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5 0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통합사회를 중심으로

Title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통합사회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Theme-based Art Education Program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Citizenship: Focusing on the Art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of High School
Author
최도림
Alternative Author(s)
Choi, Do Rim
Advisor(s)
김미남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oday, we are living in a society that is rapidly becoming digital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deepen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is gradually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real and virtual worlds. Accordingly, we are required to acquire digital citizenship, the ability to live properly as citizens of a digital society. Especially for the current youth who are digital natives,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digital citizenship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Based on such social demand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recent emphasis on the social value of art education in the art education field.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urpose of cultivating students' digital citizenship in school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programs. In developing a specific art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used theme-based learning because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themes related to the learner's life. Art has created a field where we can recognize the issues of life by taking various subjects of life as the subject of artworks. Therefore, in this study, if the art class is developed focusing on the themes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it is judged that the learner will recognize and internalize digital citizenship as their own problems and derive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 theme-based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securing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theme-based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citizenship”. First, after examining what digital citizenship is aimed at in this study, this study selected the 6 key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that students need to cultivate based on previous studies: ‘Digital Awareness’, ‘Digital Self-identity’, ‘Media/Information Literacy’, ‘Digital Empathy and Respect’, ‘Digital Rights and Responsibilities’, ‘Digital Social Participation’. Next,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as civic education based on the discussions of previous scholars and discuss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in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for the realization of a theme-based integrated art program,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theme-based learning and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a background,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theme in education.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theme-based integrated art educa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me-based integrated art education. As a result, they had a variety of educational relevance and significance under the common context of education based on the needs of learners, and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value and validity of approaching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s a theme-based integrated art education. After that, ‘Integrated social studies’ was selected as a subject for integration with ‘Art’, and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of ‘Art’ and ‘Integrated social stud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urriculum, this study revealed the appropriateness of integrating these two subjects, and set the 'experience' area in the ‘Art’ and the 'understanding of life and environment' area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 as integration points.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the selection of themes because the two subjects dealt with ‘changes in digital society’ and ‘problems of digital society’ in common. As a result, this study developed a theme-based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citizenship, as the final goal of this paper. This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design process based on backward design. The themes that play a key role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as ‘Digital World and Me: Digital Self-Identity’ on the personal level and ‘Digital World and Us: Digital Social Issues’ on the socio-cultural level.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this study used the fusion of ‘response-based learning’ and ‘project based learning’ method, centering on the three main steps of the ‘comprehensive value teaching strategy’. The three step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appreciate new media art works related to the topic of digital citizenship, relate them to their own experiences, and form emotional responses. Based on this, learners deepen their responses to the topic through group discussions, and form values as digital citizens. In the end, learners internalize the value of digital citizenship as an action through activities that produce visual image through digital media, share them through social media, and participate in it. The greatest feature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that it comprehensively cultivates the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in the areas of understanding, function, value and attitude through integrated art classes using themes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in