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5 0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지도방안 연구 : 프로젝트학습을 중심으로

Title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지도방안 연구 : 프로젝트학습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for Creating Shared Value : Focusing on Project Based Learning
Author
윤종하
Alternative Author(s)
Yoon Jong Ha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In modern society, design reflects the times, and new types of designs and new concepts are emerging as the times go by. While traditional design education focused on aesthetics to express beauty, recent trends in design are very interested in human-centered design, social design, and universal desig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trengthen students' capabilities through classes in specialized high school design, which aims to get a job as a preliminary designer, and experiencing new concepts of design for students. Modern society has emerged with complex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at the individual level, which has begun to pay attention to social values, ethical values, and community values that cannot be solved by concepts such as economics and aesthetics. Therefore, in this work, we focus on the new role of designers in pursuing community values beyond the principles of economics. The social design that emerged in pursuit of community value has expanded to the concept of shared value creation today, and shared value creation and shared value creation design are more advanced than social design in that it creates sustainability, economic and social value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order to apply shared value creation to school classes, social participation art was brought as a tool and method, because keywords are similar compared to each concept. The organic interrelationship between artists and participants in social participation art actively reflects the long-term direction of shared value creation and community issues, which resemble major factors in social problem solving and practical art practice. Finally, project learning was not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the study of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 guidance methods for creating shared values. Project learning is a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for students to organize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by organizing groups. Students use social participation art and design as tools to solve problems encountered in their communities and ultimately produce sustainable shared value creation results, not just one-off. Such guidance measures can carry out group-specific projects and re-recognize key elements of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for creating shared value through reflection logs and recall the learning step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 for the creation of shared values are as follows: First, we can expect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shared value creation, know the differences from social design,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explore shared value creation designs in depth to solve community problems.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will affect the development of project learning by learning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project learning and organizing a group on its own through research through cases and performing project learning step by step. Third, as a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 preparing for employment as a prospective designer, we can learn new concepts of design and expect growth as a talented person with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guidance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we hope that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es for creating shared value will be used in a practical way, and that they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shared value in the community while increas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target students.|현대 사회 속에서 디자인은 시대를 반영하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유형의 디자인과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이 등장하고 있다. 기존의 디자인 교육은 심미성에 초점을 맞추어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했다면 최근 디자인의 경향은 인간중심의 디자인, 사회적 디자인, 유니버설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예비 디자이너로서 취업이 목적인 특성화고 디자인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을 경험해보는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는데 논문의 목적이 있다. 현대사회는 개인의 차원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복합적인 문제들이 등장했고 이는 경제성, 심미성과 같은 개념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회적 가치, 윤리적 가치, 공동체의 가치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의 원리를 넘어선 공동체의 가치를 추구하는 디자이너의 새로운 역할에 주목해 논하였다. 공동체의 가치를 추구하면서 등장한 사회적 디자인은 오늘 날 공유가치창출이라는 개념까지 확장되었고, 공유가치창출과 공유가치창출 디자인은 지속가능성,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창출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디자인보다 발전된 정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유가치창출을 학교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사회참여미술을 도구 및 방법으로 가져왔고, 그 이유는 각 개념을 비교했을 때 키워드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사회참여미술의 예술가와 참여자의 유기적인 상호관계는 공유가치창출의 장기 지향성, 지역사회 이슈를 적극 반영한다는 점은 사회문제해결, 실질적인 예술행위는 가치창출로 주요 요소들이 닮아있다. 마지막으로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지도방안 연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프로젝트학습을 주목하였다. 프로젝트 학습은 학생들끼리 모둠을 조직해 스스로 문제를 구성하고 해결해가는 과정을 배우는 자기주도적인 학습 방법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에서 마주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참여미술과 디자인을 도구로 사용하고 궁극적으로 일회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지속가능한 공유가치창출 결과물을 도출한다. 이와 같은 지도방안을 통해 모둠별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성찰 일지를 통해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의 핵심 요소들을 재인식하고 학습 단계를 상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에서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가치창출의 개념이 등장한 배경과 특징을 이해하고 사회적 디자인과의 차이점을 알고 지역사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유가치창출 디자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프로젝트학습의 개념과 특징, 의의를 알고 사례를 통한 연구를 통해 스스로 모둠을 구성하고 프로젝트 학습을 단계별로 수행하면서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는데 영향을 끼칠 것이다. 셋째, 예비 디자이너자 취업을 준비하는 특성화고 학생으로서 새로운 개념의 디자인을 익히고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로서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도방안을 토대로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사회참여미술 수업이 실천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길 바라며 대상인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키우는 동시에 지역사회 공유가치창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036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26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