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안미리-
dc.contributor.author황지희-
dc.date.accessioned2021-08-23T16:38:06Z-
dc.date.available2021-08-23T16:38:06Z-
dc.date.issued2021.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1037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255-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advent of the age of lifelong learning, the increase in learning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and the unexpected COVID 19, the demand for online learning is accelerating even more.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has been mainly conducted through informal education, but since 2016, opportunities for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in higher education have been expand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Most of the adult learners are participating in e-learning based on online. E-learning has the advantage of effectively supporting the learning performance of adult learners by providing scalability and flexibility of learning without being constrained by time and space. There are also opinions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an effect. 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rapid expansion of the e-learning market has been accepted as an unavoidable reality due to the steady increase in demand for adult learners and the unexpected situation of COVID 19. Accordingly, a shift in the educational paradigm is underway, with a number of educational institutions gradually establishing and expanding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how learners must accept the unfamiliar learning environment called 'e-learning'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high learning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factors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e-learning learners by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hich i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accepting new technologies, and what their influence relationship is. Therefore, the main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can be expressed as follows. First, does perceived usefulness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affect the attitude toward use? Second, does perceived ease of us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affect the attitude toward use? Third, does the attitude toward us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medi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learning outcomes? For empirical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179 students enrolled in cyber university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nalysis of varianc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in the e-learning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use, and that the attitude toward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In addition, it was empirically confirmed that attitude toward use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amo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learning outcom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antecedents affecting the learning outcomes of e-learning learners were identified by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pecifically, it is confirmed that learners' perceptions of usefulness and ease of use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use and learning outcomes. Therefore, when providing learning contents through e-learning, the design of the student portal and LMS should be made so that learners can sufficiently perceive usefulness and ease|평생학습시대 도래에 따른 성인학습자들의 학습동기 증가, 예상치 못한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학습 수요 증가는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 그간의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는 주로 비형식적 교육을 통해 진행되어 오다가, 2016년 이후 정부 주도 하에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의 참여 기회가 확대되었다. 성인학습자들 대부분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이러닝 형태의 학습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닝은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제공하여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수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는 장점도 있지만, 오프라인 학습과 비교하여 학습 촉진 장치의 취약, 학습실재감 저하 등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꾸준한 성인학습자의 수요 증가와 코로나 19라는 예측하지 못한 상황들로 인해 이러닝 시장의 비약적인 확대는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에, 다수의 교육기관들이 점차 온라인 학습환경을 구축하고 확대해 가는 등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출발은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이러닝’이라는 특수한 학습환경을 어떻게 수용해야 높은 학습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인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이러닝 학습자들의 학습만족도 제고를 위해 필요한 요인들이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 영향관계는 어떠한지 파악하고자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첫째, 이러닝 환경에서 인지된 유용성은 이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이러닝 환경에서 인지된 용이성은 이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이러닝 환경에서 이용태도는 인지된 유용성·인지된 용이성과 학습성과와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실증분석을 위해 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환경에서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은 이용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용태도는 학습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용태도는 인지된 유용성 및 용이성과 학습성과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이러닝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규명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학습자의 유용성과 용이성 지각이 사용태도와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닝을 통해 학습콘텐츠를 제공할 때 학습자들이 충분히 유용성과 용이성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학생포털 및 LMS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이러닝환경에서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Use of e-Learning Environment on Cyber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황지희-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wang Jihee-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교육학계열-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