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진우-
dc.contributor.author책혜방-
dc.date.accessioned2022-02-22T01:34:46Z-
dc.date.available2022-02-22T01:34:46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4070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45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구성주의 이론을 이론적 분석의 틀로 활용하여 중국과 미국간 무역분쟁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의 갈등적 중미관계는 외생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중국과 미국 사이의 상호작용 속에서 내생적으로 구성되었다.양국 간의 무역분쟁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역 불균형 문제뿐만 아니라 양국의 구조문제 및 관념의 변화이다. 다수의 기존 연구에서는 중국의 무역분쟁에서의 강경한 태도는 중국의 급속한 국력 신장에서 비롯되었다는 현실주의적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자유주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는 연구들은 중-미 간 무역과 상호투자 증가로 경제적 상호작용이 더욱 강화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될 것이라고 한다. 이런 현실주의 이론과 자유주의의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고 체계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는 구성주의의 이론을 통해 현재 전개되고 있는 중-미 무역분쟁을 분석한다. 국가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각각의 행위자가 어떠한 이유에서 무엇을 행위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이 오히려 중-미 무역분쟁의 전개 양상을 설명함에 있어 더 적실성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다. 오바마 행정부 최대목표는 미국 경제의 회복과 세계금융시스템의 안정화였다. 중국 정부에 대해서도 경쟁자 혹은 위협적인 존재가 아닌 아시아와 글로벌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할 전략적 동반자로 규정했다. 그런데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하며 대규모의 일자리손실 및 경제적 쇠퇴가 잘못된 무역정책과 타 국가들과의 무역에서 비롯되었음을 주장했다. 중-미 간 경제역량의 비대칭성의 축소의 상황에서 미국의 경제이익을 최우선시하는 트럼프 정부는 과거 미국 정부들과는 달리 역사상 최대의 무역흑자를 보고 있는 중국에 대해 공격적이고 강력한 보호무역 정책을 추진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충돌을 막기 위한 중-미 관계의 ‘가드레일’을 강조했는데 그 기본 전제는 중-미간 경쟁이 불가피하다는 점이었다. 특히 중국과의 경제패권경쟁을 혁신 경쟁으로 규정하고 첨단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증대로 대중국 경쟁력 우위를 확보한 보이다. 중국은 고속의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며 부상하는 국가로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중국의 국력과 국제적 역할,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었다. 그러한 가운데 후진타오 주석은 중국의 대외정책 기조를 ‘화평굴기’로 전환했다. 중국외교 정책의 최고 우선순위를 강대국과의 관계에 두면서 패권 국가인 미국의 이익에 도전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런데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선제공격에 대한 시진핑 행정부가 중국의 보복조치가 뒤따르면서 중미간 경쟁과 갈등은 중국의 부상에 따른 불가피한 과정으로 인식했다.  중-미간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형성된 상호간 경쟁관계의 관념은 양국 무역관계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수차례의 고위급 협상에도 불구하고 타결하겠다는 강한 의지는 보이지 않았다. 무역분쟁이 중요한 것은 무역분쟁이 앞으로 격화될 경쟁의 전초전이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데 있다. 무역분쟁에서 이기는 국가가 향후 경쟁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먼저 양보를 하지 않으려고 전력을 다하고 있는 것이다. 양국 간 경제력의 비대칭성이 감소된 상황에서 무역분쟁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고 국제무역질서의 불안정성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rade dispute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by using the constructivist theory as a framework for theoretical analysis. The current international political phenomenon of conflicting Sino-US relations is not given exogenously but is endogenously construct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determinant of trade disput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is not only the trade imbalance problem itself but also the structural problem and the change in concep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 number of previous research have provided a realistic explanation that China’s tough attitude in trade disputes comes from China’s rapid growth of national power. Studies based on liberal theory indicated that economic interaction would be strengthened and more stable due to increased trade and mutual investment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se realist and liberal theories and provide a systematic explan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nature of the current Sino-US trade dispute through the theory of constructivism. In the interaction of the stat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urpose and reason of what each actor is using.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how that the constructivist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which emerged based on the thoughts of rival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more relevance in explaining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the Sino-US trade dispute. The Obama administration also defined the Chinese government’s identity as a strategic partner to jointly solve Asian and global problems, not as a competitor or a threat. The Trump administration emphasized ‘America first’ and argued that large-scale job loss and economic decline stemmed from wrong trade policies and trade with other countries. Therefore, the Trump administration pushed for a more aggressive and strong protectionist trade policy against China. The Biden administration emphasized the “guardrail” of Sino-US relations to prevent conflict but its basic premise was that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the US was inevitable. In particular, it seems that competition for economic hegemony with China is defined as an innovation competition and has secured a competitive advantage of China is secured by increasing investment in the high-tech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China maintained its high-speed economic growth rate, and China began to attract attention as an emerging country, and the discussions about China’s national power, international role, and identity are expanding. In the midst of this, President Hu Jintao changed China’s foreign policy stance to a “peaceful period”. It is the position that China will not challenge the interests of the United States while placing the highest priority on China’s foreign policy in relation to a powerful county. However,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in response to the Trump administration’s trade preemptive strike is recognizing that China’s retaliatory measures follow, and that competition and conflict between China and the US is an inevitable process following the rise of China. The concept of a competitor that was rescued during the Sino-US interaction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rade relations. Despite numerous high-level negotiations, there was no strong will to reach an agreement.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trade dispute has an international political character as a prelude to competition that will intensify in the future. The country that wins a trade war tries not to make concessions at the beginning, because it has an advantage in future competition. As the asymmetry of economic power between the two countries decreases, trade disputes are likely to continue and the instability of the international trade order will increas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정체성의 국제정치와 중미무역분쟁-
dc.title.alternativeInternational Politics of Identity and the Sino-US Trade Disput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책혜방-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Zhai, Hui Fang-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정치외교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정치외교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