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4 0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 내 ‘날개’ 구성 방안 연구

Title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 내 ‘날개’ 구성 방안 연구
Other Titles
The methods of composing the ‘Wing’ of KFL textbooks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Comparison of KNL textbooks in South Korea-
Author
이주연
Alternative Author(s)
Lee, Juyeon
Advisor(s)
신중진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the application of the 'Wing' in advanced KFL textbooks. The 'Wing' commonly refers to the blank margin of the page neighboring the main text. In particular, the 'Wing' in KNL textbooks is regarded as a special textual space which aids the learners' comprehension. The 'Wing' provides explanations of unfamiliar vocabulary in the main text, and performs the role of the strategic frontier which includes 'middle of reading' tasks for the learners. Moreover, learners may find the text-reading very stressful because they come face to face with advanced, full-scale lengthy texts. Therefore, the 'Wing' can be the effective tool to ease the burden, and to provide the support for the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trategical reading. The gravity of active-reading learnership in Korean education was first advocated long ago, but the main discourse was about didactics and only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the formation of textbooks. Especially microscopic research studying the composition of individual pages of the textbook can rarely be found. The majority of the researches dealing with reading learnership assert proper methods of 'reading strategies' is crucial. However, there is only little discussion about the composition of individual pages, which truely is the vessel that incubates those important strategies. This research firstly specifies the notion of 'reading strategies' and analyzes the background purpose of the initial application of the 'Wing' in KNL textbooks. This process leads to the precise establishment of the 'Wing', which is not a common word in Korean education. Reviewing prior researches about the importance of tasks assigned to the learners will take place. Nextly, the research will look through the notion and composition of the 'Wing' in KNL textbooks. This will eventually point out that the 'Wing' is mainly consisted of 'Wing Vocabulary' and 'Wing Inquiries'. The following part of the research analyzes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Wing' in Korean-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clarify the utility of the marginal part of individual textbook pages. By this, it was able to note down that the 'Wing' first appeared in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became a tool to promote upper-cognitive strategies which takes place in the reading proces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is research analyzes six advanced KFL textbooks currently us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Seogang University, and Kyunghee University. Of all parts of the textbook, this research particularly chose the 'Literature comprehension chapter' because it requires 'synthetic and sentimental' understanding. Furthermore, 'Before reading, While reading, After reading' steps of the chapter is emphasized. The conclusion fo the study is that the weakest link of advanced KFL textbooks is the 'While reading' step. The ensuing part of the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Wing' of middle-school KNL textbooks in order to describe the standard form of the 'Wing'. In the 'Wing' of middle-school KNL textbooks, there is the 'learning goal'. The 'learning goal' includes information for the reading, like the lexical meaning of vocabulary, brief description about the author, related pictures, and other various helpful words. As a general conclusion, this research presents a exemplary 'Wing' combined with a typical text extracted from the short story 'Rain Shower'. This sample is to gradually aid 'synthetic and sentimental' understanding. Eventually this research shows the details of a well-composed 'Wing', and maintains the tactical view that the application of the 'Wing' is highly effective. It also provides a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s foriegn learners lack not only linguistic background but also social, cultural information, they are likely to find difficulty in learning unfamiliar vocabulary. By utilizing the 'Wing', learners can immediately comprehend the meanings of words and continue reading the main text. Also, the pronunciation