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화종-
dc.date.accessioned2022-02-10T01:23:25Z-
dc.date.available2022-02-10T01:23:25Z-
dc.date.issued2020-06-
dc.identifier.citation한국신석기연구, no. 39, page. 107-132en_US
dc.identifier.issn1975-7387-
dc.identifier.uri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780343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265-
dc.description.abstract서울 암사동 유적은 1925년 을축년 대홍수로 발견된 후 1970년대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시작되어 한반도 신석기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 한반도 신석기 연구의 상징적 유적이다. 2000년대 이후 암사동 유적의 발굴조사가 새로이 시작되면서 유적의 다양한 가치를 연구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세계유산으로서의 유적의 가치가 새롭게 고려되고 있다. 세계유산은 탁월하고 보편적인 가치를 가진 유산으로 진정성, 완전성을 충족하는 유산이다. 서울 암사동 유적은 신석기시대 변화하는 환경에 인류의 적응과정을 한강변에 입지한 대규모 정주취락으로 한강을 이용한 어로와 주변지역에서 수렵채집을 통해 보여주는 유적이라는 주요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런 서울 암사동 유적 가치는 유적을 구성하는 암사동 선사유적의 신석기 취락 뿐아니라 생계의 주무대인 한강을 포함한 지역이다. 세계유산의 관점에서 서울 암사동 유적이 진정성과 완전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암사동 유적과 한강이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하나, 현재 서울 암사동 유적은 올림픽대로로 인해 한강과 물리적으로 시각적으로 완전히 단절되어 있다. 이런 단절을 극복한고 서울 암사동 유적의 가치 위에 진정성과 완전성을 회복한다는 의미에서 한강과 서울 암사동 유적을 연결하는 암사초록길은 의미 있는 시도라 할 수 있다. 그러한 현재의 암사초록길의 위치, 규모, 형태에 대하여는 서울 암사동 유적의 가치를 고려한 면밀한 검토와 계획이 필요하다. Since Seoul Amsadong site was discovered by Great Flooding in 1925, excavation and studies on the sites were conducted in 1970 and 1980s. The site wa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site for study of Neolithic culture in Korean Peninsular. Withe reopen of the site since 2000s, a verity of fields of study have been carrying out. One of the study would be considering the Seoul Amsadong site as the World Heritage Site. For nomination of World Heritage, the site should have Outstand Universal Value and meet authenticity and integrity. Upon the value of the Seoul Amsadong Site which testifies the human adaption against natural environment in Neolithic Period with riverside settlement for subsistence with fishing and hunter-gathering, the site should be understood as a complex of the settlement and natural environment. It can be said that the Seoul Amsadong Site means the settlement and the cultural landscape incluing Han river. In terms of authnticity and integrity for World Heritage, the Seoul Amsadong Site should be understood with relation with the Han river.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site is, however, that the site and river is completely disconnected and sever by Olympic motor way. In order to meet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the Amsa Green Way, which recover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connecting the Seould Amsadong Site and the Han rive, would be meaningful attempt. Given the current plan for the project, the location, scale and desig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with the value of Amsadong Site.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신석기학회en_US
dc.subject서울 암사동 유적en_US
dc.subject세계유산en_US
dc.subjectOUVen_US
dc.subject진정성과 완전성en_US
dc.subject암사초록길en_US
dc.subjectSeoul Amsadong Siteen_US
dc.subjectWorld Heritegeen_US
dc.subjectOUVen_US
dc.subjectAuthenticity & Integrityen_US
dc.subjectAmsa Green Wayen_US
dc.title세계유산의 완전성과 진정성을 고려한 서울 암사동 유적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암사초록길 검토en_US
dc.title.alternativeExamination of Amsa Green Way based on Preservation and Use of Seoul Amsadong Site with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World Heritage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39-
dc.identifier.doi10.35186/jkns.2020.39.107-
dc.relation.page107-132-
dc.relation.journal한국신석기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이화종-
dc.contributor.googleauthor김기룡-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Hwajong-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Kyryeong-
dc.relation.code2020041437-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HANYANG UNIVERSITY MUSEUM[S]-
dc.identifier.pidhyhjlee-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연구정보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