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9 0

용산 주거지역 고밀도 재개발에 대응하는 도시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Title
용산 주거지역 고밀도 재개발에 대응하는 도시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rban Remodeling in response to the High Density Redevelopment of Yongsan Residential Area : Plan for School and Cultural complex park
Author
박신애
Alternative Author(s)
PARK, SIN-AE
Advisor(s)
노승범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용산구는 서울의 중심에 있으면서 한강과 접해 있는 구이며 용산역은 경인선, 경부선이 모두 경유하면서 교통의 요지로 급히 부상했다. 용산구는 역 앞에 철도 관사, 철도 관리국, 철도 병원 등과 같은 철도 핵심 시설이 모여 있는 ‘철도 기지’ 이기도 했다. 용산구 중에서도 가장 중심지역이며 인구 이동이 활발한 지역은 용산역 부근이라고 볼 수 있는데 2004년 용산역 민자 역사가 개통되면서 용산구가 철도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고 2017년 민자 역사를 증축하게 되면서 아이파크 몰로 재탄생하여 주변의 상업시설 및 주거시설이 활발하게 구축되었다. 따라서 현재 용산역 주변은 철도를 위해 만들어진 시설과 서비스가 중심이던 과거의 ‘철도 기지’의 모습과는 다른 생활 인프라를 기반으로 주거, 상업, 문화 시설이 재개발되어 높은 밀도의 도심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용산구의 약 100만 평을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하면서 서울에서 추진됐던 재개발 사업 중에도 유례가 없을 정도의 큰 규모의 사업이 진행되고 있어 현재 투자가치가 높은 지역으로 화두 되고 있다. 이에 생활 인구 및 주택, 가구의 수는 계속 확장되고 있지만 녹지 및 공원의 면적은 매년 줄어드는 양상을 보여 주택 및 상업 시설에 반 비례적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연구 대상지는 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용산 중심지역에서 철도라는 핵심 인프라가 자리하고 있을 때 1920년 지어진 (구) 용산철도병원 대지 및 주변 부지의 노후화와 기능 중심으로 지어진 건축물로 인한 대상지 내 동선 체계, 고밀도 지역에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시설들과 용도 변경 문제 등으로 인해 개발되지 못하고 방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용산의 주거 및 상업 시설 등의 고밀도 지역에 도시기반 시설을 포함한 도시 리모델링 방안으로 현재 (구) 용산철도병원 대지 및 주변 부지의 도시적 맥락을 기반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필요한 기능 및 프로그램을 도시적으로 재해석하여 공동 스페이스를 구축하면서 건물 외부공간의 효율적인 활용할 수 있는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 부지의 전체적인 공간에 공공성을 부여하여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풍부한 도시적인 환경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을 제안한다.|Yongsan is located in the center of Seoul, it is in contact with the Han River, and Yongsan suddenly emerged as a transportation hub due to the Gyeongin and Gyeongbu lines. Yongsan is also a “Railway base” where core facilities such as Railway an official, Railway Administration, and Railway hospitals were gathered in front of. The most central area of Yongsan-gu and the most populous area is near Yongsan Station. With the opening of Yongsan Station's private station in 2004, Yongsan-gu became a major railway transportation hub and expanded private train station in 2017, It was reborn as I-Park Mall, and commercial and residential facilities around it were actively established. Therefore, the area around Yongsan Station is now showing a high-density downtown area as residential, commercial, and cultural facilities have been redeveloped based on a living infrastruc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appearance of a ‘railroad base’ in the past, where facilities and services made for railways were the cente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designated about 1 million pyeong of Yongsan-gu as a district unit planning zone, and the unprecedented scale of the redevelopment project in Seoul is being carried out, and it is now a hot topic as an area with high investment value. As a result, the living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houses and households continue to expand, but the area of green areas and parks is decreasing every year, showing an inverse proportion to housing and commercial facilities. The research target site is the old Yongsan Railway Hospital site built in 1920 when the core infrastructure of the railway was in place in the central area of Yongsan where redevelopment is actively taking place, and the aging of the surrounding site and the movement system and high density in the sit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surrounding sit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facilities are not functioning properly in the area and are left undeveloped due to the problem of change of use. Therefore, this study is an urban remodeling plan that includes urban infrastructure in high-density areas such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in Yongsan. Based on the urban context of the current (former) Yongsan Railway Hospital site and surrounding sites, this study analyzes the necessary functions and programs It proposes an approach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outside the building while constructing It is proposed to plan to become a rich urban environment of suggest that.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50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3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