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응화-
dc.date.accessioned2021-08-24T04:59:09Z-
dc.date.available2021-08-24T04:59:09Z-
dc.date.issued2020-04-
dc.identifier.citation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6, no. 2, Page. 89-102en_US
dc.identifier.issn1598-6497-
dc.identifier.uri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6112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471-
dc.description.abstract실담범자는 오래된 고전적인 글자체로 오늘날까지사용되고 있으나, 현대사회에 적합한 서체 디자인 개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실담범자 사용이 일부 사용자에 한정되어 있기는 하나 연령대가 젊고 사용 빈도가 높은 다수의 사용자를 위하여 시대가 요구하는디자인이 어떠한 것인지 연구하고 그에 맞는 디자인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한글 소망체를 참고하여 현대사회에 적합한 실담범자서체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소망체의한글 구조는 실담범자 구조와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둘째, 소망체는 직선인 고딕 구조에 부드러운세리프를 강조하여 만든 글씨체로서 현대적이며 세련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셋째, 명쾌하면서도 자연스러워 우리 시각에 익숙하고 친근감을 주는 서체이기때문이다. 연구의 내용은 실담범자의 역사와 발전 및 현황을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한글을 적용한 실담범자 디자인 연구를 위해 한글 소망체와 실담범자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 소망체를 적용한 고딕세리프체 실담범자 모음과, 자음을 디자인하였으며, 개발된 서체를 적용하여 산스크리트어 철학문헌 「우파니샤드」 책표지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소비자의 실증적 분석을 위해 사회통계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층화 추출방법과 척도법을 사용하여문자의 조형적 심미성 평가 측정기준을 근거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산스크리트어에 관심이 많은 중국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중국의10개 지역을 구분하여 20∼30대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중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274개를 회수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한글 소망체를 적용한 실담범자의소비자 조사에서 기존의 서체보다 조화롭고 통일성이있는 특징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통일성있는 단순한 고딕세리프는 가독성을 높이는 것으로확인되었으며, 현대 사회와 잘 맞는 디자인이라는 좋은 반응이 있었다. 하지만 자음과 모음의 조합이 복잡한 형태의 특정 단어 조합을 통한 소비자 조사에서는통일성과 비례 및 질서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찾을수 있었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복잡한 구조의 단어 합자(合 字)에 대한 디자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실담범자의 우수성은 같은 계열의 산스크리트어를 표기하는 다른 문자 보다 심플하여 학습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현대사회에 유용한 실담범자의 서체 개발을 시작으로 이를 통해 다양하게 발전되어 산스크리트어 사용에주 표기 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디자인문화학회en_US
dc.subjectSiddham Alphabeten_US
dc.subjectKorean Alphabeten_US
dc.subjectFont Designen_US
dc.subjectSomangcheen_US
dc.title한글 적용의 실담범자(悉曇梵字) 디자인에 관한 연구 -고딕세리프체(소망체)를 중심으로-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sign of Siddham Alphabet Applied Korean Alphabet -Focused on Gothic-serif(Somangche) Font-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26-
dc.identifier.doi10.18208/ksdc.2020.26.2.89-
dc.relation.page89-102-
dc.relation.journal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dc.contributor.googleauthor왕용군-
dc.contributor.googleauthor전서영-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응화-
dc.relation.code2020041204-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DESIG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COMMUNICATION DESIGN-
dc.identifier.pidkpac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