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8 0

한국형 전술수송기의 적정 개발규모와 의사결정 영향집단별 AHP조사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형 전술수송기의 적정 개발규모와 의사결정 영향집단별 AHP조사 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the Optimal Development Strategy of Air Cargo in Size and AHP Survey Analysis of Each Potential Decision-Making Group
Author
김익기
Keywords
Air Cargo; AHP; Decision Marking; Decision Making Group
Issue Date
2008-12
Publisher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Citation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v. 34, No. 3, Page. 31-40
Abstract
항공기 제작산업은 고부가가치일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수출 유망산업으로서 현재 매년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항공기 부문의 무역 적자를 개선하기 위하여 반드시 이루어야할 사업이다. 현재 국내 항공 산업은 최초 아음속항공기인 KT-1을 시작으로 최초 초음속 항공기인 T/A-50 개발에 이르기까지 눈부신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실전 배치와 국내외 각종 에어 쇼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도 계속 진행되고 있는 차기 전투기 사업이나 공격헬기사업 등을 고려한다면, 차세대 국내수송기 개발 전망은 매우 밝은 편이다. 또한, 공군 해외파병의 역사가 월남전부터 대테러전과 최근의 이라크 자유 작전까지 수송기를 이용한 항공수송이 주 임무가 되었던 점을 감안한다면, 장래 우리 군과 국산 수송기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기회 또한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송기를 개발할 경우 적정 규모에 대해서 AHP기법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평가는 한국형 중형 여객기 개발 규모 연구에 적용되었던 평가기준을 근거로 운용성, 경제성, 기술성,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5가지 기준으로 결정하였으며 세부 평가기준은 군 수송기에 적합하도록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적용하였다. 의사결정 집단은 현장의 수송기를 운용하고 항공기를 제작하는 현장의 목소리를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전문형 실무자로서의 적합성을 기준으로 하여 5년 이상의 실무경험을 가진 수송기 조종사, 수송장교, KAI의 과장급 실무자로 선정하였다. ;The aircraft manufacturing industry is a profitable business and has the potential to be an important export business. Our trade deficit needs to be improved in aircraft manufacturing part. Our national aircraft industry, which has been recognized for its quality in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Air Shows, has developed the T/A-50 aircraft from the origins of the KT-1. With the ongoing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fighter planes and helicopters, business for the next generation domestic air cargo has bright prospects. Judging by the history of the overseas air force dispatch during the Vietnam, Gulf, and Iraqi wars whose main mission was air transportation, there will be many opportunities to show the excellence of Korean air cargo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optimal scale of air cargo development using the AHP method. The authors evaluated the scale of air cargo in size and capacity based on the following 5 standards used Korean developing airliner : usability, economics, technology, safe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Then, the authors modified specific standards suitable for air cargo based on literature review Decision-making groups were chosen for suitability of expert staff in charge because they could represent for leading opinions in this specialized area especially as in practical aspects. The participants of the evaluation were pilots, transportation officers and management staff in the KAI who have experienced over 5years.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05874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148
ISSN
1229-9898; 1229-359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SCIENCES[E](공학대학) >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ENGINEERING(교통·물류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