of such words can be included so that the learners can learn in depth. Various helpful information in the 'Wing' will aid solitary learners as well. Above all, reinforcing the 'While reading' step enables the learners' 'upper-cognitive strategies'. Learners will therefore inspect their own reading process, and check whether they are reading the text correctly or not. The 'Wing' in KFL textbooks multilaterally responds to the needs of learners with diverse backgrounds, and leads to active reading and comprehension. Consequently, this research highly anticipates progress and advance of the composition of individual pages in Korean textbooks. | 본 연구는 고급 단계 한국어 읽기 교재에 ‘날개’ 영역을 도입하여 학습자 주도적 읽기 학습을 유도할 것을 제안한다. ‘날개’ 영역은 보통 본문이 제시된 지면의 좌우 여백 공간을 이야기한다. 특히 국내 국어 교과서에서 ‘날개’는 긴 글 읽기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여겨진다. ‘날개’는 읽기 과정 중 등장하는 낯선 어휘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읽는 중’ 단계의 학습 과제를 담고 있는 전략적 영역인 것이다. 그리고 고급 단계 한국어에서부터 본격적인 긴 글의 학습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학습자는 읽기 과정 자체에 큰 부담을 느낄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그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면서, 학습자가 읽기 전략을 기반으로 능동적으로 글을 읽을 수 있게 돕는 장치로써 ‘날개’를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 교육에서 능동적 읽기 학습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된 지 오래지만, 교수법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룰 뿐 교재 구성에 관한 관심은 그리 크지 않다. 특히나 한국어 읽기 교재 구성 연구 중에서도 특정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텍스트 내용 구성 연구에만 주목하여 교재 지면 구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모든 종류의 읽기 학습에 관한 연구들은 ‘읽기 전략’의 적절한 활용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전략을 담는 그릇인 교재 지면 구성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논의가 부족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읽기를 돕는 장치로써 ‘날개’ 영역의 도입을 아래와 같이 주장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에서는 낯선 ‘날개’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그 이론적 배경으로써 읽기 전략의 개념을 또렷이 하고 국내 교과서에서 날개의 도입 배경을 분석하여 제시했다. 우선 읽기 전략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읽기 과정에서 제시되는 과제의 중요성에 대해 고찰했다. 그리고 읽기 전략을 담는 그릇으로써 ‘날개’의 개념과 구성을 국내 국어 교과서 속 ‘날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날개’에는 크게 ‘날개 어휘’와 ‘날개 질문’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어서 고급 단계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날개’의 효용성을 밝히기 위해, 국내 국어 교과서 속 날개의 도입과 발전에 대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날개’가 처음 등장한 것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부터이며, ‘날개’가 읽기 과정 속 상위인지적 전략 사용을 돕는 장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현행 고급 단계 한국어 읽기 교재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선정한 교재는 ‘서울대, 한양대, 서강대, 경희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 목적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총 6권이었다. 본격적으로 읽기 전략을 필요로 하는 고급 단계를 선정하였으며, 여러 읽기 장르 중에서도 종합적, 감상적 이해를 요구하는 ‘문학 작품 읽기 단원’을 골라 분석했다. 특히 각 단원의 지면 구성을 ‘읽기 전, 읽는 중, 읽기 후’ 단계의 학습 과제 제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의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는 ‘읽는 중’ 단계의 학습 과제 제시가 소홀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한국어 교재 속 ‘날개’의 표준적 형태를 제안하기 위해, 현행 중등 국어 교과서 속에서는 어떤 식으로 ‘날개’ 영역을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했다. 이를 통해 중등 교과서에서는 날개 영역에 ‘학습 목표’와 같은 초점을 맞춰야 할 읽기 전 정보 및 작가에 대한 정보, 낯선 어휘에 대한 사전적 의미와 그림, 읽는 중 활동, 도움말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기반으로 고급 단계에서 가장 자주 등장한 소설 <소나기>의 일부를 발췌하여 ‘종합적, 감상적 이해’를 돕는 방향으로 ‘날개’를 활용한 지면 구성의 예시를 직접 제작하여 제시했다. 결국, 본 연구는 구체적인 교재 지면 구성의 형태를 보여줌으로써, 한국어 교재에서도 국내 국어 교과서와 같이 ‘날개’ 영역을 도입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능동적 읽기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재 발전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언어적, 사회 문화적 배경 지식이 부족한 외국인 학습자는 읽기 과정에서 ‘어휘’가 발목을 잡는 경우가 많다. 날개 영역을 통한 낯선 어휘 의미 제시는 학습자가 즉각적으로 모르는 어휘를 이해하고 글을 읽어 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또 외국인 학습자가 느끼기에 발음이 어려운 어휘의 경우에는 발음 표기를 함께 제시한다면 효과적인 어휘 학습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읽기 과정에서 마주칠 수 있는 의문점을 ‘도움말’을 통해 해결해줄 수 있어 혼자 공부하는 학습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읽는 중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읽기 과정에서 올바르게 읽어나가고 있는 것인지 스스로 점검하는 ‘상위인지적 전략 사용’을 도울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의의이다. 이렇게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에서 ‘날개’를 도입한다면 여러 차원의 학습자들이 능동적 읽기 학습이 가능하도록 도울 것이다. 이는 한국어 읽기 교재 지면 구성에 관한 긍정적인 발전 방향으로의 영향을 끼치리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037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26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