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7 0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Title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Other Titles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Flipped Learning Class in Korean Education
Author
손은진
Alternative Author(s)
Son, Eun Jin
Advisor(s)
신중진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flipped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Flip learning is drawing attention as a teaching method that allows classes, which used to be centered on teachers' lectures, to be centered on learners' activities. The study of flipped learning classes, which began in other subjects, has recently been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apply to classes. As a result,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Korean language class models with flip learning and the actual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classes based on flip learning. However, so far, Korean classes with flip-learning classes as experimental studies appear, and it is hard to find cases where flip-learning is actually used as a regular class. The discussion bega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find out specific reasons why flip learning has not been applied to the education site despite the fact that it has been developed and proven to be effective as an experiment.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all not only analyze these current conditions, but also seek ways to improve them and lay the groundwork for application to actual classes. Based on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re are two selected research issues: 1. What is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apply flip learning to existing Korean classes? 2. Considering the difficulties above, what are the ways to apply flip learn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flipped learning class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nalyze the difficulties of specific application, existing prior studies were examined and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incumbent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based on the causes of the analysis, we suggested improvement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reasons why flip learning is difficult to app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being inappropriate for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with low language levels and putting a lot of pressure on professors and learners compared to existing classes. Due to the nature of flipped learning, learners must perform more tasks than they do in lecture-style classes and take the initiative in speaking a lot. However, it is difficult if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is not as supported. In addition, there was a lot of feedback that the various tasks that learners had to perform before, after, after, and after classes were too much for learners who also digest them for the professors who design them. Secon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becomes difficult to apply depending on the level, flip learning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learner level without applying it to the class in a consistent manner. In the case of beginner or intermediate level, it can be an example to produce dictionary videos based on vocabulary or topics, rather than studying the overall contents of the class. Third,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n professors and learners, instead of proceeding with flip learning, only some classes should be prepared with flip learning, and classes should be limited in volume and organized around existing textbook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10-hour curriculum, only Week 5 and Week 10 are held as flip-flop classes. Video for pre-training or activity guidance for learners is produced at a volume and level that minimizes the burden. As above, the main high school analyzed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to classes, rather than identifying the general status of flipped learn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llected opinions from incumbent teachers as well as prior research and experiments as basic data for analysis, and has prepared improvement measures to reflect them.|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드 러닝의 현황과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플립드 러닝은 교사의 강의가 중심이 되던 수업을 학습자들의 활동이 중심이 되도록 하는 교수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른 교과목에서 시작된 플립드 러닝 수업 연구는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도 수업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다양한 수업 모형 개발과 실제 플립드 러닝 기반 한국어 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실험 연구로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이 나타나고, 실제 정규 수업으로 플립드 러닝을 사용하는 경우는 찾아 보기 어렵다. 본고는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드 러닝이 수업 모형도 개발되고 실험으로서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되지 않고 있는 구체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는 데에서 논의가 시작되었다. 또한 이러한 현황을 분석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까지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선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1. 기존 한국어 수업에 플립드 러닝을 적용하기 어려운 원인은 무엇인가? 2. 위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플립드 러닝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적용의 어려움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존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았고 현직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분석한 원인들을 기초로 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하기 어려운 원인은 언어 수준이 낮은 초급과 중급 수준에 부적합하다는 것과 기존 수업에 비해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많은 부담을 준다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플립드 러닝의 특성상 학습자는 강의식 수업을 들을 때보다 많은 과제를 수행해야 하며 주도적으로 발화를 많이 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어 수준이 그만큼 뒷받침되지 않으면 어려운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수업 전과 본 수업, 수업 후에 수행해야 할 다양한 과제들은 이를 설계하는 교수자에게도 소화하는 학습자에게도 버겁다는 피드백이 많았다. 둘째, 수준에 따라 적용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플립드 러닝을 일관적인 방식으로 수업에 적용하지 않고 학습자 수준에 맞는 형태로 변형해야 한다. 초급이나 중급의 경우 전반적인 수업 내용을 예습하는 것이 아니라 어휘나 주제를 중심으로 사전 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모두를 플립드 러닝으로 진행하지 말고 일부 차시만 플립드 러닝으로 준비하고 수업 역시 분량을 제한하고 기존 교재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총 10차시로 이루어진 교육과정의 경우 5주차와 10주차만 플립드 러닝 수업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예습을 위한 영상이나 학습자들을 위한 활동지도 부담을 최소화하는 분량과 수준으로 제작한다. 본고는 위와 같이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드 러닝의 일반적인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에 적용하는 데에서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의 기초 자료로 선행 연구과 실험뿐만 아니라 현직 교사의 의견을 수합했다는 점과 이를 반영한 개선방안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181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26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