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8 0

서울시 노인의 기부 및 자원봉사 선택 영향요인

Title
서울시 노인의 기부 및 자원봉사 선택 영향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the donation and volunteer work selection of senior citizens in Seoul: focusing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uthor
오승원
Alternative Author(s)
Oh Seung Won
Advisor(s)
허수연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the role and importance of individual donation and volunteer areas, which are private welfare resources, have been emphasized in the Republic of Korea due to complex and diverse social problems such as social polarization, low birth rate, and aging. Among them,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onation and volunteer sector of senior citizens. In the past, poverty rate was the highest among OECD countries, so negative aspects have been noted, but discussions on senior citizens have changed positively recently. In fact, according to the Community Chest of Korea (2020),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in their 60s or older is the highest,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s 2020 volunteer statistics show that 60s or older people (20.7%)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This can be described as a SOC model in which older adults with sharing behavior experience a decrease in resources needed for sharing behavior with age increase, but choose the value or benefits derived from sharing, optimize remaining resources or sustain sharing behavior with external help (Kim Jong-sun, 2016; Lee Jong-hwa, 2017).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at resources the elderly have by dividing them int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nd to provide academic basic data by checking the contribution and volunteer selection factors of the elderly in Korea. This study used the "2019 Seoul Survey" data conducted annually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examine the impact of various types of capital on donations and volunteer activities of senior citizens, and 7,620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the research model,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into groups participating in donations and groups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A summary of the main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f you look at the distribution of donations and volunteer participation among senior citizens in Seoul, 1,892, accounting for 24.8% of the total, while 601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accounting for 7.9% of the total. Second, the participation of senior citizens in Seoul in donation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household income (+) in economic capital, trust (+) in social capital, fairness (+),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 and religion (+) in cultural capital.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trust, the more social capital, the more fairness, the more cultural capital, the more cultural capital, and the more religion, the more likely the elderly in Seoul will participate in donations. Volunteering participation by senior citizens in Seoul showed significant variables such as household income (+) in economic capital, fairness (+) in social capital,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 cultural and artistic viewing (+), and religion (+). In other words, the more economic capital, the more social capital, the more cultural capital, the more cultural arts activities, the more cultural capital, the more cultural capital, the more likely the elderly in Seoul will participate in volunteer 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proposals to promote donations and volunteer participation of senior citizens are as follows: First, with the baby boomers at the center, realistic alternatives should be found, such as actively encouraging the relatively wealthy elderly to donate and volunteer, and preparing ways for society to encourage their sharing. Second, social welfare agencies need to disclose more transparent and specific budget usage details than any other institution to faithfully fulfill their roles. Fair and equal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use of budgets and support of eligible person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social workers' capabilities and qualities through various employee training.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restore social trust by transparently managing and disclosing activities and donation operations a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t the site of volunteer work and sharing. Finall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should not only organize projects related to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nto high-quality programs, but also conduct satisfaction and target needs surveys every year to develop them into programs they want. In addition, religious organizations and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for forming a partnership and inducing donations and volunteering.| 최근 대한민국은 사회적 양극화, 저출산, 고령화 등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함에 따라 민간복지자원인 개인의 기부 및 자원봉사 영역의 역할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 중, 우리는 노인세대의 기부와 자원봉사 영역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과거 우리나라 노인세대는 빈곤율이 경제협력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아 나눔의 주체가 아닌 요보호 대상으로 인식되며 부정적 측면이 주목받아 왔지만 최근 들어 노인의 경제적 지위 상승과 교육수준 증가 등과 같은 변화들로 노인에 대한 논의가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실제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2020)에 따르면 1인당 기부금액은 60대 이상의 노인세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행정안전부 2020 자원봉사 통계에서 연령별(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자원봉사 참여 실태를 살펴보면 ‘60대 이상’이 6,029,988명(20.7%)으로 10대를 제외한 다른 연령대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나눔 행동을 하는 노인들이 연령의 증가에 따라 나눔 행동에 필요한 자원의 감소를 경험하지만, 나눔이 갖는 가치 또는 나눔으로부터 파생되는 편익을 선택하고, 남아있는 자원을 최적화하거나 외부의 도움을 받아 나눔 행동을 지속해 나간다고 볼 수 있는 SOC 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김종선, 2016; 이종화, 2017에서 재인용).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이 가지는 다양한 자원을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자본으로 구분하여 각각 어떠한 자원의 소유가 기부 참여와 자원봉사 활동 참여로 이어지는지 분석하고자 하며, 국내 노인의 기부와 자원봉사 선택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실천현장에서 노인을 중요한 기부 및 자원봉사의 주체로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자본의 유형이 노인의 기부 및 자원봉사 활동에 끼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시에서 매년 실시하는 ‘2019 서울서베이’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가구원용 설문에 응답한 총 43,737명의 응답자 중 65세 이상 노인 7,620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에 있어서 종속변수는 기부에 참여하는 집단과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했다. 본 연구에 있어 주요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노인의 기부 및 자원봉사 참여에 대한 분포를 살펴보면, 기부에 참여하는 경우가 1,892명으로 전체의 24.8%를 차지하였고,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601명으로 전체의 7.9%를 차지하였다. 둘째, 서울시 노인의 기부 참여는 경제적 자본에서 가구소득(+), 사회적 자본에서 신뢰(+), 공정성(+), 문화적 자본에서 문화예술 활동(+), 종교 유무(+)의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적 자본인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인 신뢰가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인 공정성에 동의할수록, 문화적 자본인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할수록, 문화적 자본인 종교가 있을수록 서울시 노인이 기부에 참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시 노인의 자원봉사 참여는 경제적 자본에서 가구소득(+), 사회적 자본에서 공정성(+), 문화적 자본에서 문화예술 활동(+), 문화예술관람(+), 종교 유무(+)의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적 자본인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사회적 자본인 공정성에 동의할수록, 문화적 자본인 문화예술 활동을 참여할수록, 문화적 자본인 문화예술 관람을 할수록, 문화적 자본인 종교가 있을수록 서울시 노인이 자원봉사에 참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기부와 자원봉사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부유한 신 노년층에게 기부와 자원봉사를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이들의 나눔에 대해 사회가 장려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현실적인 대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기관은 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어떤 기관보다 투명하고, 구체적인 예산 사용 내역을 공개할 필요가 있다. 예산 사용 및 대상자 지원에 있어 공정하고, 평등한 사업을 진행해야 하며 다양한 직원 교육을 통해 사회복지사의 역량 및 자질 강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자원봉사와 나눔의 현장에 있는 기관, 단체에서 활동 및 기부금 운영을 투명하게 관리하고 공개하여 사회적 신뢰를 회복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기관의 문화예술 활동 관련 사업을 양질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함은 물론, 매년 만족도 및 대상자 욕구 조사를 하여 대상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종교단체와 복지시설이 결연 관계를 맺고, 기부와 자원봉사를 유도하는 방향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647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1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