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2 0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축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축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plan to revitalize sustainable eco-friendly buildings
Author
최용호
Alternative Author(s)
Choi, Yong Ho
Advisor(s)
김 재 경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건축물의 환경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수단의 하나로 전물 생애를 대상으로 환경영향을 평가하여 환경성과가 우수한 건축물로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등의 자원 활용을 효율화하여 쾌적한 주거 환경조성 등으로 환경보호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의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이다. 하지만 2009년부터 2019년 5월까지 10년 동안 서울의 녹색건축물 인증실적은 총 3,639건으로 나타났고, 이중민간분야 2,760건 중에서 녹색건축인증으로 인센티브를 받은 건수는 232건으로 나타나 전체 인증건축물 대비 8.4%, 건축물 수량으로는 197동으로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친환경 건축물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도출을 위해 친환경 건축물 사례분석을 통해 친환경 기술요소를 도출하고 이러한 친환경 건축물의 한계점을 기술적인 측면과 제도적인 측면에서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인센티브 제도를 개선 및 강화하는 제도적인 방안과 기존 친환경 시스템의 효율을 제고하는 고효율 친환경 시스템을 도입하는 기술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친환경 건축물의 친환경 기술요소를 살펴본 결과, 첫째, 에너지 저감을 위해 기계적인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건축물 구조체의 단열, 축열 또는 형태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패시브적 설계와 실내 기후조절의 기능을 가지며, 전천후 오픈 스페이스로 이용이 가능한 아트리움을 도입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에너지 효율제고를 위해 태양열, 풍력, 지열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기계적인 시스템을 거치면서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액티브적 설계와 태양광 발전기술, 차양 및 차광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친환경 건축물들은 기술적인 측면과 제도적인 측면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적 방안으로는 통합적 설계기술 도입, 고효율 설비시스템 및 신재생 에너지 시스템 채택을, 그리고 제도적인 방안으로는 친환경 인센티브 개선과 소형 건축물 인센티브 강화, 인증체계 간소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의 모범적인 친환경 건축물 사례를 분석해 보고 이러한 친환경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친환경 요소를 도출해 보았다는데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으며, 또한 친환경 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제도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친환경 건축물의 활성화에 필요한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Eco-friendly buildings were promoted as a policy measure to increas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and they refer to buildings with excellent environmental performance by evaluating their environmental impact. Such eco-friendly buildings can contribute not only to environmental protection but also to a healthy life by minimizing environmental impact and efficient use of energy resources. However, for 10 years from 2009 to May 2019, a total of 3,639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were obtained in Seoul, and among 2,760 cases in the private sector, 232 cases received incentives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t was found to be very low at 8.4% of the total certified buildings. In this study, for the revitalization of such an eco-friendly building, eco-friendly technology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an eco-friendly building case analysis and limitations in technical and policy aspects were presented. In addition, policy aspects such as improvement and reinforcement of incentive systems to promote eco-friendly buildings and technical aspects such as improvement of the efficiency of existing eco-friendly systems and introduction of high-efficiency eco-friendly systems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co-friendly technology factors of eco-friendly buildings, First, in eco-friendly buildings, passive design elements that save energy by using insulation, heat storage, or shape of building structures, and atriums with indoor climate control and open space functions were identified. Second, for eco-friendly buildings, active design elements, solar power generation technology, and shading and shading systems were identified that generate energy by using new and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heat, wind power, and geothermal heat through a mechanical system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However, these eco-friendly buildings had technical and institutional limitations. In this stud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design technology, the adoption of high-efficiency facility systems and new and renewable energy systems, improvement of eco-friendly incentives, strengthening of incentives for small buildings, and simplifica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etc. proposed technic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nalyzed exemplary cases of eco-friendly buildings in Korea and tried to derive eco-friendly elements of such eco-friendly building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institutional and technical aspects of the limitations of eco-friendly buildings and suggested realistic measures necessary for the revitalization of eco-friendly building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98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1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