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춘원-
dc.contributor.author락몽원-
dc.date.accessioned2021-08-23T16:41:04Z-
dc.date.available2021-08-23T16:41:04Z-
dc.date.issued2021.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553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392-
dc.description.abstract국문요지 전통적인 무역이론은 교역조건의 개선이 순수출을 확대하고 무역수지를 개선시킬 것이라고 이는 H-L-M 효과다. 중국의 대외무역 규모가 WTO 가입후 급속히 성장한데 무역규모가 확대되면서 수출이 크게 증가에 따라 무역품의 가격은 수입 가격이 수출 가격보다 더 빨리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교역조건이 상승했다가 하락하고 최근 몇 년 동안 안정화되는 현상이 형성되고 있다. 무역수지가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되는것은 처음에 공산품을 주로 수출하는 중국 위안화의 급격한 하락을 초래한 것이며 이러한 무역수지의 개선은 아시아 금융 위기 이후 중앙 은행은 경쟁력있는 실질 환율을 유지시키기 때문이다. 무역흑자가 주로 1차상품에 대한 수요가 많은 선진국에 의해 결정되며,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위기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중국의 무역흑자 증가 속독 점차 둔화되었지만 전체적인 펀더멘털이 여전히 매우 크다. 무역흑자가 점진적으로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무역수지 불균형의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널리 제기되고 있으며 이러한 불균형 형상이 중국 경제발전에 대한 외부 위험을 더욱 증가시켜서 중국의 빠르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경제발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중국의 대외무역이 빠르게 발전하고있는 가운데 무역이익을 극대화하고 무역손실을 줄이는 방법은 지금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교역조건 변화가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교역조건과 경상수지에 대한 역사적 조망한 다음에교역조건과 무역수지에 대한 문헌연구를 소개과 함께 중국와 같은 외향적 수출주도경제  외생적으로 주어지는 교역조건이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과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H-L-M 효용에 이론기초하고 Lawrence(1990)의 분해방정식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중국의 1983-2019년 관련 데이터를 채택하여 중국의 실제 경제상황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공적분 검정, VECM 모형, 충격반응함수 및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통해 중국의 교역조건과 무역수지 변동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결과는 교역조건의 변화는 무역수지에 유의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역조건의 개선(악화)은 무역수지 개선(악화)을 초래한다. 한편 경제성장도 유의적으로 작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련 이론적 결론과 실증적 결론에 대한 총결을 진행하는 기초 위에서 중국 현재 단계의 경제 발전에 대해 몇 가지 정책 건의를 제시하였다.|Traditional trade theory belived that the improvement of terms of trade will expand net exports and increase trade balance surplus, known H-L-M effect. China's foreign trade volume has grown rapidly since its entry into the WTO the scale of foreign trade increased rapidly, but with the expansion of trade scale, the export increased greatly, and the price of tradable goods rose faster than that of export. The terms of trade rose first and then fell, leveling off in recent years. The improvement in the trade balance from deficit to surplus, initially caused by the sharp depreciation of the RMB, which is a major exporter of manufactured goods, began after the end of the Asian financial crisis and continued to improve as the government and central bank worked to maintain a competitive real exchange rate. The trade surplus is largely determined by developed countries with high demand for primary goods, and China's trade surplus has slowed gradually due to the global recession caused by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but the overall fundamentals are still very large. The growing trade surplus raises question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trade imbalances, which further increased external risks to China's economic development, making trade imbalances an important factor in China's long-term and rapid economic development. Amid China's rapid development of foreign trade in this situation, how to maximize trade profits and reduce trade losses is now a problem to be solved. Therefore, research on the impact of changes in terms of trade on the balance of trade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a historical view of China's trade conditions and current account was introduced, and a theoretical review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impact of trade conditions given exogenously to extroverted export-led economies such as China. The empirical analysis was based on the H-L-M utility and was conducted using Lawrence's 1990 decomposition equation. China's 1983– 2019 data are adopted to review China's real economic conditions and analyze China's trade terms and trade balance fluctuations through the public test, the VECM model, the shock response function, and the Grandeur causality test. The results show that changes in terms of trade have a significant and significant effectively on the balance of trade. In other words, improvements in terms of trade result in improved trade balances. Meanwhile, economic growth also has a significantly smaller impact. Finally, we present several policy suggestions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s current phase on the basis of proceeding with the conclusion of relevant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clusions.-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중국의 교역조건 변화가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락몽원-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 Meng-yua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경제금융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CONOMICS & FINANCE(경제금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