real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ly,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will be able to interpret the themes of the digital society contained in artworks,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digital society in relation to themselves, and recognize themselves as citizens of the digital society. Second, it will be possible to empower students as democratic citizens of the digital society by enhancing their ability to use digital media and visual images and higher thinking skills as citizens. Third, it will be possible to nurture an attitude to actively participate in society as a citizen by providing an experience of actual participation to learners through the creation of visual images on the subject of digital society and participation through social medi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specific example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centered on art, and attempte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art education in school fiel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research will proce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s teaching-learning guidance by applying it to actual school classes, and to discover and supplement the limit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opes that students will be reborn as citizens who act properly and independently in the digital society and build a healthy digital democratic society. |오늘날 우리는 각종 지능정보기술들의 발달로 인해 빠르게 디지털화 되어가는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디지털 전환의 심화는 현실과 가상 세계의 경계를 점차 흐릿하게 만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에게 디지털 사회의 시민으로서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소양인 디지털 시민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인 현재의 청소년들에게 있어, 앞으로의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전인적 시민의 역량으로서 디지털 시민성의 교육적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최근의 미술교육계가 미술교육의 사회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교교육에서 청소년들의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케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구체적인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학습자의 삶과 관련된 주제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주제중심의 학습을 활용하였다. 미술은 삶의 여러 주제들을 작품의 주제로 다루며 우리가 삶의 문제들을 인식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왔기에 청소년들의 중요한 삶의 주제로 떠오른 디지털 시민성과 관련된 주제를 중심으로 미술 수업을 개발한다면, 학습자가 디지털 시민성을 자신의 삶의 문제로 인식하고 내면화하여 유의미한 학습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학교교육에서의 정당성 확보 및 교육의 효과성을 위해서 통합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주제중심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지향하고자 하는 디지털 시민성이 무엇인지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청소년들이 함양해야 할 디지털 시민성 핵심요소를 ‘디지털 인식’, ‘디지털 자아정체성’,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공감과 존중’, ‘디지털 권리와 책임’, ‘디지털 사회참여’와 같이 6가지로 선정하였다. 이어, 학자들의 논의를 토대로 시민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의 미술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논하였다. 다음으로는 주제중심 통합 미술 프로그램으로의 구현을 위한 이해의 기반으로서 교육에서 주제의 의미를 중심으로 주제중심 학습의 개념을 살펴보고 그 배경으로서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주제중심 통합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주제중심 통합 미술교육을 통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학습자의 삶의 요구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이라는 공통된 맥락 하에 다양한 교육적 연관성과 의의를 지니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주제중심 통합 미술교육으로 디지털 시민성 교육에 접근하는 것이 가치 있고 타당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 후, 주제중심 통합 프로그램의 학교교육에의 적용가능성과 융합 지점을 탐색하고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로 삼기 위해 미술과의 통합 과목으로서 통합사회를 선정하고,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미술’, 사회과 ‘통합사회’ 과목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교육과정 분석 결과 두 과목의 통합의 적절성을 밝혔으며, 미술 과목은 ‘체험’ 영역, 통합사회 과목은 ‘삶의 이해와 환경’ 영역을 통합 지점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두 과목이 공통적으로 ‘디지털 사회의 변화’, ‘디지털 사회의 문제’를 다루고 있음에 주제 선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본 연구의 최종 목표인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설계 절차는 역행 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교육과정 설계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주제는 개인적 차원의 ‘디지털 세계와 나: 디지털 자아정체성’과 사회적 차원의 ‘디지털 세계와 우리: 디지털 사회문제’로 선정하였다. 교수-학습 모형은 ‘종합적 가치 교수 전략’ 3단계를 중심으로 반응 중심 학습법과 프로젝트학습을 융합하여 사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크게 세 가지 단계로 진행된다. 먼저, 학습자는 디지털 시민성 주제와 관련된 뉴미디어 아트 작품을 감상하며 자신의 경험과 관련 지으며 정서적 반응을 형성한다. 이를 토대로 작품의 주제를 중심으로 그룹별 토의·토론을 통해 주제에 대한 반응을 심화하고, 디지털 시민으로서 가치 판단이 이루어진다. 최종적으로는 자신의 입장을 바탕으로 디지털 매체를 통해 시각 이미지 작품을 제작하고 소셜미디어로 공유하고 참여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는 디지털 시민성 가치를 행동으로서 내면화하게 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디지털 시민성 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실제 삶의 디지털 시민성과 관련된 주제를 활용한 통합 미술수업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이해, 기능, 가치·태도적 영역의 디지털 시민성 요소들을 총체적으로 함양하게 된다는 점에서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는 미술작품에 담긴 디지털 사회의 주제들을 해석하며 디지털 사회의 문제들을 자신과 관련지어 이해하고 자신을 디지털 사회의 시민으로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디지털 매체와 시각 이미지에 대한 활용 능력 및 시민으로서의 고등사고능력을 증진하여 청소년들에게 디지털 사회의 민주시민으로서 권한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디지털 사회의 주제에 대한 시각 이미지를 제작하고 소셜미디어를 통해 참여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에게 실제적 참여의 경험을 제공하여 시민으로서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과 중심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구현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점과 동시에, 학교교육에서 미술교육의 새로운 가능성 모색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참고하여 실제 학교 수업에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입증하고, 한계점을 발견하여 보완해나가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이 디지털 사회에서 올바르고 주체적으로 행동하는 시민으로 거듭나며 건강한 디지털 민주사회를 일구어 나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139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2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