, 개별적 배려, 영감, 비전 제시 등의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구하는 철저한 수행을 통한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구하는 일제강점기에 가해진 갖가지 압박에도 굴하지 않고 장로(長老)로서의 위의를 지키면서 후학을 양성하는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둘째, 구하는 개별적 배려를 통한 소통의 리더십도 보여주었다. 구하는 수십 명의 제자를 길러내면서 각자의 능력에 맞는 수행을 하도록 이끌어 주었으며, 개별적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지도하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셋째, 구하는 감화력을 통한 보살의 리더십을 발휘하였다. 구하는 위의와 모범을 보이는 삶을 통해서 스스로에게는 엄격하였지만, 대중들의 의견을 수용하고 감화를 주는 지도력을 통해 불교정화운동을 이끌었다. 구하는 교육과 구호사업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대중들을 설득하고 결집하는데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었다. 넷째, 구하는 통도사의 대중들에게 지적 자극을 주고, 스스로 변화하도록 촉진시켰다. 이러한 지적 자극을 주기 위해서 직접 일본을 비롯하여 경향 각지를 여행하면서 직접 관찰하고 당시 불교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다섯째, 구하는 쇄신과 변화를 통한 혁신적인 리더십을 보여주었다. 구하가 제시한 혁구취신의 개혁사상은 구태의 개혁, 새로운 방법의 선택이라는 혁신적 변화의 근간으로 작용하였다. 구하는 현대 한국불교의 방향으로 안락함과 희망을 추구하는 참여주의적 불교를 강조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하의 리더십은 특수한 상황 속에서 발휘된 변혁적 리더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는 일제강점기의 엄혹한 환경에서 조국의 해방이라는 변화를 모색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종단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서 노력하였고 통도사의 주지로서 사찰의 개혁과 새로운 포교 방향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리더십을 발휘했다. 이러한 리더십은 분명한 목표 설정, 대중의 동참을 이끌어내는 소통과 화합능력, 적재적소에 인재를 육성하고 활용하는 능력 등의 실천 활동으로 나타났다. 불교의 관점에서 구하는 수좌들이 보여주는 전통적인 수좌형 리더십에 안주하지 않았다. 또한 그는 세속에 관심을 두었지만, 수행자의 위의를 해치지도 않았다. 중도와 정견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변화를 모색하면서 동시에 수행자의 의무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적극적으로 종단 활동을 전개하면서도 세속에 물들지 않았고, 청정함을 강조하며 산중에서 은거하지도 않았다. 필요에 따라, 그리고 정법(正法)에 의거하여 진퇴를 결정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7765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54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UBLIC ADMINISTRATION(행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