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 215

포천천 유역 용정리 구석기유적 연구-편년 설정과 석기군의 분석을 중심으로-

Title
포천천 유역 용정리 구석기유적 연구-편년 설정과 석기군의 분석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Yongjeong-ri Paleolithic Sites in the Pocheon-cheon Area
Author
이정철
Keywords
포천천; 구석기; 용정리 유적; 편년; 석기군; Pocheon-cheon; Paleolithic; Yongjeong-ri Sites; Chronology; Artifacts Group
Issue Date
2020-06
Publisher
한국대학박물관협회/한국박물관협회
Citation
고문화, no. 95, page. 7-36
Abstract
포천천 유역에 자리잡은 용정리 구석기유적은 하안단구 상부에 퇴적된 점토층 내에 위치하며, 단구면의 형성은 MIS 6과 관련된다. 점토성 퇴적물은 색조에 따라 명갈색-갈색-암갈색-적갈색-(명)황갈색의 층으로 구분되는데, 모든 층에서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이들 퇴적층은 MIS 5c~MIS 2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시기적으로는 중기~후기 구석기시대에 속한다. 유물층의 편년은 퇴적층 형성 시기와 구석기시대의 시기 구분을 바탕으로 다섯 단계로 구분하였는데, 중기 1기와 2기, 중기~후기 전환기, 후기 1기와 2기이다. 석기군은 모든 단계에서 석영계 돌감을 집중적으로 활용하였다. 다만 후기 2기에는 흑요석이 소량 확인되어 주목된다. 박리기법은 일반 박리만이 확인된다. 박리작업은 자연면을 타격면으로 한 방향에서 주로 박리가 이루어졌는데 점차 작업면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격지의 크기는 후기 1기에서 후기 2기로 가면서 소형화된다. 다듬은 석기는 대형석기가 중기~후기 전환기까지 점차 증가하지만 후기1기부터는 소형석기가 우세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주요 다듬은 석기 중 찍개류는 외면이 많은 편이이었지만 중기~후기 전환기부터 외면과 양면이 비슷해진다. 주먹도끼류는 중기 2기와 중기~후기 전환기에 두드러지는데, 늦은 시기에 가공의 정도가 높아지고 기술형태적 다양성이 확인된다. 그리고 여러면석기는 중기 2기~후기 1기까지 많은 수를 보인다. 긁개는 모든 단계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데, 이른 단계에는 조각을 이용하다가 점차 격지의 활용이 증가한다. 그 크기는 중기 1기에서 중기~후기 전환기로 갈수록 점차 커지다가 후기 1기에는 다시 작아진다. The Yongjeong-ri Sites is located in the clay layer deposited on the upper part of fluvial terrace in Pocheon-cheon(stream). The formation of terrace is related to MIS 6. Clay deposits are divided into layers of light brown-brown-dark brown-redish brown-light yellowish brown according to the color and artifacts are excavated from all layers. This sediments layers was formed in MIS 5c ~ MIS 2 and belongs to the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he Chronology of the Arifacts layers was divided into five stage based on the period of formed sediments and Paleolithic period. That’s M(Middle Paleolithic)1 stage and M(Middle Paleolithic)2 stage, M(Middle Paleolithic)~U(Upper Paleolithic) transition stage, U(Upper Paleolithic)1 stage and U(Upper Paleolithic)2 stage. In the artifacts group, quartz-based materials were intensively used at all stages, but a small amount of obsidian was identified on the U2 stage. In the knapping technique, only normal knapping is identified. The knapping works are mainly striking platforms of natural surfaces, and knapping is mainly done in one direction, but the surface of debitage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size of flakes is downsized from U1 stage to U2 stage. In the case of shaped tools, large tools gradually increase and small tools increase from the U1 stage. Among the main shaped tools, chopper-chopping tools have many choppers, but the number of choppers and chopping-tools becomes similar from M~U transition stage. Hand-axes are prominent in the M2 stage and M~U transition stage, and it seems that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gradually reflected. And polyhedron shows a large number from M2 stage to U1 stage. Side-scrapers accounts for the largest number at all stages. In the early stages, the use of debris gradually increases the use of flakes. In addition, the size gradually increases from M1 stage to M~U transition stage and then decreases again in U1 stage.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9810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250
ISSN
1229-5302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연구정보
Files in This Item:
포천천 유역 용정리 구석기유적 연구-편년 설정과 석기군의 분석을 중심으로-.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