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6 0

하이브리드 개념을 통한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의 가능성 탐구

Title
하이브리드 개념을 통한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의 가능성 탐구
Other Titles
An inquiry into a possibility of ‘Post-Black Box Theatre’ through the concept of Hybrid
Author
전순열
Alternative Author(s)
JEON SUNYEOL
Advisor(s)
권용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Hybrid’ phenomenon,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significant aspect of modern society since the 20th century, has been widely applied beyond biology, where the term was first used, to a social phenomenon. In addition, the theatre is an art that combines various forms of art and diverse technology into one space. Perhaps hybrid was an unavoidable driving force amid numerous such elements, and the change in the state and area of various plays can be taken as an outcome of such a hybrid. Therefore, this study is a new study exploring ‘theatre space’ from contemporary perspective-taking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before and after the 20th century from a hybrid perspective to discover the possibilities of a new ‘post-black box theatre’ after the black box theatre. The research concluded three main arguments. First, the hybrid tendency shown in previous traditional plays was pointed out as ‘hybrid limited to elements on the stage’ and connected with the proscenium theatre, then as for later plays, after 20th-century Avant-garde, was expanded as ‘hybrid between all elements in a theatrical space that goes beyond the stage to encompass the audience’, and this was related to the birth of the black box theatre. Finally, based on the concept of ‘hybrid space’ in the 21st century suggested by architect Peter Zellner, from the stage to the audience, a new perspective of the future of ‘post-black box theatre’ was assessed through the possibility of a ‘hybrid space beyond the theatre and its exterior space’. Digital media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have developed dramatically in particular, have innovatively changed the concept of space and time perceived by humans, and Peter Zellner’s new concept of space-based on these changes is a novel concept of space that transforms the current state-of-the-art technology into an existing physical space. The real-time connection in and out of spac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are placed at the center. Therefore, the concept of hybrid space is the hybrid space seen in the previous proscenium and black box, from ‘limitation of the stage’ to ‘limitation of theatre’, and now the hybrid trend goes further ‘infinitely beyond the theatre and with the outside space’ to connect the path that directed to a new theatre for the future. In short, the post-black box theatre is a space that can quickly expand infinitely based on the hybrid space through various technologie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new ‘fusion’ after the ‘deconstruction’ of postmodernism. It will evolve even further in the future with contemporary audiences who are accustomed to ‘Digi-Place’ and ‘Multi-Place’ via mobile devices and the ‘Meta-verse’ experience that perceives the virtual world the same as another real world. The possibility of a post-black box theatre through hybrid and its spatial concept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our directions. First, the post-black box theatre is not just a traditional theatre that allows the audience to watch a performance, but an interactive cultural complex that can create various valuable cultural and related contents based on ‘audience participation’ and social ‘community’. Second, the post-black box theatre is a space where space and time can overcome beyond the physical limitations through digital media convergence. It provides an environment that allows a diverse multi-place experience and real-time interaction aligned with the ‘social rhythms’ from outside the space. Third, post-black box theatre is a kind of a ‘chaotic space’ that allows non-material and non-linear architectural composition through a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atrical elements. Based on the structure, the