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0 0

어포던스 이론에 따른 체험기반 모바일 실감콘텐츠 UX디자인 연구

Title
어포던스 이론에 따른 체험기반 모바일 실감콘텐츠 UX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X Design of Experience-Based Mobile Realistic Contents Based on the Affordance Theory
Author
송지성
Keywords
Affordance Theory; Experience-Baced Mobile Realistic Contents; UX Design
Issue Date
2020-09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Cit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 18, no. 3, Page. 277-288
Abstract
본 연구는 모바일 AR콘텐츠의 매체와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경험 중심으로 콘텐츠 설계 시 고려해야할 UX디자인 목표를 도출하고, 모바일 AR 콘텐츠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에 기초하여 AR콘텐츠의 조사항목을 도출하였고 사용성평가를 통해 사용자반응과 전문가 관점에서의 개선사항을 탐색하였다. 사용성평가의 조사결과는 어포던스를 HCI 분야에 도입되어진 하슨의 어포던스 이론을 기반으로 정리하였다. 인지적 어포던스 측면에서는 진행 단계와 조작법에 대한 인지적 안내부족, 아이콘의 의미가 명확하지 않고 예측가능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물리적 어포던스는 조작법에 대한 정확한 안내가 없어 객체 조작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물리적 피로도,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감각적 어포던스에서는 사용자의 사용 환경의 특성에 따라 아이콘, 텍스트 정보의 색상, 배경과의 대비를 고려하지 않아 가시성, 주목성이 떨어지고 발견가능성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첫째, 사용자가 콘텐츠를 사용하는 과정, 다음 진행과정, 진행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사용자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사용자에게 버튼, 화면변화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인지적 안내와 시각요소(색상, 구성요소의 크기, 표현방법)를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현재 상태를 시각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둘째, AR이라는 익숙하지 않은 조작 방법을 사용자가 쉽게 학습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시각정보를 제시하여 행동을 유도한다. 현실 공간과 결합한 객체와 상호작용하는 데 발생하는 물리적인 위험과 방해 요소에 대한 정보제공으로 몰입감, 만족도를 높인다. 셋째, 사용자가 이용하는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색상, 그림자 효과 등을 이용해 가시성과 주목성을 높여 직관적인 정보와 감성을 전달한다. 제시한 가이드라인이 앞으로 모바일 증강현실 콘텐츠 설계에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AR 쇼핑 콘텐츠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UX design goal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contents centered on user experience by considering the media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obile AR contents, and to propose guidelines applicable to mobile AR contents.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evaluation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affordance theory of Harson introduced in the HCI field. First, the process of using the content, the next progress, and the result of the process are visually expressed to reduce user confusion. Size and expression method) to intuitively visualize the current state. Second, it induces action by presenting visual information so that users can easily learn and use an unfamiliar manipulation method called AR. Increases immersion and satisfac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physical dangers and obstacles that occur when interacting with objects combined with real space. Third, it delivers intuitive information and emotions by increasing visibility and attention by using colors and shadow effects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used by users. We hope that the proposed guidelines will be used in mobile augmented reality content design in the future, and many studies on AR shopping content are expected.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926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640
ISSN
1738-0863
DOI
10.18852/bdak.2020.18.3.27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