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5 0

Site Specific 예술을 통한 인류학적 장소로서 비장소의 장소정체성 확장 사례 연구

Title
Site Specific 예술을 통한 인류학적 장소로서 비장소의 장소정체성 확장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Extension of Place Identity in Non-place as an Anthropological Space through Site Specific Arts
Author
이지현
Alternative Author(s)
Lee Jihyun
Advisor(s)
고현정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빠른 기술의 발전과 교통수단의 비약적인 증가에 따라 현대사회는 이동성과 가속화가 중요시 되었다. 이는 우리의 삶의 토대가 되는 인류학적 장소의 상실과 파괴를 불러 일으켰고 이와 대비되는 공간인 비장소를 창출시켰다. 비장소가 일상적인 공간의 지대한 부분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현대인들은 수많은 시간을 희미한 정체성의 공간인 비장소에서 소비하게 되었다. 이동과 순환만을 위한 공간인 비장소는 장소의 역사가 나타나지 않으며 사람들 사이의 일방적이고 간접적인 소통으로 인한 관계성의 부재가 따른다. 또한 비장소를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의 일시적인 정체성을 부여받은 사람들은 익명의 공간에서 자기 자신만을 마주하며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새롭게 창출 된 공간인 비장소를 회귀적 관점보다는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현대적 장소로의 진정한 의미를 받아들이고 이에 유연하게 다가가야 한다. 이에 따라 비장소를 현시대의 새로운 공간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비장소가 인간 존재의 근원적 자아정체성 혼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 따라 정체성 확장을 위한 다양한 학문적 고찰의 필요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장소와 장소정체성은 어떠한 관계를 이루며, 비장소의 부재요소를 확장하기 위한 장소특정적 예술에는 어떤 특성이 있는지, 또한 이를 통해 비장소의 장소특정적 예술이 비장소의 장소정체성을 어떻게 확장시키는가에 대한 연구 문제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공간과 장소의 구분을 통해 장소와 장소성의 관계에 따른 장소정체성 형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Marc Auge의 저서를 토대로 비장소의 부재요소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또한 Maurice Merleau-Ponty의 지각의 현상학에 입각하여 장소특정적 예술의 특성을 ‘몸의 주관적 경험’, ‘몸, 세계, 타자의 상호 관계적 작용’, ‘몸의 의미적 확장’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비장소의 대표적 공간인 공항, 지하철, 도로에서 이루어진 장소특정적 예술 사례를 분석하여 비장소의 역사성, 관계성, 정체성 세 가지의 공간에 대한 확장과 동시에 장소정체성 확장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비장소의 장소특정적 예술을 통한 인류학적 장소로서 비장소의 정체성이 확장된다는 본 연구의 결론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장소에서의 인간의 정체성 위기에 대해 주목하고 장소특정적 예술을 통해 인류학적 장소로서 비장소의 장소정체성이 어떻게 확장되는가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예술이 인간 사회에 스며들어 인간 실존의 근원인 장소 정체성 확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에 따라 예술의 영역을 확장하고, 인간의 경험적 가치 창출로 인한 장소의 정체성 확장을 통해 비장소의 존재하는 인간의 자아 정체성을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Since the rapid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the increased means of transportation, the ideas of mobility and acceleration have become inevitably more important for the current modern society than ever. This has caused the loss and destruction of anthropological values of place that are fundamental to human life today. Instead, technological advancement has created ‘Non-place’ - a contrary concept to places containing the anthropological essence. As non-places occupy a large part of everyday places, people are now spending a lot of time in such place with vague identities as a consequence. Non-place, a space for movement and circulation only, does not reflect the history of the place. Rather, it provokes the absence of relationships due to the one-sided, indirect communication between human. It also makes people find themselves with an identity crisis in an anonymous space where they are given temporary identities that only exist for utilising non-places. Instead of approaching non-place with a retrospective view, a flexible attitude to accept the true meaning of non-place as a newly-born modern place given to the society today should be considered. Hence, there is a need for academic discussions with a variety of perspectives in order to expand the identity of non-place, considering it as a new contemporary concept to evaluate, as it puts the identity of human existence in confusion with a great influence.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ed a research question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xpansion of non-place by placing follow-up questions such a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non-place, what qualities are required for site-specific arts as a means of expanding identities of non-place, and after all, how can site-specific arts expand the spatial identity of non-place? To yield conclusions of such queries, this study discussed the spatial identity form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non-plac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space discussed in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Moreover, this paper divided the absent elements of non-place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book of Marc Auge. Meanwhile, referring to Maurice Merleau-Ponty's theory in cognitive phenomenology, the characteristics of site-specific arts were segmented into three statues: ‘subjective body experience’, ‘correlation between body, world, and others’, and ‘semantic expansion of body’. Through this practice, this paper analysed case studies of site-specific arts conducted in airports, subways and roads since these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non-place. By doing so, it ultimately sought the expansion of non-place regarding its histories, relationships and identities while fundamentally discussing the expansion of spatial ident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proved that a non-place can be transformed into an anthropological place by the means of site-specific arts. Overall,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ntity crisis of humans in non-place and begins with the question of how the spatial identity of non-place can be expanded as an anthropological space. It also aims to widen the realm of the arts, respecting the fact that the arts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the expansion of spatial identity - an essence of human ontology - as the arts deeply permeate into modern society. Consequently, this thesis serves its purpose to expand the identity of human existence in non-places by the expansion of the spatial identity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creation of experiential values for huma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93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3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ERFORMING ARTS(공연예술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