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4 0

한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이항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Title
한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이항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Binary Scale for Korean Geriatric Health Promotion Behavior
Author
장지혜
Alternative Author(s)
Jang, Ji-hye
Advisor(s)
신용순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In Korea, life expectancy has continuously increased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of the economic level, and efforts and interest in living a healthy life without suffering from diseases during the increased life expectancy are increasing. The elderly can achieve healthy aging by maintaining and promoting cognitive ability, physical function, mental function, and social function by practicing health-promotion behavior, and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the Korean Geriatric Health Promotion Behavior Scale (K-GHPBS),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Process for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e validity of the K-GHPBS was designed based on DeVellis' scale development guidelines, and proceeded to the development phase and the validation phase of the scale. In the development phase of the scale, a conceptual framework was established after an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using original questions. 45 initial items were derived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16 older adults. The applicability of this study was confirmed after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10 experts and by conducting preliminary research on 20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5 or older. During the verification pha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out October to November 2019 from 300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5 or older.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using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Reliability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internal consistency index, KR-20,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initial the K-GHPBS's Item-level content validity (I-CVI) value was .80 ∼1.00 and scale-level content validity index (S-CVI/Ave) value was .97.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42 items selected from the item analysis, 28 items for 5 factors were extracted 52.51% of the total varianc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5 factors including 23 items explaining and 5 distinct factors were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chronic disease management’, ‘healthy lifestyle’, ‘maintain cognitive function’ and ‘acceptance with optimism’. In this stud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r=.39, p<.001) between the Health Self Rating Scale and the K-GHPBS, indicating that convergent validity was established. There was an inverse correlation (r=-.16, p=.006) between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GDS-SF) and the K-GHPBS, indicating that discriminant validity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epression score, the mild depression and normal group had higher K-GHPBS scores than the depression group (F=4.67, p=.010). Criterion– related validity compared to the HPLPⅡ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60, p<.001). Reliability was verified by evaluating stability by performing a 4-week test-retest on 23 elderly subjec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98.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KR-20 was .79. The K-GHPB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consistent 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5 factors 23 items. Each item was composed using the ‘yes or no’ binary scale. The K-GHPBS is a scale that can measure the health-promotion behavior for aged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and has validity and reliability. |우리나라는 의료기술의 발달과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기대수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대여명 동안 질병으로 고통 받지 않고 건강한 삶을 살기 위한 노력과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노인들은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함으로써 인지능력,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및 사회적 기능을 유지·증진하여 건강노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노년기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평가할 수 있는 한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이항측정도구(Korean Geriatric Health Promotion Behavior Scale, K-GHPBS)를 개발하고,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도구 개발과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과정은 DeVellis의 도구 개발 지침에 근거하여 설계하였으며, 도구 개발 단계와 도구 검증 단계로 진행하였다. 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문헌고찰, 기존 도구 분석 및 65세 이상 노인 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2019년 10월 18일부터 11월 21일까지 S시 및 G시 소재의 보건소 1곳, 노인복지관 2곳, 경로당 4곳 및 공원에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3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8.0, Mplus 8.4, 및 Factor Analysis 10.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도구 개발 단계에서 문헌고찰을 통해 건강증진모델과 성공적 노화 이론을 근거로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였으며, 건강노화를 인지기능, 신체적 상태, 정신적 건강 및 사회적지지에 대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상태로 정의하고, 건강노화는 인지·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함으로써 얻어지는 긍정적인 건강결과로 정의하였다. 노인의 건강과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개념과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심층면담 결과, ‘독립적으로 살 수 있는 능력 기르기’, ‘노화로 인한 질병 예방하고 관리하기’,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받아들이기’, ‘사람들과 좋은 관계 유지하기’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심층면담 및 기존 도구 분석으로 도출된 구성요소 및 문헌고찰을 통해 인지·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영역의 78개 후보문항을 도출하였고, 정련화 과정을 통해 45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예비문항은 노인 대상 설문에 적합한 이분형 척도로 결정하였다. 10명의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1개 문항을 제거하였고, 본 조사 시행 전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조사 결과, 중복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 1개 문항을 제거하여 총 43개 문항에 대해 도구 검증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구 검증 단계에서는 요인분석, 준거타당도 및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신뢰도는 동질성 및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43개의 예비문항의 각 항목과 도구 전체 점수와의 상관관계, 항목 간의 사분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내적 일관성으로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1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42개 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총 누적 설명변량은 52.51%이었으며, 5 요인 28개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5 요인 23개 문항으로 도구를 구성하였다. 각 요인은 운동 및 신체활동(3문항), 만성질환 관리(4문항), 건강생활습관(8문항), 인지기능유지(4문항) 및 긍정적인 수용 행위(4문항)로 명명하였다. 최종 도구의 각 문항은 표준화 요인적재량이 .50 이상이었고, 건강생활습관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의 AVE 값은 .50 이상인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C.R. 값은 .82 ∼ .88로 .70 이상인 기준을 만족하여 요인분석에서의 수렴타당도를 확보하였고, 구성개념 간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변별타당도 검증 기준을 만족하였다. 지각된 건강상태,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노인 우울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지각된 건강상태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r=.39, p=<.001)가 있었고, 일반적 자기효능감과는 양의 상관관계(r=.28, p<.001), 우울과는 음의 상관관계(r=-.16, p=.006)가 있었다. 우울 점수로 구분한 정상, 가벼운 우울, 심한 우울 집단 간 새로 개발한 도구의 건강증진행위 점수를 비교한 결과, 가벼운 우울과 정상 집단은 심한 우울 집단에 비해 건강증진행위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F=4.67, p=.010). 준거타당도는 HPLP Ⅱ 도구를 이용하여 동시타당도로 평가하였으며, HPLP Ⅱ 점수와의 양의 상관관계(r=.60, p<.001)가 확인되어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도구의 KR-20 값은 .79로 내적 일관도를 검증하여 동질성을 평가하였으며, 23명의 노인 대상자에게 4주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두 측정 간 총점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98로 안정성을 평가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K-GHPBS는 건강노화의 다차원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인지·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유지·증진시키기 위한 건강증진행위를 평가할 수 있는 5개 요인의 2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예, 아니오’의 이분척도로 구성되어 사용자와 응답자 모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최근 노인의 건강 수준 및 건강행위 실천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고,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한국 노인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개념타당도, 준거타당도 및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고, 동질성과 안정성을 평가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본 도구가 노인의 건강노화를 위한 건강증진행위의 중재와 평가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56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30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