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2 0

사용자 경험 요소와 문화코드 맥락에서 본 SPA 브랜드 웹사이트 사례연구

Title
사용자 경험 요소와 문화코드 맥락에서 본 SPA 브랜드 웹사이트 사례연구
Author
CHOI ALBERT YOUNG
Keywords
사용자 경험 요소(User Experience Factor); 문화코드(Culture Code); SPA 브랜드 웹사이트(SPA Brand Website)
Issue Date
2020-09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Cit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 18, no. 3, page. 255-266
Abstract
SPA 브랜드는 국내 도입 이후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나가, 현재 글로벌 브랜드 외에 국내 태생의 SPA 브랜드들까지 지속 성장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션 SPA 브랜드 이커머스 웹사이트 개발에 있어 유용한 기본 구성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먼저 문헌자료 조사를 통해 사용자 경험 요소와 문화코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고, 국내 유명 SPA 브랜드 중에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를 선정하여 이들 브랜드의 웹사이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해외 글로벌 SPA 브랜드인 H&M, ZARA, Uniqlo와 국내 SPA 브랜드인 8 Seconds, SPAO, TOPTEN의 웹사이트 사례를 사용자 경험 요소와 문화코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웹사이트 분석도구인 사용자 경험 요소와 문화코드를 사용한 여섯 개의 SPA 브랜드 사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글로벌 브랜드는 활성 문화코드와 감성적 기능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공통 요소는 일반 문화코드 사용과 제품의 시각적 경험과 정보 구분에 의한 제품 선택과 비교이다. 셋째, 이커머스 웹사이트를 ‘제품 중심 웹사이트’와 ‘이미지 중심 웹사이트’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정리한 사용자 경험 요소와 문화코드 분석도구는 이커머스 웹사이트 개발에 있어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 이커머스 활성화를 위한 웹사이트 수용자 경험 측정 등의 관련 연구로 범위를 확장해 나갈 것을 기대한다. SPA brands have shown significant growth since they were first introduced in Korea, and in addition to global brands, domestic-born SPA brands continue to grow in Korea.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useful method of basic classification in developing a fashion brand e-commerce website. This study's methodology first summarized the User Experience factors and Culture Code's theoretical background by researching literature and analyzing websites of selected highly recognizable SPA brands in Korea. For this study, the website cases of overseas global SPA brands H&M, ZARA, Uniqlo, and domestic SPA brands 8 Seconds, SPAO, and TOPTEN were analyzed based on User Experience factors and Cultural Code ele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six SPA brand case studies with the user experience factors and culture codes as a website analysis tool. First, Global Brand uses Active Culture Codes and emotional, functional elements. Second, the common factor is the use of General Culture Codes and the comparison with the product selection by the product's visual experience and information classification. Third, e-commerce websites could be divided into 'Product-oriented Websites' and 'Image-oriented Websites.' The user experience factors and cultural code analysis tools outlined in this case study are expected to be a useful method of classification in developing e-commerce websites. Therefore, a follow-up study is necessary to measure the experience of the user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essential basis for e-commerce website research as a valuable analysis tool.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926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570
ISSN
1738-0863
DOI
10.18852/bdak.2020.18.3.25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