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1 0

항공사 승무원의 용모 규정 완화가 심리적 웰빙 및 긍정적 업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항공사 승무원의 용모 규정 완화가 심리적 웰빙 및 긍정적 업무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relaxing the regulations regarding flight attendant’s appearanc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work attitude
Author
현성협
Keywords
항공사 승무원의 용모; 용모 규정 완화 효과; 심리적 웰빙; 긍정적인 업무 태도; Flight attendant’s appearance; Effects on relaxing apprearance regula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work attitude
Issue Date
2020-04
Publisher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Citation
호텔경영학연구, v. 29, no. 3, page. 191-207
Abstract
이 연구는 항공사 승무원의 용모 규정 완화의 도입 단계에서 현상을 파악하고 독립 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모델은 우선 용모 규제 완화에 대한 6가지 긍정적인 효과(안전 향상, 사생활 보호, 피로도 개선, 건강 증진, 성평등 실현, 자율성 증진)를 가설화하고 테스트했으며, 긍정적인 업무 태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심리적 웰빙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경험적으로 발견했다. 제안된 모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19년 8월부터 9월까지 국내 항공사에서 근무하는 250명의 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Statistics 22.0 통계 프로그램 및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용모 규제완화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의 선행 변수 6가지 가운데 4가지 핵심 요소인 사생활 보호, 피로도 개선, 성평등 개선, 그리고 자율성 증진이 후행 변수인 심리적 웰빙과 긍정적 업무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안전 향상과 건강 증진이 후행 변수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은 규명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웰빙과 긍정적인 업무 태도 사이의 인과 관계는 중요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 실무적으로 유용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 phenomenon in the introduction stage of relaxing appearance regulations for flight attendants and to analyze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 study model was first hypothesized and then tested six positive effects on relaxing appearance regulations, and empirically discovered the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can lead to an increase of positive work attitude.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e proposed model, 250 flight attendants working for Korean airline companies were survey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9.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2.0 statistics program and AMOS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showed that the four core factors included protection of privacy, alleviation of fatigue, improvement of gender equality, and enhancement of autonomy out of the six indicated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work attitude. In contrast, safety and health improvement did not have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work attitude showed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useful implications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use. Also,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30626&language=ko_KR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5403
ISSN
1226-8747
DOI
10.24992/KJHT.2020.04.29.03.19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TOURISM(관광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