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3 0

한국 정당 대표 리더십 분석 : 19대~21대 국회를 중심으로

Title
한국 정당 대표 리더십 분석 : 19대~21대 국회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nalysis on the leadership of Korean political party representatives : Focusing on the 19th to 21st National Assembly
Author
이재윤
Alternative Author(s)
Lee, Jae-Yoon
Advisor(s)
은용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정당 정치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당 지도자들의 리더십 유형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정당 대표의 리더십을 고찰하는 데 있다. 샤츠슈나이더가 지적한 대로 대의 민주주의의 성립 조건으로서 정당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정당 정치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서 시민 참여와 같은 직접 민주주의 확대 요구가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직접 민주주의 확대가 정당을 중심으로 하는 대의 민주주의를 대체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정당은 특정한 이념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모인 단순한 집합체가 아니며, 정당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효율적 체계를 가진 리더십이 있는 조직으로서 특성화되어야 한다. 조직으로서의 정당을 이끌어가는 정당 대표의 리더십은 정당 정치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밖에 없으며, 정보화 이후 활발해진 정치 참여에서 정당 지도자의 리더십이 대중적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는 점은 이를 방증한다. 정당의 운영은 계파 간의 갈등 조정, 인센티브의 차등적 제시, 공천 관리, 정치효능감의 확대 등처럼 수학 문제 풀이처럼 알고리즘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보이는 과제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당 조직은 외부에 잘 드러나지는 않으며, 이론적으로 다루기 까다로운 곳에서의 비공식적 행위가 더 중요한 경우가 많다. 그런데 한국 정당 정치 과정에서 정당대표에게 요구되어온 리더십은 대체로 카리스마적인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1987년 이전까지 정치적 갈등의 초점이 절차적 민주주의 확보에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당 정치에서 정당 대표에게 요구되는 리더십이 카리스마적인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는 공천을 포함한 정당 운영방식에 있어서 정당 지도자 자신의 의지와 의견을 어느 정도로 반영하는지에 따라, 그리고 정당 및 당원에 대한 제도적 포용력의 수준에 따라, 리더십 모델을 크게 카리스마적 정당 대표, 제도적 정당 대표, 전략가형 정당 대표 등 세 가지로 구분한다. 이러한 세 가지 유형에 따라 19대 이전까지 국회의 정당 대표 리더십을 통시적 차원에서 그리고 19대부터 21대 국회의 정당 대표 리더십을 공시적 차원에서 고찰한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고찰의 주요한 목적은 특정한 리더십 유형만을 부각하려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리더십 유형이 정당 정치의 상황에 따라 강점과 약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이려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dership types of party leader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Korean party politics and to consider the leadership of desirable party representatives. As Shatschneider pointed out, political parties occupy a very important position as a cond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representative democracy. Even if distrust in party politics is pouring out calls for the expansion of direct democracy, such as civic participation, it seems difficult to replace representative democracy centered on political parties. A political party is not a simple collection of people who agree with a particular ideology, and in order for the political party to function properly, it must be specialized as an organization with leadership with an efficient system. The leadership of party leaders who lead political parties as an organization is bound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process of political party politics, and the fact that the leadership of party leaders is the focus of public interest in political participation after informatization proves this. Political party management includes seemingly algorithmically difficult tasks such as resolving conflicts between factions, differential presentations of incentives, nomination management, and expansion of political efficacy, and informal actions in places that are difficult to deal with are often more important. However, the leadership required of political party representatives in the Korean political process was often charismatic, apparently because the focus of political conflict was on securing procedural democracy until 1987. However, the leadership required of party representatives in party politics is not limited to being charismatic. This study divides the leadership model into three categories: charismatic party representatives, institutional party representatives, and strategist party representatives, depending on how much party leaders reflect their will and opinions, including nominations. According to these three types, the leadership of the National Assembly's party representatives before the 19th and the leadership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s party representatives from the 19th to the public level are considered. The main purpose of the consideration conducted in this study is not to highlight only specific leadership types, but to show that each leadership type has strengths and weakness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party politic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92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4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정치외교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