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학부모와 교류정도, 학교의 변화 지향적 풍토 및 전문성 개발 활동 간의 관계

Title
교사의 학부모와 교류정도, 학교의 변화 지향적 풍토 및 전문성 개발 활동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a Teacher’s Interaction with Parents, Change-oriented Climate of School and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uthor
박주호
Keywords
교사-학부모 상호작용; 변화 지향적 학교풍토; 교사의 전문성 개발 활동; Teacher-Parent Interaction; Change-Oriented School Climat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ssue Date
2020-04
Publisher
한국교육개발원
Citation
한국교육, v. 47, no. 1, page. 5-31
Abstract
교사의 전문성 개발활동과 관련해서는 교사 개인적 특성과 동기, 동료교사와 협력활동, 교장변인, 그리고 지역 여건이나 환경과의 관계가 주로 탐색되어 온 반면, 학부모의 영향 정도나 조직풍토 등 학교조직 환경이 어떻게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는 비교적 확인되어 오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TALIS 2018년 우리나라 중학교 자료를 토대로 교사의 학부모와 교류정도, 변화 지향적 학교풍토 및 전문성 개발활동 참여와의 관계를 무선효과 회귀계수(A random coefficient)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개인수준에서 학부모와의 교류 정도는 전문성 개발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교사차원에서 이들 두 변인 관계가 학교차원에서 변화 지향적 조직풍토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변화 지향성이 높은 조직풍토를 가진 학교에서 교사-학부모의 교류가 교사 자신들의 전문성 개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교사의 전문성 개발활동을 촉진시키는 학교정책 개발에 있어서, 교사와 학부모와의 밀접한 상호작용의 중요성 이외에 학교 조직풍토 상황을 동시에 감안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In relation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s of teachers, cooperative activities with peer teachers, principal variables, and relationships with local conditions or the environment have been mainly explored. On the other hand, it is relatively unclear how the school organization's environment, such as parental influence or organizational climate, affects discriminatively.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arents interaction degree, change-oriented school climate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based on TALIS 2018 data from Korean middle school as a random coefficient model.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interaction with parents at the individual teacher level has no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at the teacher level depends on the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limate at the school level.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in a school with a high organizational climate, change of teacher-par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Valu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addition to the importance of clos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the development of school policy that promote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f teacher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situation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58145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5394
ISSN
1599-2659
DOI
10.22804/jke.2020.47.1.00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교사의 학부모와 교류정도, 학교의 변화 지향적 풍토 및 전문성 개발 활동 간의 관계.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