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수-
dc.date.accessioned2021-09-24T01:27:30Z-
dc.date.available2021-09-24T01:27:30Z-
dc.date.issued2020-03-
dc.identifier.citation평화학연구, v. 21, page. 105-130en_US
dc.identifier.issn1738-2580-
dc.identifier.urihttp://www.koreapeacestudies.or.kr/read.php?pageGubun=journalsearch&pageNm=article&search=&journal=%EC%A0%9C21%EA%B6%8C%201%ED%98%B8&code=372264&issue=27884&Page=1&year=2020&searchType=all&searchValue=-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5109-
dc.description.abstract2008년 케냐는 ‘Vision 2030’ 정책을 채택하고, 제조업 중심의 산업전환, 그리고 무역촉진을 위한 도 로․철도 및 항만 인프라 건설 등을 추진하였다. 또한 2010년 입법부 강화, 지방자치제 도입, 그리고 선거 제도 개편 등 헌법개정을 추진하여 대통령의 권한을 견제하고, 정치적 소외층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정 치제도를 마련하였다. 2016년 케냐의 근대화 과정에 중국의 관여가 시작되었다. 이는 일대일로 정책의 일 환으로써 중국의 경제성장에 필요한 자원확보, 시장개척, 그리고 국제지위제고 등의 국가 이익을 찾고 있 다. 일대일로 정책에 편입된 케냐는 중국으로부터 도로․철도 및 항만 인프라 건설 부문의 지원을 받고 있 다. 본 연구는 케냐의 근대화 과정과 중국의 개발원조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중국의 투자가 케냐의 근대 화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또는 신식민지의 고착인지?를 분석하였다. 케냐의 Vision 2030과 중국의 개발원조는 도로․철도 및 항만 인프라 건설 부문에 부합되고 있지만, 제조업 육성 분야, 그리고 정 치 민주화 과정과는 연관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케냐의 경제의존성이 강화될 가능성 있다. 마지막으로 케냐와 중국과의 협력이 강화됨으로써 동아프리카 지역 내 미ㆍ중 경쟁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In 2008, Kenya launched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named ‘Vision 2030’. It aims to facilitate the economic modernization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industry, road․ rail and port infrastructures in return, promoting trade. In addition, Kenyan government reformed constitution to institutionalize the strength of the parliamentary authority and the local government system through the modification of electoral system, eventually undermining the Presidential authority and reducing political isolation. From 2016 China has involved in this developmental process on the behalf of its strategy towards Africa in the part of One Belt One Road policy. China has attempted to secure natural resource, new market and improve its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based on building bridges between China and Africa countries. China has invested infrastructure constructions such as road, rail and port. In the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China’s involvement has a positive impact towards Africa’s modernization or has fixed neo-colonialism. Although China’s investment matches with Kenya’s vision 2030, harmonizing with Kenyan industry and political stability still remains in question . Due to enhanced Kenya-China coopera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higher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US to dominate East Africa region.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8S1A5B8070773).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en_US
dc.subject근대화en_US
dc.subject중국의 개발원조en_US
dc.subject인프라 건설en_US
dc.subject평화적 정치제도 채택 (헌법개정)en_US
dc.subjectKenya modernizationen_US
dc.subjectVision 2030en_US
dc.subjectChinese development assistanceen_US
dc.subjectthe adoption of a peaceful political system(constitutional reform)en_US
dc.title케냐의 근대화와 중국의 진출: 지원인가? 신식민주의의 재등장인가?en_US
dc.title.alternativeThe Modernization of Kenya and China’s Involvement: Is it Positive Impact Support or is it rebirth of Neo-colonialism?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21-
dc.identifier.doi10.14363/kaps.2020.21.1.105-
dc.relation.page105-130-
dc.relation.journal평화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충희-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성수-
dc.contributor.googleauthorLee, Chung-hee-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Sung-soo-
dc.relation.code2020040421-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SOCIAL SCIENC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
dc.identifier.pidskim1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S](사회과학대학) >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정치외교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