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5 0

청소년의 인터넷 유해성 경험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동조성의 조절효과

Title
청소년의 인터넷 유해성 경험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과 또래동조성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Adolescent's Internet Broadcasting Harmfulness Experience on Cyber Bull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Conformity.
Author
이진경
Alternative Author(s)
Lee Jin Kyeong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방송 유해성 경험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유해성 경험과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또래동조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과 3학년,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23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폭력성과 선정성으로 구성된 인터넷 유해성 경험 척도, 사이버불링 척도, 또래동조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인터넷 방송 경험의 특성을 보면, 절반 정도는 거의 매일 인터넷 방송을 접하고 있었으며, 방송을 시청하는 이유는 그냥 재미로 보는 경우가 2/3에 달했다. 둘째, 인터넷 방송 유해성 경험, 선정성 경험, 사이버불링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또래동조성, 중립적 동조성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중․고등학생 학급집단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인터넷 방송 유해성 경험은 사이버불링 및 또래 동조성 모두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넷째, 인터넷 방송 유해성 경험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이 정적으로 유의했으며, 또래 동조성의 조절 효과는 반사회적 경향성 동조성에서 유의했지만 중립적 동조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성별로 나누어 보면 남학생 여학생 모두 또래동조성의 조절 효과는 반사회적 경향성 동조성에서 유의했지만 중립적 동조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중․고등학생 학급집단으로 나누어 본 결과, 중학생의 또래동조성 조절효과는 중립적 동조성, 반사회적 경향성 동조성 모두 유의했으며 고등학생의 또래동조성 조절효과는 반사회적 경향성 동조성에서 유의했지만 중립적 동조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사이버불링은 인터넷 방송 유해성 경험, 또래 동조성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experiences with harmful Internet broadcasting and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conform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rmfulness experiences and cyber bullying.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from 233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in eighth and ninth grade and high schools students in tenth and eleventh grade for analysis. Employed in the study to measure the variables were scales of experiences with harmful Internet content, including violence and sexuality, cyber bullying, and peer conformity.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olescent experiences with Internet broadcasting and found that about half of them watched Internet broadcasting almost every day. Two-thirds of them watched Internet broadcasting just for fun. Second, boys scored higher point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xperiences with harmful Internet broadcasting and experiences with sexuality and cyber bullying. Gir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eer and neutral conform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Third, experiences with harmful Internet broadcasting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yber bullying and peer conformity. Finally, experiences with harmful Internet broadcasting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cyber bullying. Of peer conformity, antisocial tendency conformit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m, but neutral conformity ha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Antisocial tendency conformit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oth in boys and girls, but neutral conformity had no such effect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conformity according to middle and high school classes and found that both neutral and antisocial tendency conformit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antisocial tendency conformit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high school students, neutral conformity had no such effects. In short,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harmful Internet broadcasting and peer conform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yber bullying of adolescent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720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40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