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9 0

문학치유 경험을 위한 이야기시 교육 방안 연구

Title
문학치유 경험을 위한 이야기시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of Narrative Poem for Literature Therapeutic Experience
Author
노온유
Alternative Author(s)
Noh, Onyu
Advisor(s)
정재찬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y of literature therapy and narrative poem, to clarify that narrative poem is appropriate as a literary genre for literature therapy, and to suggest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narrative poem for literature therapeutic experience. To this end, the concept of literature therapy was examined first. As a result, it was recognized that the scope of literature therapy suitable for literature education is needed to apply literature therapy theory to literature education. Because literature therapy included both treating mental illness and using literature for self-growth.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et up a concept of literature therapy that can be distinguished from general literature education without including medical prescription. The study defined the meaning of literature therapy as ‘an activity that is carried out to maintain a healthy state of mind by alleviating or preventing psychological problems through literature’. Then, to find out what principles work when the literature therapeutic experience occurs,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ocess of literature therapy were examined. The principles of literary therapy include communication, empathy, catharsis, self-awareness, and enlightenment, which can be distinguished by emotional principles and cognitive principles. In other words, what happens when literature therapy occurs includes emotionally responding, realizing emotions that are not recognized, or positively converting what is perceived negatively. Narrative poem has story and a narrative structure. Unlike the general lyric poetry centered on emotional expression, story also becomes a central element of poetry in narrative poem.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narrative poem was created to reflect the aspects of everyday life and the times. Next,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poem were related to how narratives were intervened. First, there are many omissions in the story. Second, readers imagine the story omitted in the appreciation process. Third, the narrative poem has a variety of narrative structures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ic narrator and the listener and the stories of the poem. This can be divided into cases where the poetic narrator exists outside the story, where the poetic narrator exists inside the story, and where both the poetic narrator and the listener exist inside the story. The last characteristic is that it represents the life of a certain class through the poetic narrator. Chapter Ⅲ presente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narrative poem for the literature therapeutic experience. The teaching-learning model consisted of three steps: 'finding information in poem', 'constructing a story', and 'reflecting 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story'. In the first step, the information that can be found in the poem is organized while appreciating the poem in connection with life. In the second step, a story is created by imagining the omitted story. In the third step, reflecting on the process of creating a story, it was made to recognize one's thoughts and emotions revealed through language in the story. Literature therapeutic experience should be able to solve the causes of psycholog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in adolescence.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teaching narrative poem, topic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commonly experienced during adolescence were selected. The selected themes were 'academic performance problems', 'anxiety about the future', and 'human relationship problem'. Poems selected by theme are 'School Uniform and Me' by Park Seong-woo, 'On the Bridge' by Shin Cheol-gyu, and 'denture' by Kim Sai. The last chapter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narrative poem education. If narrative poem is used in literature therapy narrative poem helps learners appreciate poetry in relation to personal experiences and emotions. And, the reason why narrative poem is good for literature therapy is that the principle of literature therapy can be applied more easily to narrative poem than to general lyric poetry or novels. In other words, narrative poem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using general lyric poetry or novels for literature therapy. On the other han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earners is required for educational activities of narrative poem to be carried out well.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have a literature therapy effect if the learner's interest is low. This study has a fundamental limitation that it was not conducted with actual learners. In addition, in establishing the teaching-learning model, the existing literature education model or teaching-learning process has not been sufficiently reviewed. On the other h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define the concept of literature therapy in term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made the substantial difficulties experienced in adolescence as the object of literature 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치유와 이야기시의 이론을 고찰하여 문학치유를 위한 문학교육 제재로서 이야기시의 적절성을 밝히고, 문학치유 경험을 위한 이야기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Ⅱ-1장에서는 먼저 문학치유의 바탕이 되는 문학치료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문학치료학에서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의학적 처방에서부터 자아 성장을 위해 문학을 활용하는 것까지를 문학치료의 범주로 설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그대로 문학교육에 적용하는 것은 범위 설정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의학적인 처방까지는 포함하지 않지만, 일반적인 문학교육과는 변별이 이루어지는 선에서 문학치유의 위치가 설정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문학치유를 ‘문학 작품을 통해 심리적인 문제를 완화하거나 예방하여 건강한 심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행해지는 일련의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이어서 문학치유의 이론적 배경, 과정 등을 검토하여 문학치유가 일어날 때 어떠한 원리가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문학치유의 원리에는 소통, 공감과 동일시, 카타르시스, 자기인식, 통찰과 재구조화 등이 있다. 이는 크게 정서적인 작용과 인지적인 작용으로 구별된다. 동일시, 공감, 카타르시스가 정서적인 작용에 속하며, 자기인식과 통찰 등이 인지적인 작용에 속한다. 어떠한 정서적 감응이 일어나거나, 알지 못했던 감정을 깨닫고 감정이나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등의 인지적인 작용이 일어날 때 치유의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Ⅱ-2장에서는 이야기시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였다. 이야기시는 서사성을 내포하는 시로서 내용과 서술 구조라는 서사의 조건을 충족한다. 즉 일반적으로 시가 정서 표현이 중심이 된다면 이야기시는 시의 서정성을 보존하는 동시에 이야기가 시의 중심 요소가 되는 것이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문학사에서는 주로 당대의 삶의 모습을 구현하고 시대상을 반영하기 위하여 이야기시가 창작되었다. 이어서 다른 시와 구별되는 이야기시의 특성은 이야기시에 서사가 어떻게 개입되었는지와 관련이 있다. 그 특성으로 첫째, 이야기시의 내용은 주로 제한적이고 단편적으로 드러난다. 둘째, 독자는 감상 과정에서 생략된 내용을 상상하면서 읽게 된다. 셋째, 이야기시에서는 화자와 청자와 내용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서술 방식이 사용된다. 이는 화자가 이야기 밖에서 전달자만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화자가 이야기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화자와 청자 모두 이야기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넷째, 화자를 통해 특정 계층의 삶을 대변한다. Ⅲ장에서는 문학치유를 위한 교수-학습 단계과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교수-학습 단계는 ‘드러난 정보 찾기 – 이야기 구성하기 – 이야기 구성 과정 성찰하기’의 세 단계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삶과 연관 지어 시를 감상하면서 시에서 찾아낼 수 있는 정보를 정리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생략된 이야기를 상상하여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보고, 세 번째 단계에서는 이야기를 만들어낸 과정과 동기를 성찰하며 이야기에 언어로 드러난 자신의 생각과 정서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이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청소년기에 심리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곧 문학치유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학업 문제, 미래에 대한 불안, 인간관계 문제로 구분하여 교수-학습 전략을 적용하였다. 대상 작품으로는 각 주제별로 박성우 「교복과 나」, 신철규 「다리 위에서」, 김사이 「틀니」를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야기시 교육의 문학치유적 의의와 한계를 제시하였다. 이야기시는 일상적인 소재를 많이 사용하고 있고 서사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 개인의 경험과 정서와 연결하여 감상하기 용이하다. 즉 이야기시가 다른 문학 장르보다 문학치유의 원리와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일반 서정시나 소설 등의 문학 장르가 갖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구성한 활동 대부분이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내용을 채워나가고 상상력을 발휘해야 하므로, 학습자가 문학에 대한 흥미도가 낮으면 문학치유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울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닌다. 아울러 교수-학습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기존 문학교육 모형이나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검토 역시 부족하였다. 반면에 문학교육의 차원에서 문학치유의 개념을 정의하고자 하였으며, 청소년기에 겪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문학치유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58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26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