audience can discover the rules and conclude their meaning. Lastly, post-black box theatre is an ‘affordance space’ that induces audience behavior and responds sensitively to those behaviors to draw dynamic performances rather than having the audience as passive recipients; thus, valuing the process more than the outcome production of sustained motility. Furthermore, their possibilities do not exist separately as unique characteristics, but their synergy can immeasurably expand when they are organically connected. It has already been a century since the black box theatre took off, and it seems that the direction it should take in the future is somewhat drifting due to the change of perspective and doubts about theatre space itself.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a new concept of hybrid space in theater will be discovered as a new ‘post-black box theatre’ after the black box theatre.|20세기 이후 현대사회의 주요 양상으로 지목되는 ‘하이브리드’ 현상은 용어의 첫 출현인 생물학적 범주를 넘어 이제는 사회 현상적 개념으로 확장되어 널리 적용되고 있다. 더불어 연극 역시 상당한 분야의 예술과 기술을 한 공간으로 어우르는 분명한 종합예술로서 수많은 요소들 사이의 관계 맺음 가운데 어쩌면 하이브리드는 피할 수 없는 동력으로 작용해 왔으며, 그로 인한 다양한 연극의 형식과 공간의 변화 역시 일종의 혼종적 결과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동시대적 관점의 ‘연극 공간’에 관한 새로운 고찰이자 탐구로, 20세기 전후의 연극을 하이브리드적 관점에서 새롭게 조망해 보고 그 특징과 원리를 통해 블랙박스 극장 이후의 새로운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의 가능성을 함께 발견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자는 크게 세 가지 논거를 통해 결론에 도달하였는데, 먼저 이전의 전통적인 연극에서 보이는 혼종적 경향에 대해 ‘무대 위 요소에 한정된 하이브리드’로 지목하여 이를 프로시니엄 극장과 연결해 보고, 20세기 아방가르드 이후의 연극에 대해서는 ‘무대를 넘어 객석을 포괄하는 연극 공간 내 모든 요소들 사이의 하이브리드’로 확장하여 이를 블랙박스 극장의 태동과 관계 지어 보았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건축가 피터 젤너가 제언한 21세기 ‘하이브리드 공간’의 개념을 바탕으로 무대에서 객석으로 나아가 ‘극장 공간을 넘어 그 바깥 공간과의 하이브리드’적 가능성을 통해 향후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에 관한 새로운 전망을 가늠해 보았다. 특별히 비약적으로 발전한 디지털 미디어와 통신 기술은 인간이 지각하는 시공간의 개념을 혁신적으로 바꾸었으며, 이러한 변화를 기저로 하는 피터 젤너의 새로운 공간의 개념은 동시대 최첨단 기술을 기존의 물리적 공간으로 적극 흡수하여 공간 안과 밖의 실시간적인 연결은 물론 그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그 중심에 둔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공간의 개념은 이전의 프로시니엄과 블랙박스에서 목도되는 혼종의 영역이 ‘무대의 한정’에서 ‘극장의 한정’으로 이제는 더 나아가 ‘극장을 넘어 바깥 공간과의 무한정’ 하이브리드의 경향으로 연결되어 향후 새로운 극장의 방향성으로 그 경로가 발견될 수 있었던 것이다. 요컨대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체’를 지나 다시금 새로운 ‘융합’의 정신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술을 통해 그 혼종 작용의 저변을 무한히 확대하기에 용이한 공간으로, 이는 특별히 모바일 기기를 통한 ‘디지 플레이스’와 ‘멀티 플레이스’ 그리고 가상의 세계를 또 다른 현실의 세계와 동일하게 인식하는 ‘메타버스’ 경험에 익숙한 동시대 관객들의 성향이 함께 더해져 앞으로 더욱 진화될 의지가 분명하다. 이에 하이브리드와 그 공간 개념을 통한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의 가능성은 크게 다음의 네 가지의 방향으로 점철될 수 있었다. 첫 번째,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은 단순히 공연 상연만을 추구하는 이전의 전통적인 극장의 기능뿐만이 아닌 다양한 문화와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관객 참여와 사회적 커뮤니티성을 근간으로 관객 스스로 가치를 창조해 낼 수 있는 양방향 복합문화의 공간이다. 두 번째,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은 디지털 컨버전스 미디어 환경을 통해 극장 공간의 물리적 한정을 넘어 시공간의 무한한 확장이 가능한 공간으로, 관객의 다양한 멀티 플레이스 경험은 물론 공간 밖의 ‘사회적 리듬’과 실시간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환경이다. 세 번째,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은 연극 요소들의 디지털 변용을 통해 비물질, 비선형의 건축 구성이 가능한 일종의 ‘카오스의 공간’으로, 그 표현방식이 매우 자유로우며 요소들 사이의 수평적 연결 구조를 바탕으로 관객 스스로가 혼돈 속의 질서를 찾아내고 고유한 의미를 생산해 낼 수 있다. 네 번째,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은 관객의 수동적이고 수용자적 태도보다는 그들의 행태를 유도하고 그 행태에 민감히 반응하여 적극적인 수행성을 이끌어내는 ‘어포던스의 공간’으로, 이를 통해 콘텐츠의 문맥적이고 지속적인 운동성의 생산과 함께 결과보다는 과정 전반에 더욱 가치를 부여한다. 그리고 이들 네 가지의 가능성은 각각 분절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닌 함께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그것의 시너지가 무한히 확장될 수 있으며, 그 전제로 지목되는 다양한 과학기술들 역시 예술의 영역으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창작자의 창의적인 처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블랙박스 극장이 고개를 든 지 이미 한 세기가 지난 지금, 극장 공간 자체에 대한 의심과 관점의 변화로 인해 앞으로 그것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은 다소 표류 중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이브리드의 개념을 연극 공간으로 적용하였을 때 추적되는 경로를 통해 향후 블랙박스 극장 이후의 새로운 ‘포스트블랙박스 극장’으로의 또 하나의 가능성이 발견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54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09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